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지금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심각한 고민




올해 5월 유렵연합의 최소 법원인 유럽 사법 재판소의 구글의 "잊혀질 권리" 판결을 보면서 클라우드에 저장된 개인의 데이타는 특정 회사의 소유가 아니라 개인 데이타 라는 사실을 새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 애플 같은 빅4는 왜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서 무료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면서 이들 사용자의 데이타를 모으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대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은 바로 2012년 페이스북의 감정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페이스북은 70만명(정확히는 689,003명)에 달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감정의 상태에 따라 뉴스 피드를 조작을 했고 감정에 따라 뉴스 피드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 냈다.(아마 이 실험 결과로 지금 페이스북은 열심히 광고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 웹 브라우징 정보를 광고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을 보면 페이스북은 더욱 광고 수익에 몰두할 것이 분명하다.

 


결국 이러한 무료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이유는 사용자와 사용자 데이타를 모으고 이를 바탕으로 막대한 수익을 내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그리고 다소 늦었지만 내실 있는 클라우드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애플, 잊혀진 최강자 MS 등이 각기 자신의 사업을 강화하고 새로운 사업 기획를 창출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경주하고 있다. 



특히, 구글은 구글IO를 통해 안드로이드를 완전히 통제하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발표했고 , 이러한 안드로이드를 모바일을 중심으로 자동차/TV 등 가전/웨어러블 등 모든 분야로 확산하겠다고 했다. 안드로이드에 탑제되어 있는 구글의 모든 서비스는 15G를 무료로 제공하는 구글 스토리지 클라우드 기반이다.  


클라우드에 관한 한 후발업체였던 애플은 디바이스간 자동 싱크 기능을 필두로 iOS8과 OS X의 요세미티 버전을 발표하면서 5G 무료 스토리지인 iCloud Drive와 디바이스간 사진 동기화 서비스인 포토 라이브러리 , 5G 대용량 첨부 파일 메일 발송 기능은 Mail Drop 을 발표했고 한발 더 나아가 개발자들에게 어플 개발시 iCloud를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Cloud Kit을 제공한다고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클라우드 전쟁에 동참하였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과연 후발업체들은 어떻게 경쟁을 해야 할 까? 이들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 할 까? 아니면 과감하게 포기하고 이들의 만든 먹이 사슬의 일부분에 만족을 해야 할까? 


아마도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의 후발업체와 모바일 제조업체들은 큰 기로에 서 있다. 특히, 구글 안드로이드 기반의 하드웨어 업체들은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공통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점점 차이가 없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저가의 중국산 안드로이드폰과 고가의 국내산 안드로이드폰간에 차이가 없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 중국의 저가 안드로이드폰이 더 가격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어찌하는 게 좋을까?



- 집요하게 중앙의 클라우드에 사용자의 모든 데이타를 모으고 락인(Lock-In)을 하려는 구글 등 앞선 업체 보다 클라우드를 더 잘하겠다는 희망을 버리고 구글이 진출하지 않는 분야에 집중을 해야 할 까?! ( 하늘에 비행선을 띄우고 우주에 엘리베이터를 만드는 구글이 진출하지 않는 분야가 있을까? )


- 과감하게 클라우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구글보다 더 좋은 사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해야 할 까? 


의사결정의 이슈와 문제겠지만 세상의 클라우드화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많은 곳에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시도들이 되고 있다. 


-  중앙 클라우드에 모든 데이타를 모으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타를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서 사용하게 하게 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Personal Cloud , 비트토런트 싱크 , 그리고 최근에 COSCO에서 발표한 Fog Computing 같은 방법은 현재 클라우드로의 집중화를 일정 정도 해결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많은 영감을 준다.  


이 모든게 선택의 문제지만 클라우드를 피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자신의 데이타에 접속하여 활용하길 원하고 클라우드는 현존하는 최고의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에서 유일한 해결책은 없다. 환경과 주변 여건이 변하면 이에 따라 새로운 방안과 기술이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박재현
,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가 뮤직 시장의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




몇 일 전 , 모 신문 지면을 통해 접한 세계 디지탈 뮤직 시장의 매출 규모.  다운로드 시장은 성장율이 저조한 반면 스트리밍 뮤직 서비스의 성장이 거세다.


세계 디지탈 뮤직 시장 매출 규모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평균성장율

 스트리밍 

 353

 532

 809

 1211

 1701

 2219

 44.4%

 다운로드

 3,368

 3,630

 3,847

 3,952

 4,003

 4,050

 3.8%


< 가트너 , 스트라베이스 > , <단위 : 백만불>


전 세계 뮤직 시장은 ?


한국 컨텐트 진흥원, 세계 디지털 음악시장의 유통과 수익구조 분석이라는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뮤직 시장은 다음과 같다.


- 세계 뮤직 시장의 규모는 498억 8,600만 달러 , 이 중에서 디지털 음악시장은 77억 3,1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5.5%임(라이브음악 : 기록음악의 물리적 유통 : 디지털 유통으로 나누어 보면 3 : 2 : 1 의 

규모임)


- 세계 디지털 음악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연평균 12.6%의 성장추세


- 2012년 2/4분기 미국 다운로드 시장에서 1위는 iTunes로 64%, 2위는 Amazon MP3로 16%, 3위는 

Google Play로 5%, 나머지는 eMusic, Zune 등.


- 스트리밍 시장의 경우, 2012년 2/4분기 미국에서 인지도 1위는 Pandora로 50%, 2위는 

iHeartRadio(Clear channel)으로 25%, 3위는 Spotify로 19%로 조사됨.






스트리밍 뮤직 서비스가 확산되는 이유가 뭘까?


MP3를 다운로드 받고 이를 여러 디바이스상에 자유롭게 복사하여 듣던 음악을 왜 사람들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즐기고자 할 까?


먼저, 인터넷의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 대용량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가 일반화되어 무료 내지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음악을 한곳에 저장하고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 개의 디바이스가 아니라 복 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점 차 늘게 되면서 이들 디바이스간에서 뮤직 파일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원하는 뮤직을 무료 내지 저렴한 가격에 스트리밍으로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결국,  기술적 환경과 사용자의 욕구가 뮤직 시장을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 중심으로 옮겨 가게 하였고, 뮤직 업체들도 결국 치열한 경쟁을 위해 과거 다운로드에서 , 그리고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의 라커로 , 그리고 다시 라커에서 스트리밍으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쇼셜과 스트리밍 기반 뮤직 서비스가 새로운 돌파구가 될까?


뮤직 시장의 신흥 주자를 보면 쇼셜 기반의 Spotify와 판도라가 눈에 눈에 띤다. Spotify는 페이스북 플랫폼을 활용하여 급속히 성장을 하였는데 현재 유료 가입자 600만명 , 28개국 2천 4백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한 상태이다. 


이들 신흥주자외에 다운로드 뮤직 시장의 선두주자 애플은 아이라디오 라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중에 있고 , 구글 역시 올해 열린 구글 IO에서 9.9$ 월정액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공개하였다.  


그리고 이들 업체들과 달리 페이스북은 판도라와의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뮤직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판도라에서 듣는 음악을 프로필 음악 섹션에서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다시 말해,  판도라에서의 음악 활동은 페이스북 프로필 음악 섹션에서 모아져 전시되며 Opt-in을 통해 모든 판도라 에서의 활동 혹은 특정 음악관련 히스토리(ex. 당신이 추천하는 음악)만을 골라서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내용의 협상을 1년 넘게 하였다고 한다. 


역설적이지만 현재 디지탈 뮤직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이다. 


수 많은 뮤직 서비스 업체들이 뮤직 서비스를 하고 있고 이들 업체들이  혼전을 거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존 다운로드 기반 서비스 업체들을 궁지로 몰 것이다. 왜냐하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서는 막대한 운영비와 운영 기술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사용자 입장에서 다운로드 보다 스트리밍 기반 뮤직 서비스는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스트리밍 기반의 서비스는 뮤직 뿐만 아니라 비디오 등 전 디지털  컨텐트로 급속히 퍼지고 있다. )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서는 첫째, 저렴한 비용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스트리밍 모델에 맞는 음원 라이센스를 확보 해야 한다. 가령, 일단 사용자가 듣던 음악을 중단할 경우의 가격 모델 처럼 스트리밍 모델은 기존의 모델과 다르기 때문에 많은 고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결단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결국, 변할 것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박재현
,

Neilson과 AT&T에서 2011년  3월 1,500 모바일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이다.

 

- 지역 기반 검색은 식당과 엔터테인먼트에서 가장 많음

- 이동중에는 식당과 상점의 검색이 가장 많음

- 약 50%의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공개하고 있음

- 지역 기반 검색을 한 사람들의 25%가 최소 1주일에 한번 모바일 광고를 클릭함

- 64%는 맞춤형 광고에 관심이 있으며, 46%는 광고에 반응을 보였음.

- Tablet 사용자들은 위치 공개에 더 적극적이며 위치 기반 광고에 대한 반응이 더 높음

- 43%는 지역 기반 검색 후 상점에 방문을 하였음

- 사람들은 근접성을 할인율보다 중요하게 생각함

 

위의 통계 정보를 유추해 보더라도 위치 기반의 쇼핑, 위치 기반  SNS 등 다양한 서비스가 떠오른다. 이미 이러한 많은 업체들이 이러한 시장을 개척해 가도 있다. eBay의 On-Offline 연계 서비스인 Milo , Groupon Now 서비스 , 위치기반 네트웍 커뮤니티 서비스인 Color 등 많은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위치 정보가 빠진다면.. 앙꼬없는 찐빵 아닐까.. ^-^


Posted by 박재현
,

2010년 기술 전망

Hot Issues 2010. 1. 2. 04:21

2010년 방송통신시장에 대한 전망을 묻는 KT 경영경제연구소의 설문이 있었습니다. 간략히 2010년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저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이슈 1: 컨버전스 서비스가 이슈화될 것이다.

현재 Qook&Show 같은 형태의 유.무선 , 디지털.아날로그간의 컨버전스와 더불어 3 Screen 이라 불리는 PC, Mobile, TV 간의 컨버전스 서비스가 출현되고 본격화 될 것이다. 특히, 2010년 애플 TV가 출시되면 기존 애플의 PC,아이팟/아이폰과 함께 3Screen 기반의 컨버전스 서비스를  본격화하여 가전 시장을 정보 및 컨텐트 시장으로 전환시킬 것이다.
 
이를 기점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하드웨어 업체로서 삼성전자와 소니 등에서도 이러한 컨버전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컨서버스 서비스가 주요한 이슈화가 될 것이다.
 
 
이슈 2: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이다.
 
초기 보안 등의 문제로 인해 도입을 꺼리던 클라우드와 SaaS 컴퓨팅이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크롬OS 기반의 장비 등이 활성화되면서 보다 일반화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통적인 기업에서도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고려하고 도입할 것이다. 먼저 대기업의 경우 , 보안상의 문제가 없는 부분부터 도입을 본격화 할 것이며 중소기업의 경우 , 구글 애플리케이션 처럼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다.
 
 
이슈 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SNS , LBS  서비스 확산 가속화된다.

애플 아이폰, 구글 안드로이드폰 등이 출시되면서 SNS와 LBS 서비스는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수준에서 멈추지 않고 기존의 주소록을 비롯하여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PIMS 데이터와 연계되고 서로 Mash up되어 다양한 형태로 확산이 가속화될 것이다.  특히, 이러한 SNS,LBS 어플은 헬스, 아웃도어 운동 등의 어플들과 연계되어 발전할 것이다.
 
이슈 4: 모바일 금융, 모바일 광고 등 새로운 모바일 서비스와 BM이 출현한다.

광고 기반의 모바일 검색 , 모바일 금융 , 모바일 사용자 성향 분석, 모바일 마케팅, 앱 스토아 등 모바일 오픈 마켓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전문 회사 , 모바일 광고 회사 등 모바일 시장에 특화된 다양한 비즈니스와 BM이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추세의 특징은 소수의 인원으로 운영된다는 데 있을 것이다. 현재 20명 미만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인 타플러스사는 월 100만불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이 모바일 틈세에서 다양한 모델로 매출을 올릴 것이다. 
 
 
이슈 5: 산업간 컨버전스가 본격화된다.

모든 산업은 장보통신을 통해 커버전스 된다. 자동차는 더 이상 기계 산업만의 결과가 아니라 복잡한 소프트웨어와 제어 장비로 이루어진 기계 산업과 정보 통신 산업의 컨버전스를 통한 결과물이다. 자동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산업들은 통신과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고도록 컨버저스화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게 될 것이다. 가령, 단순히 자동차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 외에도 차량용 음악 서비스 및 동영상 서비스, 차량 위치 추적 서비스 및 분실시 작동 금지 서비스 등 다양한 신규 부가 서비스가 창출할 것이다.
 
  
이슈 6: 모바일 오픈 플랫폼 전쟁의 승패가 갈라지기 시작한다.

현재 애플 아이폰 SDK , 구글 안드로이드 SDK, 심비안 SDK , 팜 웹OS , 삼성전자의 바다 SDK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둘러싼 오픈 플랫폼간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폰의 확산과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시장 확대를 노리는 삼성전자의 바다 폰의 확산은  기존 아이폰의 독주에 제동을 걸 것이다. 이에 따라 , 각 사 들은 개발자를 확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늘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몇 개로 추려지겠지만 PC와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제에 대한 중독성이 약하기 때문에 SDK와 플랫폼의 우열보다는 어플리케이션의 양과 질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이다.

2010년 12월에 다시 한번 이 글을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뜻한바 모두 이루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Posted by 박재현
,

Digital Korea?

Hot Issues 2008. 12. 25. 22: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스마스 연휴동안 밀렸던 뉴스를 읽던 중 영국에 있는 한 친구가 Digital Korea 란 책을 소개해주었다.  첫눈에도 우리나라가 Digital 강국 이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Digital 분야에 종사하는 한사람으로서 씁쓸한 생각을 할 수 밖에는 없었다.

이 책의 저자인 Tom Ahonen과 Jim O'Reilly는 다음과 같이 Digital Korea를 소개하고 있다.

The book discusses a country where every household internet connection has already been upgraded to broadband; where 100 mbit/s speeds are already sold and gigabit speeds already coming; where every phone sold is a cameraphone; where three out of every four mobile subscriptions is a 3G connection; where cars and PCs and mobile phones now ship with in-built digital TVs; where 42% of the population maintain a blogsite and four out of ten have created an avatar of themselves; where over half of the population pay with cellphones and 25% of the total South Korean population have participated inside a multiplayer online game, in fact inside the same multiplayer online game.

The stories from South Korea are each more amazing than the last. 50,000 citizen journalists write the national Ohmy News newspaper. While Second Life fascinates western media for its 2 million users, South Korean Cyworld has 20 million users. While we tend to view the 8 million active users of the World of Warcraft as a milestone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South Korean Lineage already has 14 million active gamers.

그리고 이 책의 뒤편에는 이러한 디지탈 강국의 이면에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 많은 언급이 있었다. 과연 지금의 현실은 어떠한가 반문해 보면 디지탈 강국의 미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현재 우리나라의 정부에서 Digital korea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이 있을까? 대운하같은 비생산적인 투자보다 모바일 인프라와 디지탈 기술의 육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이 더 많은 채용과 기회를 낳는 다는 것은 누구보다도 당연한 것 아닐까? 크리스마스날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나도 참..가엽다....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