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2010 4 팜을 인수하고 팜의 혁신적인 WebOS 터치패드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리고 2011 7 1일에 들어서야  HP 터치패드를 출시했다.  그리고 며칠  HP OS 기반 태블릿 PC 터치패드와 휴대폰 사업을 중단하고 PC 사업부의 분사를 결정했다. HP 분명 시장의 흐름에 맞춰 제품 개발과 공급을 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어버렸다. 또한  WebOS 생태계 또한 만들지 못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했던 "H/W 문화를 갖고 있는 HP S/W 인수해서 성공할 있을까? " 라는 질문에 "성공하지 못한다" 라는 하나의 사례를 안겨주었다.  

사실을 두고 일각에서는 PC 시대의 종말이니 , 태블릿이 노트북과 PC 시장을 대체할 것이니 하는 극단적인 의견들이 여기저기 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 HP PC 사업 분사와 포기가 과연 PC 종말을 말하는 것일까? 아니면 애플의 아이패트나 삼성의 갤럭시탭같은 스마트 패드 태블릿의 성장이 PC 종말을 가져올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필자의 견해로는 아니다.  PC 환경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며 계속 변화.발전할 것이다.

- PC  보다 높은 휴대성을 보유한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휴대 디바이스로 발전할 것이다

지난 2011 5월말 대만에서 개최된 Computex 2011에서 애플과 인텔은 "Transformation of the PC라는 주제의 공동 발표에서 PC 모든 지식의 생산 기지로써 , Post-PC 시대가 도래해도 PC 절대로 없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단순 데스크탑에서 다양한 형태의 노트북 PC 변형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발표에서 인텔은 스마트 커넥트(Smart Connect) 래피드 스타트(Repid Start) , 레피드 레스폰스( Rapid Response) 라는 기술을 소개했다. 레피드 커넥트는 노트북이 대기중인 상태에서도 메일이나 트윗이나 페이스북 같은 컨텐트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서 받을 있게 해준다. 도한 래피드 스타트는 하이버네이트 기능으로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플랫쉬 디스크상에 저장해 주고 재부팅없이 5~6 내에 복구를 해준다

 
또한 래피트 레스포스는 하드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SSD수준으로 끌어 올려준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과 더불어 더욱 보강된 모빌리티 기능들은 기존 PC 이상 책상위에 놓고 쓰는 디바이스가 아니라  점점 가벼워지고 얇어져 이동이 가능하게 새로운 형태들의 진화된 디바이스로의 발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가령, 기존이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수준의 휴대성과 모빌리티를 제공하며 기존의 패드들과 달리 H/W 키보드를 제공한다. 기존의 PC에서 사용하던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사용할 있기 때문에 패드들 보다 높은 생산성을 제공할 있다.  

- PC 클라우드( Home Cloud ) 발전할 것이다

PC 보다 휴대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는 것은 일면 기존 PC 시장에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던 인텔 관련 업체들의 이해관계 때문이다. 기존 인텔, 삼성, , 애플   PC 시장을 주도하던 업체들은 기존의 시장을 다양한 형태로 유지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향외에도 PC 가정용 클라우드로서 가정내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고 이들 데이타들을 연결해주는 클라우드 장치로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무선 환경의 급속한 발전은 가정에서 많은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만들었다. 가족 구성원들 모두가 한개 이상의 핸드폰을 갖고 있으며 , Wifi 지원되는 MP3 플레이어 , 스마트 패드 ,  TV  심지어 냉장고 청소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선 지원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들 장비들에는 메일, 주소록 같은 개인 정보외에도 음악, 동영상 공유 가능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보들은 서버에 저장이 되고 공유되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거나 백업을 있다.

이러한 홈서버 기능을 하는 PC 바로 클라우드이다. 네이버, 다음, 구글 같은 포탈 업체들은 무료 디스크 주소록 백업 서비스 다양한 유무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개인의 모바일 장비들이 연결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개인들은 본인들이 갖고 있는 모든 정보들을 공개된 클라우드에 저장하길 원하지 않는다.   클라우드로서 PC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있다. 24시간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냉장고나  TV 일부 기능으로 개발할 수도 있으며 품격있는 디자인을 포장된 세련된 거실용 가구로 개발될 있다또한 기존의 PC 어플리케이션은 패드 등을 통해 원격 접속을 하거나 자체 터치 스크린을 통해 기본적인 제어를 수도 있다

이미 애플은 클라우드로서의 PC 염두해 두고 서버 버전의 운영체제를 공급하고 있으며 서버를 중심으로 모든 애플 운영체계를 통합시키고 있다. 또한 기존의 아이폰/아이패드/ OS 하나의 운영체제로 통합하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 MS 역시 운영체계를 하나로 통합중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OS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어느 디바이스에서나 사용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는 가정에 위치한 서버 버전에 연결되어 백업되고 관리된다. 또한 가정에 위치한 서버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와 협업을 하면서 서비스를 하는 보다 안전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있다

현재 모바일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면서 모든 IT 관련 기술 또한 모바일을 벗어나서는 발전할 없게 되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 HP사의 PC 사업부 분사 , 삼성-애플간 특허 전쟁 등은 새로운 IT 질서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 하나라 있다. 이러한 현상의 본질 하나가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의 전환이라 있다. 그러나 이미 오래전 PC 오래 전부터 PC H/W 보다 OS 어플리케이션  S/W   중요하다라는 것을 입증해주었다. 그러나 현재 PC 변신의 본질은 기존 PC 상의 S/W 패키지였다면 지금 그리고 향후 PC상의 S/W 서비스와 클라우드로 발전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 이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

Posted by 박재현
,

오래전 부터 많은 컴퓨터 과학자들이 상상했던 것중에 하나가 인공지능이다.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갖춘 로봇들이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것은 이제 공상과학 영화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 되었다. 물론, 실제 현실에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 보면 별도의 인공지능이 없다하더라도 우리의 경험과 지능을 디바이스에 넣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과거 통신업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핸드폰 디바이스와 시장이 공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아이폰 SDK와 안드로이드 SDK 등을 이용하며 자신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프로그램화하여 무료로 공유되며 판매하고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디바이스의 기능들이 계속해서 진화하겠지만 이보다 더 많은 다수 개발자들이 집단 지성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발전할 것은 분명하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핸드폰을 넘어 모든 디바이스 분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브로드 밴드의 확산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수준 높은 응용 서비스 그리고 트윗이나 페이스북, 포스퀘어(Foursquare) 처럼 실시간으로 원하는 정보를 교환하고 관련 정보를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상황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 필자는 특정 장소에서 음식점을 찾을 때 맛집을 소개하는 포탈 컨텐트 보다 포스퀘어(Foursquare)등의 GPS 기반 쇼셜 서비스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지인들이 추천해준 맛집을 선택한다. 아직까지 메뉴 선택 후 실패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기존 디바이스들에 유.무선 네트웍 기능의 포함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 대부분의 프리미엄급 TV들과 셋탑 박스, 카메라, 세탁기 , 네비게이션, 프린터 등이 네트웍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바이스간의 네트웍 기능을 통해 연결된 장치들간의 컨버전스 서비스의 상품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달 초 두바이에서 열렸던 테크에드 중동(TechEd Middle East) 컨퍼런스에서 MS는 윈도우 7과 윈도우 폰, 그리고 Xbox 간에  컨버전스 데모를 보여 주었다. 윈도우 7 PC상에서 하던 게임을 윈도우 폰에서 그리고 다시 그대로 Xbox에서 이어서 수행하는 3스크린간의 이동을 보여주었다. 데모이긴 하지만 그간 디바이스간 컨버전스 서비스의 대명사 였던 3 Screen 서비스를 실체화 함으로써 MS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전략이 윈도우 OS 기반 디바이스들간의 서비스 컨버전스임이 분명해 졌다.

MS뿐 만 아니라 올해 안으로 애플 역시 스크린과 네트웍이 내장된 애플 TV를 선보이고 애플 제품들 간의 컨버전시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할 것이라는 것이 유력하다. 이미 애플은 네트웍 가능한 장치들간의 연결을 위한 자사의 Air Port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네트웍 백업 및 스토리지 장비인 타입캡슐을 판매하고 있으며 , 이들 장치상에 아이튠을 통해 다양한 컨텐트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컨버전스 시장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바로 안드로이드이다. 기능적인 면에서 안드로이드는 안정적인 커널과 멀티태스킹 , 그리고 오픈소스라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핸드폰을 필두로 셋탑 박스 , 카메라 , 세탁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바이스에 포팅이 되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구글은 소니, 인텔 등과 구글 TV 개발을 본격화 하면서 이러한 움직임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 안드로이드 기반 디바이스들은 구글이 보유한 다양한 서비스 클라우드와 연결될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구글 광고를 보는 대신 보다 저렴하거나 심지어 무료로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안드로이드 SDK로 개발된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전제품 생산업체들의 독점적인 위치 또한 향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상황을 미리 준비하지 못한다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LG 전자 , 소니 등 대다수의 CE ( Consumer Electronics ) 회사들은 다시 한번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듯 현 시점은 시장적인 측면에서 디바이스 기능의 그 자체의 차별화에서 디바이스 서비스 차별화로 이전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 기존에는 제품의 디자인과 색상, 카메라 화소 등 디바이스의 기능으로 제품을 차별화를 했다면 현재에는 트위터 , 페이스북 연동 등 주요 쇼셜 네트웍 지원 , 다양한 포탈 지원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차별화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해 모든 디바이스들이 네트웍에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디바이스들이 네트웍에 연결된다고 해서 웹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이 둘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네트웍에 연결되는 것은 물리적인 연결상의 노드가 증가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웹에 연결된다는 것은 하나의 독립된 웹 서비스 주체로서 외부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서비스와 정보를 웹을 통해 제공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진정한 웹의 일부가 되고 웹의 규모를 증대시켜 주는 것이다.

디바이스들이 웹의 일부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필자의 견해로는 디바이스와 사용자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디바이스를 스마트하게 할 수 있다.  제조회사들이 초기 디바이스들에 부여한 기본 기능외에 사용자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지능을 부여하여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노력이 바로 W3C 의 Device API 표준화이다. 카메라 , 캘런다 등 주요한 디바이스의 기능을 표준 API로 정의하고 표준 웹 개발 언어(Javascript, CSS, HTML) 를 사용하여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표준화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갈 길이 멀긴하지만 의미있는 작업임은 분명하다.

실제  W3C Device API의 스펙과 진행 방안을 보면 실제 안드로이드 플랫폼보다는 크롬 OS가 보다 디바이스 플랫폼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안드로이드의 경우 내부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런타임 엔진으로 달빅 VM 과 자바 개발 언어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데 반해 , 크롬 OS는 HTML5기반의 웹 브라우져를 내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Device API를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현재 자바스크립트로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을 멀티디바이스상에서 구동가능하게 해주는 크로스 플랫폼 솔루션으로 PhoneGap, Titanium, Rhodes 등이 꾸준히 그 세를 넓혀가고 있으며 , 다른 한편으로 자바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안드로이드를 탑재하는 노력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디바이스들을 웹화 시키려는 노력들은 크게 안드로이드나 크롬OS 처럼 각각의 디바이스에 웹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 또는 각 디바이스들에게 웹의 기능을 부여하는 미들웨어(허브)를 통한 방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제약(메모리,CPU 성능, 비디오 카드 등)으로 인해 실제 구현이 불가능하거나 많은 제약을 받는다. 실제 냉장고나 청소기 등에 웹 서버와 브라우져를 넣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 될 것이다. 이에 반해 허브를 통한 방법은 무척 현실적이다. 허브에서 웹의 서비스를 처리하고 디바이스는 허브에서 지시한 기존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 되기 때문이다.

웹에서 허브는 개별 웹 서버(노드)들의 링크가 모이는 곳이며 허브를 통해 노드들은 의사 결정과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실제 , 쇼셜 네트웍에서 허브는 유력한 빅마우스(Big mouth)들이라 할 수 있다. 빅마우스들은 다른 쇼셜 네트웍들의 판단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처럼 웹의 기본 원리를 생각하면 디바이스의 웹화를 위한 허브는 아주 현명한 방법이다.

이렇듯 웹을 통해 소통하는 능력을 갖게 된 디바이스는 비로서 자신의 소유주와의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다. 디바이스가 어떻게 사용자와 대화를 하고 새로운 서비스와 행동을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지 생각해 보자.

사용자와 개발자는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자바 스크립트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은 스토아를 통해 무료로 공유되거나 판매될 수도 있다.  가령, 자동 청소기를 생각해 보자. 일반적으로 스마트 청소기로 알려진 이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모드와 대처 규칙에 의해 자동으로 환경을 감지하고 청소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 청소기의 제조 업체는 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Device API를 제공하고 있다.  자바 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웹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A씨는 스마트 청소기를 한대 구매하였다. 이를 구매하여 이용하던 중 A씨는 항상 퇴근 전에 자동으로 청소기기를 구동시켜 청결한 상태에서 퇴근 후 귀가를 하고 싶었다. 따라서 A씨는 청소기의 Device API를 사용하여 트윗 서비스를 통해 청소기에게 구동 명령을 내리고 이를 받은 청소기는 집안 청소를 시작하고 완료 후 이를 다시 트위터를 통해 보고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A씨는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을 청소기에 설치하고 이를 다시 스토아에 무료로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유하였다. 또한 해당 소스코드는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웹 서비스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디바이스에게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기존 수동적인 디바이스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 용도, Life style 등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가령, 트윗의 실시간 검색을 통해 현재 중계 방송중인 야구경기에 대한 시청 소감과 관련 정보 등을 정체하여 실제 TV에서 이를 함께 보여줄 수도 있을 것이며 , 평상시에는 쓸모없이 구석에 넣어둔 디지탈 카메라를 문앞에 설치한 후 실시간에 핸드폰을 통해 카메라에 찍힌 모습을 모니터링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비록 아이로봇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사람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은 아니지만 이제 머지않아 우리는 웹을 통해 디바이스와 대화를 하고 , 디바이스에 새로운 기능(지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핸드폰에  수십 만 개의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듯이 우리는 기존 다비이스에 수 십만 아니 수 백만 개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때 , 기존의 CE 시장은 또 한번의 위기와 기회를 맞게 될 것이다. 이는 먼 미래가 아니라 바로 내일의 모습이다.

본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최근에 애플은 아이폰 SDK 3.0을 소개를 했습니다. 각각의 기능들을 다른 SDK들과 비교한 자료가 눈에 띠어 공유해 봅니다. - http://i.gizmodo.com/5173865/giz-explains-what-makes-the-five-smartphone-platforms-different. 표를 통해 각 SDK간의 주요 차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능 위주의 비교와 더불어 현재 각 SDK들은 놀라운 속도로 기능과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가히 전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일정은 최근 심비안에서 발표한 2009년 이후의 Release 일정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까지 3번의 Major Release가 잡혀있는 걸 보면 상당한 변환가 기대됩니다. 또한 기존 심비안 개발자에게 안정적인 일정을 미리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개발자의 동요를 막는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 이처럼 현재 모바일 SDK는 전쟁에 있어 기능의 차별화 더불어 속도는 가장 중요한 경쟁력인 것 같습니다. 이런 걸 디지탈 사시미전략이라고 하죠...^-^  - 디지탈 사시미 전략과 소프트웨어 개발


Posted by 박재현
,

스마트폰은 기존 폰의 기능에 PC처럼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폰보다 훨씬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수적이다. 보다 강력한 CPU와 저전력 기술, 메모리와 스토리지 등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이 하드웨어가 계속해서 발전은 하겠지만 그 발전 속도가 사용자의 상상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준일까?

답은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발전속도가 사용자의 요구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이다.
현재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수준은 기존 데스크탑PC상에서 사용자들이 누리던 사용성과 속도 등을 보장해주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 무엇일까? , 바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는 것이다.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서버 클라우드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네트웍을 통해 전달받는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바로 모바일 네트웍의 발전이 스마트폰 하드웨어의 발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많은 스마트폰이 3G 네트웍을 지원하고 있다. 이후 WiBro,Wimax 등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네트웍을 지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현재 Intel의 Moostown과 퀄컴의 Snapdragon은 모바일 네트웍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2007/11/07 - [Hot Issues] - 구글 안드로이드를 보는 또다른 시각:MID VS 휴대폰
2008/06/07 - [Mobile Service] -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의 성공 가능성을 고민해 본다.

스마트폰의 디바이스 발전 속도에 비해 네트웍 발전 속도가 빠르고 현재 스마트폰용  Chipset 들이 보다 무선 네트웍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하게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클라우드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결코 경쟁력있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아이폰의 모바일미, 노키아의 Ovi , 블랙베리의 Pushmail, 안드로이드폰의 구글서비스는 모두 인터넷상의 모바일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현재 국내.외의 많은 디바이스 업체이 스마트폰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하드웨어를 잘 만드는 것과 더불어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들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야만 스마트폰 시장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이다. 바로 이 점이 구글,애플과 국내 디바이스 업체들과의 차이점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박재현
,

오늘(11일) 강원도 홍천에서 열리는 MobileWeb2.0 Camp에 참석을 합니다. 이곳에서 "스마트폰이 만드는 변화를 어떻게 기회로 만들 것인가?" 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려 볼까 합니다. 잠시 시간을 내어 곰곰히 고민을 하며 주제에 대해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
     

스마트폰 , 과연 무엇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PC처럼 기존 폰과 달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핸드폰을 말한다. 물론 기존폰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화 자체의 기능은 포함한다. 대표적인 스마트폰인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심비안폰 등은 몇가지 공통점을 갖는 다.  첫째 , 플랫폼과 개발용 SDK를 무료로 공개한다는 점이다. 또한 앱스토아, 구글 마켓 등 오픈 마켓을 제공한다는 것이 두번째이다. 세번째는 모두 핸드폰이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둘러싼 환경은 응용 프로그램과 컨텐트 공급업자에게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생산과 공급의 자유를 제공하고 , 이렇게 제작된 결과물을 오픈 마켓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의 자유를 제공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과 소비의 자유는 특정 통신업체에 의해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되던 기존 시장 모델과 완전히 대치되는 모델이며 파괴 비지니스 모델이다.  기존의 모바일 마켓플레이스 분야에서 1위 업체인 Handango와 2위 업체인 PocketGear같은 업체들의 현재 상황을 보면 앱스토와 구글마켓 같은 오픈마켓의 파괴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현재 이들 업체는 존폐위기에 놓일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모바일 컨텐트 시장의 파괴적 변화는 다양한 구성인자(Actors)들에게 많은 위기와 기회를 주고있다. 특히, 프리코노믹스에 기반한 파괴적 컨텐트 공급 정책은 기존 컨텐트 공급업자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과연 어떤 기회들이 존재할까?

1. 사용자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핸드폰 공급업체가 제공하던 보조금이 폐지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저렴한 디바이스와 더불어 다양한 컨텐트들을 무료내지 저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찾게 될 수 도 있다.

2. 개발자(개발자)는 자유를 얻고 새로운 시장을 얻는다.
기존의 특정 통신 업체의 폐쇄적인 공급 구조에서 벗어나 새롭고 자유로운 판매 채널과 시장의 창출의 기회를 갖게 된다. 가령, 최근 게임빌은 안드로이드용 '패쓰 오브 어 워리어: 임페리얼 블러드'와 '베이스볼 슈퍼스타즈 2008'를 개발하고 구글 마켓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며 컴투스는 앱스토아에 게임 3종을 공급하는 등 기존의 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가고 있다. 실제 이 실험이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더 이상 특정 통신 업체에게 휘둘리는 일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아마 없어지진 않을 것이다.
또한 1인 내지 소규모의 개발회사들의 창업이 크게 늘 것이다. 오픈 마켓플레이스는 개발자를 차별화하지 않지 않는다. 모든 것이 소비자의 컨텐트에 대한 판단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의력있는 개발자가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작은 규모의 회사의 입장에서도 충분히 글로벌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와우!!!

3. 제조업체는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갖을 것이다.
기존 통신 업체의 보조금 폐제 , 프리코모믹스의 확산에 따른 무료 스마트폰 디바이스 장비의 출현, 디바이스 구매시 서비스에 의한 선택 등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기존의 스마트폰을 잘만들어진 하드웨어로만 생각하던 제조업체는 참으로 암울한 현실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대한 생각을 바꾼다면 많은 기회를 갖을 수 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오프라인 감각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주는 매개체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눈과 귀, 그리고 입과 혀 등 다양한 감각을 표현할 수 있다. 관심있는 사물에 대해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만들어 내며 , 원하는 소리를 녹음하며 심지어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을 수도 있다. 마치 바이오센서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실제 사용자의 온라인 공간인 블러그와 메신저, 사진 및 비디오 공유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됨으로써 새로운 문화와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이미 애플의 아이폰과 블랙베리는 이러한 기회를 통해 성공한 제품이며 현재에도 노키아, 삼성전자를 비롯해 닌텐도 DSI , 민트패드 같은 다양한 업체들이 이러한 기회를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제조업체들의 경우 소프트웨어 , 특히 서비스에 대한 기술과 개발자 , 기획, 그리고 무엇보다도 마인드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미 수 년 전 부터 수백억$ 투자한 노키아가 구글보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다고 평가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차이에서 기인한다 할 수 있다.

4. 스마트폰은 웹 플랫폼이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는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고 네트웍 환경은 더욱 양호해질 것이다. 저렴한 가격에 무제한 데이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정 기간을 거쳐 자리를 잡을 것이다. 또한 웹 플랫폼으로서의 발전은 계속되어 스마트폰 자체에 웹 서버가 내장되어 완전히 웹의 일부가 될 것이고 탑재된 웹 부라우져는 기존 데스크탑 웹브라우져와 동등한 표현력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SaaS 모델이 일반화될 것이다. 실제 네이트 드라이브같은 서비스를 정액제나 사용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해본 사용자들은 나름대로 만족스로운 경험을 했었을 것이다. 이처럼 게임을 다운로드받는 것이 아니라 가입을 해서 사용하고 , 네비게이터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간 동안 가입해서 사용하고 , 건강 체크 서비스에 가입을 해서 24시간 건강 체크를 하는 것처럼 스마트폰 전용 SaaS 서비스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것이다.

2008/11/08 - [Log/LifeLog] - 아이폰 등의 스마트폰이 만드는 변화를 어떻게 기회로 만들 것인가?
2008/12/03 - [Mobile Service] - 안드로이드폰 사용기(2)-Open Market 관련
2008/12/04 - [Mobile Service] - MS의 마켓플레이스가 이렇게 제공된다면...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