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SaaS-Cloud 40

Platform As A Service 리뷰

제가 요즘 여러가지 고민으로 왠간하면 집과 사무실을 나서지 않읍니다. 그런데 6월 13일 금요일에는 외부 마을에 좀 나가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SaaS Forum에서 PaaS(Platform As As Service)에 대한 발표가 있기 때문입니다. SaaS 분야의 분들이 모이시는 자리라 공유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준비를 했습니다. 관심있는 여러분들로 함께 PaaS에 대해 알아보세요!

SaaS-Cloud 2008.06.12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 PaaS

SaaS = AaaS + PaaS(DaaS + IaaS) AaaS = Application As A Service DaaS = Development As A Service IaaS = Infra As A Service 초기 SaaS는 CRM이나 웹 오피스 그리고 그룹웨어 등 기존 데스크탑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웹 서비스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Pay as you go ) 지불하는 모델을 의미했다. 최근 들어, SaaS는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넘어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개발, 테스팅, 배포, 관리하는 분야를 서비스하는 분야를 비롯하여 컴퓨팅 리소스와 데이타베이스, 그리고 파일 시스템 등 서비스의 인프라 자체를 서비스하는 분야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

SaaS-Cloud 2008.05.27

무비용 창업 노하우 , PaaS

새로운 것이 나타나서 일반적인 것이 되기까지 많은 장벽과 과정이 필요하다. 지금은 흔하디 흔한 전화지만 전화도 최초 발명가로 알려진 벨이 고안한 이후 일반화 될 때 까지 생산화 단계를 거쳤다. 물론 이 과정에서 벨은 큰 돈을 벌지는 못했다고 알려졌지만... XTech에서 만난 Simon Wardley는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발명한 후 제품화(Commoditisation) 과정을 거쳐 일반화된다. 발명가가 자신의 특허를 제품으로 양산하는 게 쉬운 일일까? 가장 큰 문제는 당연히 제품화를 할 만한 자금과 인프라가 없다는 것이다. 일반 제품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의 창업자도 발명가와 같은 문제에 빠진다. 개발하여 서비스를 운영할 자금과 인력 등 인프라가 없다는 것..

SaaS-Cloud 2008.05.23

Photoshop Express , 포토샵의 온라인 버전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온라인 포토샵 버전을 발표하겠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두가지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나는 기존의 킬러 패키지중의 하나인 포토샵의 매출에 어떤 영향이 있을 까? 라는 것과 데스크 탑용 포토샵의 기능 중 어느 정도까지 지원이 될까? 라는 것 이었습니다. 기대반,호기심반 27일 발표한 어도비의 Photoshop Express 서비스를 가입하여 사용한 순간, 궁금했던 것들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스스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2Gbyte의 저장공간과 페이스북, 피카사, 포토버켓 사이트에 대한 매쉬업을 통해 해당 사이트등의 사진을 자동으로 import해줍니다. 또한 갤러리를 구성하고 다른 사람들과도 공유하게 해줍니다. 사용자마다 고유한 갤러리 URL을 제공해 줍니다. 또한 편집 기능에 있어 해당 ..

SaaS-Cloud 2008.03.29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타 베이스 관리 서비스로!

데스크탑용 소프트웨어 중 오피스가 꽃이라면 운영체제를 제외하고 DBMS는 서버 기반 소프트웨어의 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DBMS가 전공이고 1994년 부터 3년간 객체지향 DBMS를 개발한 경험이 있습니다. 돌이켜보면 아주 작은 프로토타이핑 수준이었지만 당시 객체지행 개념이 새롭게 나타나 주류가 되는 시점에시 기존 관계형 DBMS 의 한계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아주 의미가 있었던 작업이었습니다. DBMS는 초기 네트웍 DBMS, 현재 주류인 관계형 DBMS , 객체지향 DBMS 등 데이타를 다루는 모델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이러한 모델에 따라 각기 관계형 DBMS 는 SQL, 객체형 DBMS는 OQL등 데이타베이스에서 데이타를 꺼내는 언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SaaS-Cloud 2008.03.24

빌링 시스템에서 빌링 서비스로 II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새로운 강자들이 태동하고 있습니다. 지난 번에 아마존 DevPay를 소개하면서 빌링 서비스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만 아마존 외에도 여러 빌링 관련 서비스 업체들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많은 온라인 서비스 업체 입장에서 보면 빌링 시스템이야 말로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SaaS 인프라 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기존의 빌링 시스템의 경우 고가의 작업이자 많은 구축 기간이 소요 때문에 빌링 서비스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최근 SaaS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빌링 서비스 업체를 정리해 봅니다. Zuora.com Salesforce와 WebEx의 멤버들이 창업한 회사로서 올 해 3월 , 벤치마크..

SaaS-Cloud 2008.03.23

[국내 SaaS 소식] 2007 ASP/SaaS 백서 및 SaaS 수요 조사

[ 근조 남대문 ] 어제 새벽, 남대문이 화재로 전소되어 처참하게 무너진 것을 보면서 그냥 복받쳐 오르는 눈물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오늘은 하루종일 슬퍼하는 시민들과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다시 한번 북받쳐 오르는 슬픔과 분노를 참 참기 어렵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해서 일어나지 않았으면 합니다.....참 정직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 국내 소식 하나 - 한국S/W 어진흥원 웹 기반 SW 개발 지원사업을 위한 수요 조사 실시 ] SW진흥원은 오는 22일까지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개발이 필요한 웹 기반 SW의 기술수요를 접수하고 , 산ㆍ학ㆍ연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지원 대상분야를 선정한 뒤 4월 경부터 기술적, 정책적 활용성..

SaaS-Cloud 2008.02.11

빌링 시스템에서 빌링 서비스로! - Amazon DevPay

전자 신문의 기획 기사를 보면 국내 웹 2.0의 문제로 네이버로 대표되는 포탈의 폐쇄적인 구조로 인해 생태계가 만들어 지지 않는 것을 들고 있습니다. 아니러니컬하게 이런 부분을 언급한 장본인이 바로 구글코리아의 조원규 대표인 것을 보면 한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구글의 현주소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각설하고 , 결국 웹 2.0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바로 수익을 내는 것 입니다. 현재 웹2.0 세계에서 수익을 내는 모델로 가장 성공한 것이 바로 구글 AdSense입니다. AdSense는 많은 웹 사이트 관리자들이 자신의 사이트에 광고를 게제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내는 방법을 제공해 줍니다. 이 과정은 모두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사이트에 광고를 게제하고 수익을 내..

SaaS-Cloud 2008.01.27

SaaS Korea 포럼 출범 및 첫번째 컨퍼런스 후기

오늘(11일) SaaS Korea 포럼의 공식적인 출범식과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SaaS란 키워드가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유통 모델을 말하기도 하지만 기존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기에 많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국내에서 대기업 SI 업체들의 횡포와 지긋지긋한 SI에서 벗어나 서비스 회사로 변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찬을 겸해 SaaS Korea 포럼의 출범식이 열렸습니다. 출범식에서는 날리지 큐브의 김학훈 대표이사(왼편)께서 초대 포럼 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사회는 공식 출범때까지 임시로 의장을 맡으셨던 다우 기술의 이사(오른편)님이 보셨습니다. 공식적인 출범과 더불어 오후에는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컨퍼런스에서 SaaS에 대한 다..

SaaS-Cloud 2007.12.12

SaaS Korea 포럼 출범...

SaaS Korea 포럼이 12월 11일 오전에 출범식을 진행하고 1:30 부터 무료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회사 대표로 해당 포럼을 준비하면서 갖는 바램은 명실상부한 SaaS 비지니스를 활성화하고 많은 기회를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세부 희망으로는 주요 포탈을 망라한 서비스와 데이타에 대한 오픈 API의 업계 표준을 만들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포탈 주도의 서비스에서 모두 공평한 민주적인 서비스가 되는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랩입니다. 이번 포럼이 주최하는 컨퍼런스에서 저는 "The road to SaaS"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합니다. SaaS 비지니스 모델이 가능하게 된 배경과 숙제, 그리고 SaaS의 발전에 대해 20분간 요약해 보려고 ..

SaaS-Cloud 2007.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