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Hot Issues 51

2014년 지금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심각한 고민

2014년 지금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심각한 고민 올해 5월 유렵연합의 최소 법원인 유럽 사법 재판소의 구글의 "잊혀질 권리" 판결을 보면서 클라우드에 저장된 개인의 데이타는 특정 회사의 소유가 아니라 개인 데이타 라는 사실을 새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 애플 같은 빅4는 왜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서 무료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면서 이들 사용자의 데이타를 모으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대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은 바로 2012년 페이스북의 감정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페이스북은 70만명(정확히는 689,003명)에 달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감정의 상태에 따라 뉴스 피드를 조작을 했고 감정에 따라 뉴스 피드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Hot Issues 2014.07.08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가 뮤직 시장의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가 뮤직 시장의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 몇 일 전 , 모 신문 지면을 통해 접한 세계 디지탈 뮤직 시장의 매출 규모. 다운로드 시장은 성장율이 저조한 반면 스트리밍 뮤직 서비스의 성장이 거세다. 세계 디지탈 뮤직 시장 매출 규모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평균성장율 스트리밍 353 532 809 1211 1701 2219 44.4% 다운로드 3,368 3,630 3,847 3,952 4,003 4,050 3.8% , 전 세계 뮤직 시장은 ? 한국 컨텐트 진흥원, 세계 디지털 음악시장의 유통과 수익구조 분석이라는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뮤직 시장은 다음과 같다. - 세계 뮤직 시장의 규모는 498억 8,600만 달러 ..

Hot Issues 2013.05.26

위치 서비스를 둘러썬 여러 통계들과 고민거리

Neilson과 AT&T에서 2011년 3월 1,500 모바일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이다. - 지역 기반 검색은 식당과 엔터테인먼트에서 가장 많음 - 이동중에는 식당과 상점의 검색이 가장 많음 - 약 50%의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공개하고 있음 - 지역 기반 검색을 한 사람들의 25%가 최소 1주일에 한번 모바일 광고를 클릭함 - 64%는 맞춤형 광고에 관심이 있으며, 46%는 광고에 반응을 보였음. - Tablet 사용자들은 위치 공개에 더 적극적이며 위치 기반 광고에 대한 반응이 더 높음 - 43%는 지역 기반 검색 후 상점에 방문을 하였음 - 사람들은 근접성을 할인율보다 중요하게 생각함 위의 통계 정보를 유추해 보더라도 위치 기반의 쇼핑, 위치 기반 SNS 등 다양한 서비스가 떠오른..

Hot Issues 2011.05.09

2010년 기술 전망

2010년 방송통신시장에 대한 전망을 묻는 KT 경영경제연구소의 설문이 있었습니다. 간략히 2010년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저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이슈 1: 컨버전스 서비스가 이슈화될 것이다. 현재 Qook&Show 같은 형태의 유.무선 , 디지털.아날로그간의 컨버전스와 더불어 3 Screen 이라 불리는 PC, Mobile, TV 간의 컨버전스 서비스가 출현되고 본격화 될 것이다. 특히, 2010년 애플 TV가 출시되면 기존 애플의 PC,아이팟/아이폰과 함께 3Screen 기반의 컨버전스 서비스를 본격화하여 가전 시장을 정보 및 컨텐트 시장으로 전환시킬 것이다. 이를 기점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하드웨어 업체로서 삼성전자와 소니 등에서도 이러한 컨버전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Hot Issues 2010.01.02

Digital Korea?

크리스마스 연휴동안 밀렸던 뉴스를 읽던 중 영국에 있는 한 친구가 Digital Korea 란 책을 소개해주었다. 첫눈에도 우리나라가 Digital 강국 이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Digital 분야에 종사하는 한사람으로서 씁쓸한 생각을 할 수 밖에는 없었다. 이 책의 저자인 Tom Ahonen과 Jim O'Reilly는 다음과 같이 Digital Korea를 소개하고 있다. The book discusses a country where every household internet connection has already been upgraded to broadband; where 100 mbit/s speeds are already sold and gigabit speeds..

Hot Issues 2008.12.25

더 이상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이 벌어서는 안된다.

네이버가 변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포탈들은 폐쇄적인 운영으로 인해 국내 컨텐트 사업의 성장을 막는 공적으로 불려왔다. 물론 이는 국내 포탈뿐만 아니라 모바일 컨텐트의 지배자인 텔레콤 회사들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모비젠님의 장미및 모바일 게임 그러나 우리는.. 이라는 포스팅을 보면 국내 모바일 컨텐트의 환경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먹이사슬의 끝에 있는 네이버의 변화되는 모습을 보면 긍정적인 변화는 틀림이 없다. 특히, 첫페이지의 편집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준다는 오픈캐스트와 지난 22일 오픈한 디벨로퍼 센터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디벨로퍼 센터를 통해 이번에 제공된 오픈소스 면면을 보면 알차다고 평가하고 싶다. 큐브리드 DBMS에서 부터 Smart Editor..

Hot Issues 2008.11.30

플랫폼은 플랫폼적 사고에서 출발한다.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IT 용어가 무엇일까 고민해 보았다. 아키텍쳐, 패턴,프레임웍 그리고 플랫폼이 아닌가 싶다. 이중에서 요즘 아주 지긋지긋하게 사용하는 단어가 바로 플랫폼이다. 구글 플랫폼이 어쩌구 저쩌구, 애플 플랫폼이 어쩌구 저꺼구 , 노키아 플랫폼이 어쩌구 저쩌구 그러니 우리가 어떻게 플랫폼을 구성해야 하고 어쩌구 저쩌구.. 오후가 되면 머리가 지끈지끈하다. 위키에 보면 플랫폼을 다음과 같이 설명해 주고 있다. In computing, a platform describes some sort of hardware architecture or software framework (including application frameworks), that allows software to run...

Hot Issues 2008.10.21

소프트웨어 시장과 합리적 선택이론

최근 이런 질문을 받았다. "앞으로 SaaS 분야의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사용자들이 얻게 되는 이득과 개발업체들이 얻게되는 이득을 고려할 때 합리적 선택을 한다면 SaaS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합리적 선택"은 경제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론이다. 팀 하포트가 집필한 경제학 콘서트란 책은 "합리적 선택이론"에 근거하여 십대들의 구강성교가 늘어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 현상을 설명한다. 합리적 선택은 다양한 상황하에서 발생한다. 가령, 서울에서 부산까지 출장을 가야 한다고 하자.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교통편은 자가용과 고속버스만 있다고 생각해 보자. 만일 바로 부산에서 일을 마치고 돌아와야 한다면 정상적이라면 고속버스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

Hot Issues 2008.10.12

오픈 API를 다시 생각해 본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업체들은 왜 오픈 API를 이용할 까? 그리고 왜 사용할까?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API를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구현하고 서버측에서 데이타의 생성,수정, 삭제 등을 위한 로직과 비지니스 로직을 개발한다. 윈도우의 개발시 사용하던 MFC나 WPF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때 사용하는 API는 오픈 API가 아니다. 그렇다면 오픈 API가 무엇일까? 위키를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Open API (often referred to as OpenAPI) is a word used to describe sets of technologies that enable websites to interact wit..

Hot Issues 2008.10.04

세상이 참 많이 변해 있더라 ^-^

1. 학교의 변화 1970년대 학교 풍경, 선생님 : 눈 안깔아! 뭘 잘했다고 빤히 쳐다보고 말대꾸야! 이게 퍽 퍽 퍽... 학생 : 윽~~윽~~~ 2000년대 학교 풍경, 선생님 : 어딜 쳐다보는 거야? 말할 때는 사람눈을 봐야지...여차여차해서 잘못한거 맞지? 학생 : 네! 부분적으로는 제 잘못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건 여차여차해서 하게 된 것 입니다. 선생님 : 그래 , 알았다. 앞으로는 이 부분은 좀 주의했으면 좋겠다. 확실히 교육 환경이 중요하다. 정말 1970년 경에는 공부가 재미있었을까? 재미없는 공부를 하며 얼마나 머리속에 남은 게 있을까? 하긴 누군가 중학교때 죽도록 맞으며 외운 한자는 죽을때 까지 기억난다라는 자조섞인 말을 하던데..그게 교육의 효과인지 체벌의 효과인지는 모르겠다! ..

Hot Issues 2008.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