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트위터 5

실시간 쇼셜 검색을 주목해야 할 이유

[ ZDNET 컬럼 #1 ] 1. 모바일 검색이 필요한 상황들 며칠 전 오랜만에 지인을 강남역 근처에서 만났었다. 조용히 저녁 식사 겸 반주 한잔을 가볍게 할 만한 곳을 찾을려고 했는 데 마땅히 적당한 곳을 찾을 수 없었다. 다행히도 만난 지인이 워낙 모바일 서비스를 즐기는 분이라 바로 휴대하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포탈 서비스의 맛집을 검색하여 몇 곳을 찾을 수 있었다. 아마 실생활에서 이렇게 모바일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분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검색을 해서 찾은 음식점이 기대했던 것과는 너무 달리 음식맛도 , 서비스도 별로 였다는 것이다. 분명 추천글에는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글들이 많았는데 결과는 정반대였다. 흔히들 말하는 것처럼 낚인 것이다. 적어도 우리 입장에..

Mobile Service 2009.07.05

트위터의 대용량 서비스 기술을 분석해 본다.

트위터가 어떻게 개발되었을 까? 아래는 타임지에 실린 트위터의 기사이다. 타임지에서 트위터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 것인가 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이처럼 현재 트위터같은 실시간 웹은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면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맥장비에는 Twitterrific 을 설치하고 윈도우의 FireFoX에는 Twitter Extension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트위터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성장할 것이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무선 환경 특히 , SMS 서비스로 길들여진 실시간 정보 교환 문화가 140개의 문자로 소통하는 트위터를 성장시킨 밑거름이 아닐까 싶다. 지금도 인터넷에서는 트위터로 , 현실에서는 핸드폰 문자와 포스트잇으로 의사를 교환하곤..

Realtime web 2009.06.18

죠엘 스폴스키의 쇼셜 서비스 개발시 필요한 9가지 필수 기능들

국내에서 죠엘온블러그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알려진 죠엘 스폴스키가 쇼셜 네트웍에 대해 그의 생각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스택오버플로 라는 개발자용 쇼셜 네트웍 기반의 Q&A서비스를 개발.시작했습니다. 스택오버플로 는 쇼셜네트웍에 기반하여 개발자들의 질문과 이에 대한 답변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죠엘이 말하는 "쇼셜 서비스 개발시 필요한 9가지 필수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oting: 사용자에게 투표할 수 있게 하자! 스택오버플로에서는 답변들에 투표를 하게 해주고 가장 높은 점수의 답변이 가장 랭킹이 높다는 것을 표시해서 답변들의 질과 관심도를 알려준다. Tags: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태그 서비스를 제공하자. Editing: 위키피디아처럼 질문과 답변 모두 편집할 수 ..

Realtime web 2009.05.09

웹3.0의 키워드는 실시간 웹

세상의 모든 것들의 웹으로의 연결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손안의 인터넷이라 말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웹은 생활의 일부가 되어 가고 있다. 디지탈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과 동영상이 실시간에 플리커와 유튜브같은 웹에 업로드되고 ,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남긴 글들을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답변을 달기도 한다. 쇼핑을 할 때는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조회를 하고 다시 가격 비교 사이트에 낚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 쇼셜 네트웍에 있는 친구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쇼핑을 한다. 이 모든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과거에 비해 다른 것은 점점 더 웹이 실시간화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시간 방송 직접 야구장에 가서 경기를 관람하는 게 가장 좋치만 그렇치 못할 경우에는 포탈에서 제공..

Realtime web 2009.05.05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솔루션은?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솔루션은? 새벽에 오랜만에 씩씩거리며 자료를 찾아 보고 정리하는 것 같다^-^. 웹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때 여러분은 어떤 솔루션을 사용할 것인가? 상용 제품 또는 오픈소스. 이 두 대안중 하나를 선택할 때 어떤 기준으로 결정할 것인가? 가격,성능, 그리고 기술지원. 언듯 가격과 성능면에서 보면 오픈소스가 구미에 당겨도 실제 오픈소스 솔루션을 사용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다. 왜냐하면 그만큼 오픈소스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유능한 개발자가 확보돼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기술지원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찾아보면 의외로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집단지성이 기술지원을 해주고 , 오픈소스 컨설팅 회사와 전문가를 쇼셜 네트웍을 통해 쉽게 만날 수 있다. 현재 성공적..

Architecture 2008.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