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IT 68

비지니스 모델 정리를 위한 프레임웍

비지니스 모델 정리를 위한 프레임웍 창업을 하거나 , 또는 직장에서 신규 과제를 할 경우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사업 아이템과 신규 과제의 가치를 명확하게 하고 이를 어떻게 수행하여 성과를 낼 것인지 정리하는 것 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내용을 정리한 것을 "비지니스 모델" 이라고 한다. 비지니스 모델은 사업전이나 사업중간에 반드시 반복적으로 재검증하며 제대로 진행중인지, 그리고 내.외부의 여러 요인들에 따라 변경을 해야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비지니스 모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프레임웍과 이를 점검하기 위한 많은 경험의 결과물들이 많은 것 같다. 필자가 창업을 하던 시기만해도 체계적인 프레임웍 보다는 개인의 정리 및 발표 기술에 대부분을 의지 했었던 것 같다. "비지니스 모델은 하나의 ..

행동하는 리더들의 체크리스트 (The leader’s checklist - 15 Mission-Critical Principles, 2/2)

행동하는 리더들의 체크리스트(The leader’s checklist - 15 Mission-Critical Principles, 2/2) 이 책은 통계 등 과학적인 데이타를 근거로 도출된 결과가 아니라 저자가 여러 리더들을 인터뷰하면서 그들이 갖고 있는 체크 리스트들 중에 공통적이고 중요한 것들을 도출한 것이다. 필자가 이 책을 읽던 중 많은 생각을 하게 한 부분은 저자가 라우렌세 골보르네 칠레 광업부 장관과의 인터뷰이다. 2010년 8월 5일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의 개인 광산에서 33명의 칠레 광부가 지하 갱도에 갇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결론적으로 33인의 광부는 1억명의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모두 구출이 되었다. - 8월 5일 사건 당일 라우렌세 골보르네 칠레 광업부 장관은 에콰도르 수도 키..

행동하는 리더들의 체크리스트(The leader’s checklist - 15 Mission-Critical Principles, 1/2)

행동하는 리더들의 체크리스트(The leader’s checklist - 15 Mission-Critical Principles, 1/2) 리더쉽이람 위험을 나누는 것이고 귄위적인 리더쉽의 토대가 “지휘 및 통제” 였다면 미래의 복잡한 사건에 필요한 리더는 “연결과 협력, 조정”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 911을 진두지휘한 뉴욕 소방 당국 죠셥 파이퍼 국장. 야구 선수가 타석에 들어서가나 골프 선수가 샷을 날리기 위해서는 일련의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이 준비 과정을 보면 모든 선수가 나름대로 자기 만의 방식(루틴)을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일상 생활도 유사하다. 항상 아침에 일어나면 각기 나름대로 자신의 방식대로 하루를 시작한다. 회사에 출근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출근하자 마자 ..

생활플랫폼의 기반 , 푸드 플랫폼

생활플랫폼의 기반 , 푸드 플랫폼 최근 유행하고 있는 O2O , 생활 플랫폼들은 모두 일상 생활에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애고 편리함과 더불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일상 생활을 달리 표현하면 오욕(五慾)과 칠정(七情) 과 관련된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오욕(五慾); 재(財), 색(色), 명(名), 리(利), 안일(安逸)을 말하는데 더러는 재. 색, 식(食),명, 수(睡; 잠 자는 것)을 말한다. 재란 재물에 대한 욕심을 말하는 것이고, 색이란 이성에 대한 욕심을 말하는 것이요, 명이란 명예에 대한 욕심을 말하는데 수도인이 가장 마지막까지 겪어야 하는 욕심이기도 한다. 이란 이익이 되는 어떤 것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안일이란 이제 수도가 이 정도 되었으면 하고 더 이상의..

혁신의 시대를 다시 생각해 본다.

혁신의 시대를 다시 생각해 본다. 2015년 한 해가 저물고 있다. 이제 달력이 12월 한 장 남았는 걸 보니 여러모로 많은 생각이 든다. 올 한 해도 여러 일들이 있었지만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IT 기술을 통한 오프라인 비지니스에서의 혁신이다. 에어비엔비, 우버를 필두로 최근 삼성페이에 이르기까지 IT 기술은 오프라인에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 내고 있다. IT 기술 측면에서는 Social - Mobile - Cloud - Analysis 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오프라인 비지니스의 기존 질서를 새롭게 바꾼다. 이 질서를 바꾸는 과정이 혁신이다. 다시 말해 , 지금은 신기술을 통해 기존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내는 혁신의 시대라 할 수 있다. 많은 기회과 위기가 공존하는 카오스의 시대. 무질서속..

Jet.com , 눈여겨 볼 만한 회원제 쇼셜 쇼핑 서비스

JET.COMClub price savings on pretty much anything you by $49.99 annual membership. 개요 Jet.com은 Mar Lore(과거 Diapers.com이라는 아기용품 쇼핑몰을 아마존에 6천억에 함)가 설립한 회원제 온라인 쇼핑몰이다. 수익원은 단 하나! $49.99의 연간회비이며, 판매자로부터 받는 커미션 등은 전혀 없으며, 그 커미션만큼을 구매자에게 할인해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 연회비조차 해당 기간 동안 그 만큼의 할인을 받지 못하면 환불해 준다(Costco조차 연회비 환불은 없다). 상품 검색, 구매 규모, 구매자의 위치, 마케팅 동의, 결제 수단의 선택 등 구매와 홍보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에서 구매자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

스마트 TV에 대한 생각들

스마트 TV에 대한 생각들 과거 사소한 언쟁을 한 적이 있다. 새로 TV를 구매하려는 데 한 쪽은 요즘 광고에 나오는 스마트 TV를 구매하자는 의견을 , 다른 한쪽은 고가의 스마트 TV 말고 대형 화면에 인터넷 TV와 음악이나 동영상 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 장비만 있으면 된다 라는 의견을 내고 평행선을 달리다 결국 스마트 TV 광고에 판정패를 당하고 결국 고가의 스마트 하다고 광고하는 TV를 구매하였다. 그런데 예상은 했지만 구매한 후에 가족들 누구도 스마트 하다고 말하는 TV를 스마트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대로 네트웍 셋팅도 하지 못하고 리모컨으로 계정을 입력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보면서 막대한 비용을 써서 구매한 스마트TV가 거의 기존의 TV와 별다른 차이 없이 , 왜..

프리젠테이션도 리더가 갖춰야 할 중요한 역량이다.

프리젠테이션도 리더가 갖춰야 할 중요한 역량이다. 발표(Presentation)나 보고(Report)는 성공을 위한 중요한 역량 중 하나이다. 필자의 경우 , 보고와 발표에 목숨거는 여러 사람을 보았고 우습게도 그 능력으로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것도 목도하였다. 개인적으로도 이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중요한 능력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발표와 보고는 분명 다르다. 개인적으로 발표보다 보고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보고는 보고를 받는 사람의 컨디션과 보고하는 사람과의 관계 등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갑/을 관계에 따라 상황이 전개되기 때문에 무척 어렵다. 그러나 발표는 다르다. 관련 요령을 숙지하고 반복 연습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발표를 하는 데 있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해 보자. 1. 메라비언 법칙..

인터뷰

인터뷰 1. 어떤 사업으로 창업을 했었는지? 저는 두번의 창업 경험이 있습니다. 첫번째 창업은 1998년 검색 엔진 분야의 회사를 창업하였고 두번째는 인터넷상의 많은 웹 사이트들을 쉽게 찾고 이용하게 해주는 검색 포탈 처럼 기업이나 관공서 등에서 사용하는 많은 시스템들을 손쉽게 이용하게 주고 기업의 지식을 관리해주는 기업 지식 포탈 분야의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판매하는 사업을 창업하였습니다. 2. 사업 출발 동기는? 1997년 IMF 사태로 외환위기가 우리나라를 엄습했던 시절. 대기업 S/W 연구소에 근무하며 수행하던 R&D 개발 업무를 수행하던 연구원들에게도 어려움이 찾아 왔습니다. 바로 연구개발 과제들이 예산 등을 이유로 중단되거나 원활히 진행되지 못했었습니다. 당연히 연구원들이 모여 여러 이야기를..

토바와 와이즈프리

토바와 와이즈프리 토바는 맥주나 음료수의 캔 뚜껑과 고리 사이에 물에 젖지 않는 특수종이로 만든 원형딱지 모양의 광고물을 끼우는 신개념의 광고입니다. 소비자는 토바 광고를 보고 웹 사이트에 토바 광고물에 적힌 일련번호를 등록하면 포인트 누적에따라 고객에게 현금으로 환원 받을 수 있습니다. 약 광고 수익의 25% 정도가 돌아 갑니다. 이 사업은 2001년 코닉코리아란 회사에서 하던 모델인데 , 당시 제가 창업했던 와이즈프리의 첫고객이었습니다. 문득 , 정리 중에 득템했습니다. 2001년 당시 코닉은 "캔음료의 국내시장은연 50억개이며 세계시장은 3천8백억개에 이른다"며 "30여개국에 특허를 출원중"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토바도 없고 와이즈프리도 없습니다. 그래도 2001년 당시는 뜨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