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더리움 2.0에 대한 짧은 소회



최근에 블록체인 분야의 기자분께서 이더리움 2.0에 대한 질문이 담긴 취재 메일을 보내주셨습니다. 비탈릭의 발표를 들으면서 느낀 짧은 소회를 정리해서 보냈습니다. 비슷한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 생각을 공유합니다. 논쟁을 하기 위한 의견이 아아니니 다른 생각을 았는 분들과도 편하게 의견 나누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더리움 데브콘을 시의로 이더리움 개발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일반 독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취재 중입니다.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이번 이더리움 데브콘에서 나온 발표 중 어떤 것이 가장 인상깊으셨나요?

비탈릭의 기조 연설입니다. 아무래도 이더리움이 비탈릭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기에 비탈릭의 발표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1. 이더리움 2.0이라는 표현이 많이 등장하는데요. 이더리움 2.0에서 정확히 어떤 지점에 변화가 오는 건가요? 

그 간 이더리움의 성능 등 여러 문제점 해결을 위한 노력들인 캐스퍼 , 샤딩, 컨트랙의 EWASM 등을 이더리움2.0이자 이더리움 로그맵의 마지막 단계인 세레니티로 정리한 것으로 이해되며 , 이들 구현에 중점을 둘 것이다 라는 선언이라고 이해합니다.  결국, 이더리움 2.0이 완성되면 퍼블릭 체인으로서 PoS와 샤딩 등을 기반으로 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eWASM을 지원을 통해 EVM의 성능 개선 등 컨트랙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이더리움이 본래의 목적처럼 대용량 컨트랙 기반 트랜잭션을 실행가능한 컴퓨팅 환경이 될 것 입니다. 

  1. 이더리움 2.0 개발을 위해 현재 어떤 과제, 난제가 있나요?

이더리움 2.0의 실현되기 위해서는 여러 난제가 있습니다. 

- 현재 작동중인 PoW 기반 생태계를 별도 하드포크( 체인 분리) 없이 세레니티가 지향하는 순수 PoS 환경으로의 전환되어야 합니다.  
- 플라즈마 및 샤딩 등 새로운 체인 및 블록 구조가 기존 체인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고성능으로 운영이 되도록 개발되어야 합니다.  
- DApp 서비스 입장에서 개인키 관리 , 가스 비용 등 사용성 문제가 해결되어야 합니다.
- 개발 기간 이슈 , 현재 이더리움2.0은 오랜시간 동안 논의되었으나  최종 구현 스펙 조차 확정이 되지 않은 상태라 실제 구현 후 이를 상용화 수준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은 필요하리라 예상합니다.  


  1.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개발돼 나아갈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인터넷과 웹에서  특정 회사와 서비스가 모든 것을 주도하지 못하듯이, 블록체인도 하나의 퍼블릭 체인이나 특정 서비스가 모든 것을 주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더리움이 지향하는 탈중앙화와 신뢰성을 지양하더라도 , 다른 블록체인의 철학과 차이점을 인정하고 이들과의 호환가능한 신뢰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블록체인 간의 표준을 만드는 방향으로 개발이 되어야 합니다. 

현재의 이더리움은 , 가령 플라즈마 처럼, 모든 스펙이 이더리움 기반의 트랜잭션 외에는 신뢰할 수 없다 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현재 블록체인 세계는 이더리움 퍼브릭 블록체인 외에도 람다256의 루니버스, ICON, EOS 그리고  하이퍼레저 기반의 Private Chain  등 다양한 실체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들 다른 블록체인의 철학과 차이를 이해하고 이들과 서로 신뢰할 수 있는 보편화되고 개방화된 신뢰 프로토콜로서 이더리움이 발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이더리움이 ICO를 위한 토큰 서비스 플랫폼에서 진화하여 진정한 퍼블릭 블록체인 체인이 되었으면 합니다. 




Posted by BigJay
,

반응형



  

DevStamp , 한국 블록체인 커뮤니티 데이 발표 신청 접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이 발전하면서 해당 기술에 대한 자발적인 연구,개발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그간 이더리움 연구회에서는 이더리움과 블록체인 관련 연구활동을 하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는 정기 발표회를 진행해 왔습니다.


이번 12월 18일에는 이더리움 연구회의 정기 발표회를 전체 블록체인 커뮤니티로 확대하여 여러 다른 커뮤니티들과 함께 한국 블록체인 커뮤니티 데이( Korea Blockchain Community Day )인 DevStamp 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 DevStamp는 블록체인 개발자임을 증명한다 라는 의미로 Blockchain Developer + hashstamp 를 합성어 입니다. )


한국 블록체인 커뮤니티 데이는 올 한해 , 블록체인 기술 관련 주요 커뮤니티들과 회사들의 기술을 소개하고 2019년을 전망해 보고자 합니다. 또한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을 발표만으로 단순히 듣고 보는 형식에서 나아가 직접 개발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핸즈온랩 교육 세션을 운영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과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있는 분들이 부담없이 참여하여 축제의 장이 될 것 입니다.


  • 행사명 : DevStamp, Korea Blockchain Community Day

  • 인원 : 500명  ~ 600 명 ( 블록체인 관련 개발자 )

  • 참가비 : 1만원 ( 사전예약자에 한해  중식 제공 , 기념품 제공 )

  • 시간 : 12월 18일 ,  09:00 ~ 18:00

  • 장소 : 과학기술회관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


현재 ICON , Line , Ethereum , Lambda256 , EOS, COSMOS 등 주요 플랫폼의 커뮤니티와 재단에서 이미 참여와 발표 , 핸드온랩 교육 등을 준비중이고 많은 블록체인 회사와 프로젝트들에서 기술 발표를 신청중에 있습니다. 발표 등을 원하시는 회사와 프로젝트는 아래에 내용을 정리 후 메일로 신청 바랍니다.


발표 분야 : DApp 사용성 개선 / 블록체인간 연동/ 컨트랙 보안 /자선거래/

            이더리움 플랫폼 개선 기술 / 하이퍼레저 개선 기술/ 외부에 공개안된 DApp 프로젝트

발표 신청 내용 : 발표 제목 및 내용 요약 ,  발표자 및 발표자 소개 

발표 신청 메일  : ethereumdeveloper@gmail.com  , jaehyunpark.kr@gmail.com

* 메일 제목에 발표 신청 이라고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BigJay
,

반응형





코어 이더리움 플랫폼 



2018년 10월 6일 (토) 이더리움 연구회 4기 활동의 일환으로 이더리움  플랫폼에 대한 특강을 진행합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블록체인( 비트코인 ) 원리와 블록체인에 적용된 여러 기술들에 대한 이해와 컨트랙 플랫폼인 이더리움의 상세 구조와 운영 원리 등에 대해 살펴 봅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



Posted by BigJay
,

반응형


루니버스 



현재 블록체인은 DApp 서비스의 기획, 블록체인 플랫폼 도입, 개발 , 운영 등 전 과정에 걸쳐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개발사 자체 역량 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루니버스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DApp 개발자 및 사업자들이 본연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이다. 루니버스는 고성능의 안정적인 블록체인과 토큰 서비스, 스마트컨트랙 보안 감리 서비스 ,  효율적인 DApp 운영 서비스 , 개인 지갑과 DEX같은 다양한 유틸리티 서비스 등을 웹 기반 툴과 OpenAPI 등을 제공한다.  특히, 블록체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웹기반 툴을 통해 손쉽게 기존 운용중인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 DApp으로 전환하거나 새로운 DApp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자동화된 툴과 미리 개발된 템플릿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을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토큰 등을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영 도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TCO(Total Cost of Ownership)를 보장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개발,운영이 가능하다.  특히, 사이드체인 기반의 DApp용 프로덕트 체인에서 부터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운영하는 람다 컨센서스 기반의 메인넷 구축에 까지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궁극적으로 루니버스 플랫폼은 DApp 서비스 주체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고민보다는 서비스 본연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여 완성도 높고 사용자에게 가치를 주는 DApp을 구축,운영하도록 지원한다.  루니버스 사용자의 블록체인들은 루니버스 플랫폼을 통해 하나의 거대한 루니버스 네트웍이 되고, 다시 루니버스 네트웍은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 같은 다른 메인 네트웍과의 연결을 통해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웍의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다.


다음에 보다 상세한 문서와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Luniverse.pages.pdf

 






Posted by BigJay
,

반응형

이더리움 연구회 정기 발표회 후기 및 자료 공유 









인터넷과 웹이 성공한 여러 이유중 으뜸이 웹 브라우져라 생각합니다. 사용자가 너무나도 쉽게 인터넷상의 정보 저장소인 웹을 따라가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모바일의 성공 역시 작고 휴대하기 쉬운 모바일폰을 손가락으로 쉽게 조작하면서 원하는 앱과 앱을 넘나드는 사용성이 성공의 원인중 최고라 믿습니다. 일반 사용자에게 선택받지 못하는 기술이 절대 성공할 수 없습니다.  


현재 블록체인은 이러한 크나큰 캐즘에 빠져 있습니다.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최고의 TPS와 어려운 알고리즘을 이야기하고 , 이들 기술을 서로들 미트업을 만들어 홍보에 열을 올리지만 결국 사용자에게   선택받지 못하면 도태될 것 입니다. 물론, 선택 여부와  상관없이 돈을 버는 게 중요한 사람들도 많겠지만요. 이더리움 연구회는 복잡한 공식으로 포장된 블록체인 백서보다 코드로 이야기하고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2018년 8월 10일 열린 이더리움 정기 발표회 중 중요하다 생각하는 발표와 자료를 공유합니다. 하기 자료 중 이더리움 PoA 사이드체인 기반의 Dex 서비스인 Allbit의 발표와 안전한 스마트 컨트랙 개발 방법과 Audit 엔진을 개발하는 Sooho의 발표 자료는 꼭 한번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더불어 모든 이더리움 기반 스마트 컨트랙을 개발하는 과제에서는 반드시 안전한 스마트 컨트랙 개발을 위한 고민을 해 보시길 바랍니다. 



- 거인의 어깨위에서 미래를 보다. 


비트코인을 만드는 데 영향을 준 여러 기술들과 이를 개발한 개발자 및 연구자, 그리고 이들 기술들을 사토시가 2008년~2009년에 걸쳐  어떻게 창조적으로 재구성하여 비트코인을 개발했는지, 그리고 이후 현재까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과정과 문제점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파일 사이즈가 커서 업로드가 안되어 이미지로 공유합니다. )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


다운로드 링크 :


세션7 거인의 어깨위에서 미래를 보다. 



- 사이드체인을 이용한 이더리움 성능 개선


람다 256 개발 실장님인 오재훈님이 사이드체인 방식을 통한 이더리움의 성능 개선 방법과 실제 이를 응용한 구현 방식으로 플라즈마, 플라즈마 캐시 , OST 의 구현 방식과 장단점 등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발표해 주었습니다.  플라즈마 구현 부분에 대해 많은 질문과 대답이 다양하게 오가는 수준높은 발표였습니다.


발표 자료 다운로드 : 


세션1_사이드체인을_이용한_이더리움_성능_개선_노력들.pdf


-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기반 Dex 구현 방법 , Allbit


Allbit  Dex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오지스의 CTO인 Koon님이 Dex의 다양한 구현 모델과 Allbit의 상세 구현 내용에 대한 발표가 있었습니다. Allbit은 거래의 Gas수수료와 성능 등을 개선하고자 람다256과 함께 PoA 기반 SideChain을 구축하였고 이 기반하에 Dex 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점과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가에 대해 재미있는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일일 매출에 대한 질문 부터 PoA Signer 선정 및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질문에 이르기까지 흥미로운 대화들이 많이 오가는 활기찬 발표 시간이었습니다. 


발표 자료 다운로드 : 


세션4_Allbit_dex.pdf



- 안전한 스마트 컨트랙 코딩 방법과 Audit Engine , Sooho



이더리움 플랫폼은 스마트 컨트랙이라는 안전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중앙화된 모델의 탈중화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런데 스마트 컨트랙을 잘못 작성하면 보안상의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 시스템과 토큰 경제를 제대로 개발하려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컨트랙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의 보안 문제와 안전한 코딩 방법, 그리고 안전한 코딩 가이드를 실시간 지원해주는 Smart Contract Audit Engine에 대해 Sooho의 지수 CEO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외부에서 쉽게 들을 수 없는 보안 전문가의 발표이다 보니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롭게 들었던 발표였습니다. 


발표 자료 다운로드 :

180810_sooho_이연_발표.pdf



- 다음은 기타 주요 발표와 자료들입니다.


다양한 컨센서스 알고리즘과 이더리움의 PoW 알고리즘을 직접 Geth를 디버깅하는 방법을 소개하면서 분석하는 시연을 진행했습니다. 


세션2-1 Consensus From Scratch .pdf


또한 샤딩과 이더리움 샤딩의 현재 상태에 대한 발표가 있었습니다.


세션2-2_sharding.pdf


마지막으로 다양한 블록체인간의 연결을 위한 인터체인과 인터체인중 가장 활발한 개발을 추진중인 코스모스 과제에 대한 소개가 있었습니다.


세션3_Interoperability of BlockChain.pdf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osted by BigJ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