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런 질문을 받았다. "앞으로 SaaS 분야의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사용자들이 얻게 되는 이득과 개발업체들이 얻게되는 이득을 고려할 때 합리적 선택을 한다면 SaaS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합리적 선택"은 경제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론이다. 팀 하포트가 집필한 경제학 콘서트란 책은 "합리적 선택이론"에 근거하여 십대들의 구강성교가 늘어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 현상을 설명한다. 합리적 선택은 다양한 상황하에서 발생한다. 가령, 서울에서 부산까지 출장을 가야 한다고 하자.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교통편은 자가용과 고속버스만 있다고 생각해 보자. 만일 바로 부산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와야 한다면 정상적이라면 고속버스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중간에 대전에서 잠시 들려 고객을 만나고 부산에서 돌아오는 길에 대구에서 잠시 고객을 만나야 한다면 자가용을 선택할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선택이 합리적 선택이다.
합리적 선택에 근거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을 생각해 보자. 왜 국내 소프트웨어 분야가 점점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일까?
개발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 입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노력에 비해 보수가 적은 3D분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공선택에 있어서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특별한 사명감(?)을 갖고 있는 학생을 제외하고 우수한 학생들은 의대나 생명공학같은 학과를 선택한다. 이런 과정에서 전산을 선택한 학생들은 졸업 후 다시 한번 취업을 위해 합리적으로 선택을 해야 한다. 당연히 이 때 선택은 가급적 규모가 크고 안정적이며 대우가 좋은 대기업을 선택한다. 대기업에 선택받지 못한 예비 개발자는 벤처나 중소 기업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소프트웨어 분야를 포기하고 다른 업종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벤처나 중소기업들의 경우 먹이사슬의 가장 하단부에서 피를 빨리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대형SI들이 수주를 하고 이들 업체에게 하청관계로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업체들은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과다한 업무를 적은 대가를 받고 개발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개발자에게 적은 보수를 주고 과다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선택은 일단 경력과 실무를 쌓고 대형SI나 다른 안정적인 기업으로 이직을 하는 것이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이직을 하는 개발자는 능력과 경쟁력을 갖춘 개발자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력도 없는 개발자는 더욱 열악해진 상황에서 개발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신세를 친구나 후배에게 직.간접적으로 이야기를 한다. 따라서 예비 개발자는 본인의 개발자로서 미래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며 다시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제 다시 솔루션 분야의 개발자가 아니라 CEO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멋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다. 초기 영업과 마케팅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영업과 마케팅은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대기업에게 집중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렇게해서 프로젝트가 성사가 되더라도 저가로 수주한 프로젝트로는 수익을 맞출 수가 없다. 따라서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자에게 적은 임금을 주고 개발을 하거나 다시 재하청을 주는 수 밖에 없다. 이미 창업과 회사 운영을 위해 많은 부채를 안고 있는 CEO들은 무한 책임을 지기때문에 다른 선택도 할 수 없다. 유일하게 CEO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회사를 지키면서 끝까지 함께하는 것이다.
고객 입장에서의 합리적 선택을 생각해 보자.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고객 입장에서 현재 구조라면 당연히 대형SI회사에게 발주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다. 왜냐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작은 회사에 발주를 했다 해당 회사에 문제가 생겨 어려움에 빠지는 것을 결코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상황은 실제 우리 소프트웨어 업계의 모습이다. 과연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할까?
이렇게 대답하였다. "사용자들이 얻게 되는 이득과 개발업체들이 얻게되는 이득을 고려할 때 합리적 선택을 한다면 SaaS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합리적 선택"은 경제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론이다. 팀 하포트가 집필한 경제학 콘서트란 책은 "합리적 선택이론"에 근거하여 십대들의 구강성교가 늘어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 현상을 설명한다. 합리적 선택은 다양한 상황하에서 발생한다. 가령, 서울에서 부산까지 출장을 가야 한다고 하자.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교통편은 자가용과 고속버스만 있다고 생각해 보자. 만일 바로 부산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와야 한다면 정상적이라면 고속버스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중간에 대전에서 잠시 들려 고객을 만나고 부산에서 돌아오는 길에 대구에서 잠시 고객을 만나야 한다면 자가용을 선택할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선택이 합리적 선택이다.
합리적 선택에 근거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을 생각해 보자. 왜 국내 소프트웨어 분야가 점점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일까?
개발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 입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노력에 비해 보수가 적은 3D분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공선택에 있어서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특별한 사명감(?)을 갖고 있는 학생을 제외하고 우수한 학생들은 의대나 생명공학같은 학과를 선택한다. 이런 과정에서 전산을 선택한 학생들은 졸업 후 다시 한번 취업을 위해 합리적으로 선택을 해야 한다. 당연히 이 때 선택은 가급적 규모가 크고 안정적이며 대우가 좋은 대기업을 선택한다. 대기업에 선택받지 못한 예비 개발자는 벤처나 중소 기업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소프트웨어 분야를 포기하고 다른 업종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벤처나 중소기업들의 경우 먹이사슬의 가장 하단부에서 피를 빨리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대형SI들이 수주를 하고 이들 업체에게 하청관계로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업체들은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과다한 업무를 적은 대가를 받고 개발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개발자에게 적은 보수를 주고 과다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선택은 일단 경력과 실무를 쌓고 대형SI나 다른 안정적인 기업으로 이직을 하는 것이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이직을 하는 개발자는 능력과 경쟁력을 갖춘 개발자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력도 없는 개발자는 더욱 열악해진 상황에서 개발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신세를 친구나 후배에게 직.간접적으로 이야기를 한다. 따라서 예비 개발자는 본인의 개발자로서 미래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며 다시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제 다시 솔루션 분야의 개발자가 아니라 CEO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멋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다. 초기 영업과 마케팅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영업과 마케팅은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대기업에게 집중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렇게해서 프로젝트가 성사가 되더라도 저가로 수주한 프로젝트로는 수익을 맞출 수가 없다. 따라서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자에게 적은 임금을 주고 개발을 하거나 다시 재하청을 주는 수 밖에 없다. 이미 창업과 회사 운영을 위해 많은 부채를 안고 있는 CEO들은 무한 책임을 지기때문에 다른 선택도 할 수 없다. 유일하게 CEO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회사를 지키면서 끝까지 함께하는 것이다.
고객 입장에서의 합리적 선택을 생각해 보자.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고객 입장에서 현재 구조라면 당연히 대형SI회사에게 발주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다. 왜냐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작은 회사에 발주를 했다 해당 회사에 문제가 생겨 어려움에 빠지는 것을 결코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상황은 실제 우리 소프트웨어 업계의 모습이다. 과연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할까?
'Hot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치 서비스를 둘러썬 여러 통계들과 고민거리 (0) | 2011.05.09 |
---|---|
2010년 기술 전망 (0) | 2010.01.02 |
Digital Korea? (2) | 2008.12.25 |
더 이상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이 벌어서는 안된다. (0) | 2008.11.30 |
플랫폼은 플랫폼적 사고에서 출발한다. (0) | 2008.10.21 |
오픈 API를 다시 생각해 본다. (3) | 2008.10.04 |
세상이 참 많이 변해 있더라 ^-^ (3) | 2008.09.25 |
구글의 태터앤컴퍼니 인수를 접하며. (4) | 2008.09.12 |
디지탈 사시미 전략과 소프트웨어 개발 (4) | 2008.06.15 |
촛불 2.0 (1) | 2008.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