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기술표준원에서 열린 OOXML의 ISO 표준안 표결에서 찬성했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각 나라들의 결과가 집계되어 공식 발표가 되지 않았지만 OOXML의 ISO 표준 통과는 대세인 것 같습니. 이제 문서 표준을 둘러싼 논쟁은 정리하고 오피스 시장에서 OOXML과 ODF가 가져다 줄 기회와 이를 잡기 위한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회들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 mashup 문서가 일반화된다.
Youtube의 동영상 , 플리커의 이미지 등 외부의 컨텐트가 매쉬업된 문서가 일반화된다. 마찬가지로 기업내부에서도 CRM,ERP 등 기업 기간 시스템과 연계된 오피스 문서, 외부 DB 등이 연계된 문서가 일반화된다.특히, 이들 문서는 정적인 문서가 아니라 동적으로 매쉬업된 문서가 변경되고 관리되어 질 것이다.
- 기업내에서도 컨텐트 재사용이 일반화된다.
회사의 머리말,붙임말,로고 등 공통 컨텐트를 중앙에서 관리, 공유한다.
- 문서에 정책과 룰등을 부가하는 등 정책과 규칙을 통해 문서를 검사하고 정제하는 게 일반화된다.
- 문서의 DB화가 일반화된다.
기존 XML DB 가 기업의 문서 관리 DB 로서 각광받게 되며 이에 따라 기존의 파일 관리 위주의 문서 관리 시스템은 변화해야 만 한다.
- 문서 자체의 교환뿐만 아니라 문서의 의미,스타일 등 구성요소간의 교환이 일반화된다.
- 기존 리거시 문서(100경)를 XML문서화하고 이를 정제(매쉬업)하여 재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업이 각광받는다.
문서 DRM, EDMS,문서 백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다음과 같은 기회들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 mashup 문서가 일반화된다.
Youtube의 동영상 , 플리커의 이미지 등 외부의 컨텐트가 매쉬업된 문서가 일반화된다. 마찬가지로 기업내부에서도 CRM,ERP 등 기업 기간 시스템과 연계된 오피스 문서, 외부 DB 등이 연계된 문서가 일반화된다.특히, 이들 문서는 정적인 문서가 아니라 동적으로 매쉬업된 문서가 변경되고 관리되어 질 것이다.
- 기업내에서도 컨텐트 재사용이 일반화된다.
회사의 머리말,붙임말,로고 등 공통 컨텐트를 중앙에서 관리, 공유한다.
- 문서에 정책과 룰등을 부가하는 등 정책과 규칙을 통해 문서를 검사하고 정제하는 게 일반화된다.
- 문서의 DB화가 일반화된다.
기존 XML DB 가 기업의 문서 관리 DB 로서 각광받게 되며 이에 따라 기존의 파일 관리 위주의 문서 관리 시스템은 변화해야 만 한다.
- 문서 자체의 교환뿐만 아니라 문서의 의미,스타일 등 구성요소간의 교환이 일반화된다.
- 기존 리거시 문서(100경)를 XML문서화하고 이를 정제(매쉬업)하여 재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업이 각광받는다.
문서 DRM, EDMS,문서 백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Office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오피스 2007 , ODF/PDF/XPS 포맷 지원 (1) | 2008.05.22 |
---|---|
ThinkFree Workspace (0) | 2008.05.04 |
어도비 Share 서비스 (0) | 2008.05.01 |
마이크로소프트의 알바니 비지니스 모델 (0) | 2008.04.23 |
2008 온라인 오피스 서비스 정리-스프레드시트 (5) | 2008.04.14 |
ODF,OOXML이 가져올 새로운 기회들 (2) | 2008.03.30 |
오피스 문서 표준화를 둘러싼 잔상 (4) | 2008.03.28 |
2008 온라인 오피스 서비스 정리-워드프로세스 (2) | 2008.03.13 |
2008 온라인 오피스 서비스 정리- 오피스 문서 UCC (0) | 2008.03.10 |
[발표 자료 공유] The office on the move , Boundless Office (0) | 2008.03.05 |
MS의 오피스 전략 이해해보기(2/2) (0) | 2008.02.2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사실 데이터를 서식을 갖춘 문서로 만드는 것 자체가 조금은 비효율적이죠. 서식에 대한 중요성이 약해지고있는 시점에 너무 늦게 문서 표준이 정해진 것 같습니다.
웹이나 DB의 데이터 연동으로 발전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포맷에 구애받지않는 문서 환경.. 정말 바랬었는데. 이제서야 이루어 지는군요.
사실 문서에서 데이타 그 자체와 뷰(렌더링)은 본래 분리되던 것을 WYSWYG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사용자 관점에서도 동일시된 경향이 강합니다. 이제 포맷에 의해 더 이상 오피스 툴에 지배되는 경향이 줄겠죠. LaTex를 사용해서 스타일일 만들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가 나오지 않을까싶습니다. 사용자는 그저 데이타만 입력하고 스타일은 자유자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