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표의 주된 내용은 Twitter 처럼 소셜 네트웍 서비스는 웹상에서 실시간 정보 교환, 특히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는 데 있어 기존의 웹 방식으로는 실시간 웹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것 입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데 현재 Comet, XMPP, Ajax polling등 여러가지 새로운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는 것 입니다.
기술로만 보면 국내에서도 Comet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대용량 실시간 메세징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이것만 보더라도 이미 기술 그 자체야 국내가 더 앞서 있지 않나 싶습니다. ^-^
'Conference > 2008 X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XTech 2008 ] 모바일 플랫폼 중심으로 본 웹 브라우져 동향II (0) | 2008.05.19 |
---|---|
[XTech 2008 ] 모바일 플랫폼 중심으로 본 웹 브라우져 동향I (3) | 2008.05.17 |
[XTech 2008] XForms,REST,XQuery..and skimming (0) | 2008.05.16 |
[XTech 2008] 데이타 포터블리티를 논하다. (0) | 2008.05.15 |
[XTech 2008] 실시간 대용량 메세징 처리 방안 (5) | 2008.05.12 |
[XTech 2008] 웹 인증 API 표준 OAuth에 대해 논하다. (0) | 2008.05.12 |
[XTech 2008 ] 야후의 위치 정보 공유 플랫폼 - Fire Eagle (2) | 2008.05.12 |
[XTech2008] Next Generation Data Storage with CouchDB (0) | 2008.05.12 |
[XTech 2008] 크로스 사이트 요청 처리 관련 표준안 동향 (4) | 2008.05.10 |
[XTech 2008] 개인 웹 사이트를 가져야 하는 이유 (0) | 2008.05.09 |
[XTech 2008 ] Building Open Platform (0) | 2008.05.0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기술 그 자체가 더 앞서 있다고 말하려면, Comet이 아니라 Komet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대용량 실시간 메시징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말할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comet이야 널리 알려진 방법중 이고 실제 국내 웹 메세징 서비스들 중에 대용량 처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대용량 서비스라는 게 하나의 방법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미 국내에서 누군가 Komet을 만들어 쓰고 있지 않을까요? ^-^
다양한 방법으로 대용량 웹 메시지 처리 시도 않하는 나라는 또 어디있겠습니까?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좀 약하군요.

한국이 더 이상 특별히 다른 나라보다 대용량 처리하고 있는 상황도 아니고...
Comet보다 더 나은 방식의 아키텍쳐를 설계했다거나, Comet을 다른 벤더들보다 훨씬 더 잘 implement했다거나 하는것도 아니구 말이죠.
ㅎㅎ 네 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네이버, 다음 등 국내 주요 서비스 업체들은 자체적으로 확장한 플랫폼을 오래전 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들 포탈 업체가 이런 기술이나 경험을 좀 공유하면 좋을 텐데요.. 사실 대용량 처리야 직접 해본 사람이 최고죠 ^-^
Daum 카페의 카페온도 ActiveX를 걷어내고 Comet 유사한(?)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