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블록체인 35

트럼프 당선 이후 가상자산 시장의 주요 변화는 무엇인가?

트럼프 당선 이후 가상자산 시장에는 여러 주요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규제 환경, 시장 참여자, 기술적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관찰되는 데 어떤 변화가 주를 이룰지 정리해 봅니다.   규제 및 입법 환경 변화:트럼프 행정부는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 보다 우호적인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의 '안티크립토' 기조와 대조적이며, 규제 완화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보입니다.겐슬러 SEC 위원장의 사임 및 친가상자산 인사의 임명은 규제 기조의 변화를 예고합니다. 이는 오랫동안 가상자산 성장의 걸림돌이었던 '증권성' 관련 법적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미국 내에서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국..

블록체인 2025.02.03

[강의자료 공유] 블록체인 디지탈 자산 이야기

아주 오랜만에 개인 블로그를 포스팅하게 되었네요..  2024년 포항공대, 연세대 , 호서대 등 작년 최고위 과정에서 강의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2024년 제가 가장 중요하게 보았던 디지탈 자산 분야는 Stable Coin , RWA 였습니다. 그리고 국내 여건상 STO와 CBDC는 증권사와 한국은행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 글로벌 여건과 국내 정치상황을 볼때 쉽지 않고 다소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24년 중반 2,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사적인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4,0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미국 달러의 글로벌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RWA(실물자산 토큰..

블록체인 2025.01.31

[인터뷰] 람다265 대표 “기업 생태계 위한 블록체인 토탈 솔루션 제공할 것”

2021년 11월 토큰포스트와 인터뷰한 기사 입니다. - https://www.tokenpost.kr/article-74870 [인터뷰] 람다265 대표 “기업 생태계 위한 블록체인 토탈 솔루션 제공할 것” - 토큰포스트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운영사 람다256은 블록체인 생태계에 기반이 될 BaaS 플랫폼부터 데이터 추적 기술, 신원 인증 기술, 대체불가토큰(NFT) 등 상용 기술까지 종합적인 블록체인 기 www.tokenpost.kr 온체인 링크 - https://kylin.bloks.io/transaction/7b44e88684225642bc5f911a4ac783538f54c2e0af9bc195d1c0cda202dd84ce?tab=traces

블록체인 2022.02.04

Green NFT, Green Luniverse

No K-pop on a Dead Planet 아티스트들과 팬들은 오랫동안 친환경적인 콘텐츠 산업에 대해 고민해왔다. 일례로 영국 록밴드 콜드플레이는 콘서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세계 투어를 잠정 중단했다. 밴드 1975는 굿즈 생산을 중단했으며 공연 티켓 1당 1파운드를 ‘원 트리 플렌티드(One tree planted)’에 기부했다. 이런 흐름에 힘입어 K-pop 팬들도 나섰다. 전 세계 K팝 팬들이 주도하는 기후 행동 플랫폼 케이팝포플래닛(Kpop4Planet)은 10월 31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26) 개막 100일 전인 올해 3월에 ‘죽은 행성 위에 K-Pop은 없다(No K-Pop on a Dead Planet)’ 캠페인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블록체인 2022.02.03

BaaS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핵심 엔진(3편)

2009년 비트코인의 출현 이후 가상화폐의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 육성 정책과 기업에서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의 도입 확산으로 인해 블록체인 기술은 대중화 과정에 진입하고 있다. BaaS(Blockchain as a Service)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의 문제점인 고비용, 저성능 문제를 해결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블록체인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블록체인의 여러 문제점과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이자 대중화를 위한 기반 ..

블록체인 2022.02.01

BaaS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핵심 엔진 ( 2편 )

2009년 비트코인의 출현 이후 가상화폐의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 육성 정책과 기업에서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의 도입 확산으로 인해 블록체인 기술은 대중화 과정에 진입하고 있다. BaaS(Blockchain as a Service)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의 문제점인 고비용, 저성능 문제를 해결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블록체인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블록체인의 여러 문제점과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이자 대중화를 위한 기반 ..

블록체인 2022.01.31

BaaS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핵심 엔진 ( 1편 )

2009년 비트코인의 출현 이후 가상화폐의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 육성 정책과 기업에서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의 도입 확산으로 인해 블록체인 기술은 대중화 과정에 진입하고 있다. BaaS(Blockchain as a Service)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의 문제점인 고비용, 저성능 문제를 해결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블록체인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블록체인의 여러 문제점과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이자 대중화를 위한 기반 ..

블록체인 2022.01.30

루니버스, 람다256이 꿈꾸는 2022년 블록체인 세계는?

2007년 씽크프리 웹 오피스를 개발하면서 웹 2.0 세상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었다. 당시 웹 2.0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기술은 수동적이고 정적이며 풀(Full) 방식의 웹브라우저 사용성을 비동기 통신 방법인 Ajax였다. Ajax를 사용하여 데스크탑 S/W수준의 다이나믹한 경험을 웹브라우저 상에서 구현함으로써 “모든 서비스의 웹으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중 대표적인 것이 데스크탑 S/W의 꽃이라 불리는 MS오피스를 대체할 수 있는 웹 오피스, 씽크프리였다. 아마 지금 사용하고 있는 MS오피스나 구글 오피스가 모두 클라우드 기반의 웹 오피스 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지난 20년 동안 웹은 2.0으로 진화를 거듭한 셈이다. 최근 들어, 웹3.0 이야기가 화두가 되고 있다. 웹3.0..

블록체인 2022.01.29

[2편] Stable Coin, 금융 취약국에서 빛을 발하다!

지난 Stable Coin 시리즈 1편으로 스테이블 코인의 특징을 알아보며 대표적인 사례로 리브라 Stable Coin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러면서 Stable Coin의 잠재성은 디지털 기기는 보편화 되어 있지만 은행 계좌가 없는 금융 취약국가에서 높다고 강조하며, 인도네시아 최초의 Stable Coin인 루피아 토큰(IDRT)을 언급하였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은 보편화되어 있지만 여전히 인구의 상당수가 금융 계좌가 없는 금융 빈민국입니다. 이는 바꿔말하면, 현재의 금융 딜레마에서 무한한 크립토 잠재력을 지닌 국가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스테이블 코인 시리즈 두 번째로 세계 인구 4위(2억 7000만 명)의 인구수를 바탕으로 Stable Coin의 잠재성을 열어가는 IDRT에 대해서 상세히..

블록체인 2020.03.06

갤럭시폰에서 블록체인 월렛의 의미는?

지난 주 부터 한주를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블록체인과 관련하여 고민이 필요한 주제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삼성 갤럭시 폰에 있는 블록체인 월렛의 의미에 대해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수많은 토론과 시행착오가 있었습니다. 결론은 ‘기본으로 돌아가자(Back to the basic)’였습니다. 삼성은 삼성이 잘 하는 것을 하고 콘텐츠와 서비스는 글로벌 플레어이들과 전략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봅니다. - 삼성 노태문"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2/2020021201577.html

블록체인 202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