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 연휴 , 모처럼 들린 서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책 두 권이 눈길을 끌어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이 중 , 한 권은 크리스토퍼 바넷(Christopher Barnett)이라는 경영학자가 쓴 책으로서 클라우드에 대한 정의 부터 주요헌 서비스들 그리고 미래에 이르리기까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이해를 비 전문가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된 책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앞선 책이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이라면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기술" 이라는 책은 오픈소스 기반의 대용량 서비스를 구축할 때 필요한 오픈소스 솔루션 스택과 개발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국내 개발자들이 현장에서 적용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소개했다는 데서 의미와 흐뭇함이 배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소 아쉬운 점은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을 고려할 경우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에 의존적이지 않도록 개발하는 방법이나 제안한 솔루션들의 적용시 성능 및 문제점 , 애로 사항 등이 팁들로 좀 제공되면 정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나 국내 개발자들의 협업으로 이러한 멋진 책을 집필한 것 만으로도 큰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2010/09/21 - [ZDnet 컬럼] - SaaS 와 Cloud Computing
2010/08/27 - [ZDnet 컬럼] - 자동차에도 서비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2010/05/26 - [ZDnet 컬럼] - 웹의 관점에서 본 TV 시장의 미래
2010/05/13 - [Conference] - 클라우드 문제와 해결방안으로의 새로운 Personal Cloud Computing 패러다임과 현재기술
2010/04/10 - [ZDnet 컬럼] - 왜 개인용 클라우드를 주목하는 가?
2010/03/21 - [ZDnet 컬럼] - 디바이스와의 대화

Posted by 박재현
,


PCC 에 대한 국내.외 서비스와 기술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PCC가 화두인데 조속히 거품이 빨리 빠지고 진정한 제품과 서비스들이 성공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2010년 기술 전망

Hot Issues 2010. 1. 2. 04:21

2010년 방송통신시장에 대한 전망을 묻는 KT 경영경제연구소의 설문이 있었습니다. 간략히 2010년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저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이슈 1: 컨버전스 서비스가 이슈화될 것이다.

현재 Qook&Show 같은 형태의 유.무선 , 디지털.아날로그간의 컨버전스와 더불어 3 Screen 이라 불리는 PC, Mobile, TV 간의 컨버전스 서비스가 출현되고 본격화 될 것이다. 특히, 2010년 애플 TV가 출시되면 기존 애플의 PC,아이팟/아이폰과 함께 3Screen 기반의 컨버전스 서비스를  본격화하여 가전 시장을 정보 및 컨텐트 시장으로 전환시킬 것이다.
 
이를 기점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하드웨어 업체로서 삼성전자와 소니 등에서도 이러한 컨버전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컨서버스 서비스가 주요한 이슈화가 될 것이다.
 
 
이슈 2: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이다.
 
초기 보안 등의 문제로 인해 도입을 꺼리던 클라우드와 SaaS 컴퓨팅이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크롬OS 기반의 장비 등이 활성화되면서 보다 일반화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통적인 기업에서도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고려하고 도입할 것이다. 먼저 대기업의 경우 , 보안상의 문제가 없는 부분부터 도입을 본격화 할 것이며 중소기업의 경우 , 구글 애플리케이션 처럼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다.
 
 
이슈 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SNS , LBS  서비스 확산 가속화된다.

애플 아이폰, 구글 안드로이드폰 등이 출시되면서 SNS와 LBS 서비스는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수준에서 멈추지 않고 기존의 주소록을 비롯하여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PIMS 데이터와 연계되고 서로 Mash up되어 다양한 형태로 확산이 가속화될 것이다.  특히, 이러한 SNS,LBS 어플은 헬스, 아웃도어 운동 등의 어플들과 연계되어 발전할 것이다.
 
이슈 4: 모바일 금융, 모바일 광고 등 새로운 모바일 서비스와 BM이 출현한다.

광고 기반의 모바일 검색 , 모바일 금융 , 모바일 사용자 성향 분석, 모바일 마케팅, 앱 스토아 등 모바일 오픈 마켓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전문 회사 , 모바일 광고 회사 등 모바일 시장에 특화된 다양한 비즈니스와 BM이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추세의 특징은 소수의 인원으로 운영된다는 데 있을 것이다. 현재 20명 미만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인 타플러스사는 월 100만불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이 모바일 틈세에서 다양한 모델로 매출을 올릴 것이다. 
 
 
이슈 5: 산업간 컨버전스가 본격화된다.

모든 산업은 장보통신을 통해 커버전스 된다. 자동차는 더 이상 기계 산업만의 결과가 아니라 복잡한 소프트웨어와 제어 장비로 이루어진 기계 산업과 정보 통신 산업의 컨버전스를 통한 결과물이다. 자동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산업들은 통신과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고도록 컨버저스화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게 될 것이다. 가령, 단순히 자동차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 외에도 차량용 음악 서비스 및 동영상 서비스, 차량 위치 추적 서비스 및 분실시 작동 금지 서비스 등 다양한 신규 부가 서비스가 창출할 것이다.
 
  
이슈 6: 모바일 오픈 플랫폼 전쟁의 승패가 갈라지기 시작한다.

현재 애플 아이폰 SDK , 구글 안드로이드 SDK, 심비안 SDK , 팜 웹OS , 삼성전자의 바다 SDK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둘러싼 오픈 플랫폼간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폰의 확산과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시장 확대를 노리는 삼성전자의 바다 폰의 확산은  기존 아이폰의 독주에 제동을 걸 것이다. 이에 따라 , 각 사 들은 개발자를 확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늘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몇 개로 추려지겠지만 PC와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제에 대한 중독성이 약하기 때문에 SDK와 플랫폼의 우열보다는 어플리케이션의 양과 질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이다.

2010년 12월에 다시 한번 이 글을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뜻한바 모두 이루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Posted by 박재현
,

대형SI업체들의 클라우드 사업에 대한 단상

2009년이 저물어 가면서 2010년 이후의 IT 분야를 전망하는 글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공통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를 주요한 트렌드로 꼽고 있다. 가트너는 최근 가트너 심포지엄을 통해 2010년 주요 IT 투자 키워드를 예상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 가상화 , SaaS 등을 꼽았고 , 삼성 SDS도 내년 7대 IT트렌드를 발표하면서 그 중 하나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선정한 바가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이라도 하듯 국내 주요 SW 솔루션 및 SI 관련 업체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및 SaaS 사업을 강화할 것이란 얘기가 들려오고 있다. 안철수 연구소와 잉카인터넷 같은 보안 솔루션 업체들을 필두로 ERP , 오피스, 그룹웨어 , 문서관리 등 다양한 솔루션 등을 SaaS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할 예정이며 삼성SDS , LG CNS 등 주요 대형 SI 업체들 또한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구축하고 사업화를 준비중에 있다. SK텔레콤같은 통신 업체도 콘텐츠 공급자들에게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고 이를 사업화 할 것이라고 하고 있다.

필자가 과거 유행했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에서 부터 현재의 SaaS,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국내 SW의 현실에 기인한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국내 SW에 종사한 여러 분들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구동성으로 외치는 말이 SW 업계의 고사위기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국산 SW 솔루션이 정당한 제품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시장 상황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이렇게 SW 솔루션 시장이 왜곡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국내 대형 SI 업체들이 국내 SW 솔루션과 인력, 유지보수에 대해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필자는 과거 7년이 넘게 국내에서 기업용 SW 솔루션을 개발하고 판매하면서 이러한 경험을 적잖이 해봤다. 외산 제품의 경우 별다른 이견없이 고가의 라이선스 비용과 매년 도입 비용의 20%가 넘는 유지보수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국내 제품의 경우 거의 무상에 가까운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를 매번 경험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필자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분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필자의 경험에 의한 것이며 주관적일 수 있으니 다른 오해는 없기를 바란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 SW 솔루션 시장에서 업체가 생존하고 성장하는 것은 현실적인 여건상 어렵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바로 SW와 솔루션을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로 판매하는 시장이라고 생각하였다. SW 솔루션을 서비스로 판매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SaaS 모델은 SW 서비스 개발 회사와 고객이 직접 만나 직거래를 할 수 있고 , 예측이 가능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중소형 업체들의 입장에서 규모에 따른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해외의 경우 이미 아마존과 세일즈포스닷컴처럼 성공한 대형 회사들을 필두로 이미 SW 서비스 시장(SaaS)과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형성됐고 초기 시장 진입기를 벗어나 성장기에 접어든 상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주로 중소형 솔루션 업체들의 노력에 의해 국내 SaaS 및 클라우드 시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SDS,LG CNS 등 대형 SI 회사의 클라우드와 SaaS 시장 진출 소식이 과연 국내 SW 시장에 도움이 될까? 고민해 본다. 기대반 우려반일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먼저 현재까지 알려진 대형 SI 회사들의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준비 사항은 아직 초기 상태에 머물러 있다. 클라우드 전담 부서가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는 프로토타입을 구축하는 수준이며 관련 솔루션들도 자체 개발이나 오픈소스를 통한 개발 등이 아니라 해외 솔루션 등을 도입해서 구축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SaaS 서비스는 성격상 오랜 기간 운영을 통해 얻는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 수준은 아직 선언적인 상태이며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업측면에서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는 SLA와 과금을 위한 정교한 메터링 기술 등은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운영 등을 통해 안정화되며 검증이 되어야 한다. 실제 , 아마존의 경우 오픈소스 가상화 솔루션인 젠을 사용하여 EC2 서비스를 구축했으며 오랜 기간 베타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SLA 수준과 메터링 기반의 과금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용화했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도 중요하다. 가격 경쟁력을 위해서는 결코 기존의 상용 제품 라이선스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SaaS 사업을 수행할 수 없다. 자체 개발된 솔루션이나 오픈 소스 솔루션 또는 국내 중소형 전문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솔루션을 확보해야 만 한다. 이처럼 아직 갈 길이 먼 대형 SI 회사들의 클라우드와 SaaS 시장 진출에 대해 몇가지 중요한 점을 언급하고 싶다.

먼저, 그동안 국내 SW 솔루션 시장이 잘못된 사업 관행 등에 의해 왜곡되어 중소 솔루션 업체와의 공생에 실패한 것을 교훈삼아 중소형 클라우드 및 SaaS 업체와의 공존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그림을 먼저 그려야 할 것이다. 대형 SI 회사라 할지라도 모든 기술과 서비스를 가질수는 없다.

따라서 국내 중소형 클라우드 및 SaaS 업체와의 협업은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중소업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중소 업체는 이를 바탕으로 보다 발전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만 한다. 이미 우리는 애플 앱스토어와 세일즈포스닷컴 앱익스체인지 및 포스닷컴 등을 통해 이러한 선순환 생태계 시스템을 통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얼마나 건강한 시장을 형성하는지 경험했다.

다음은 클라우드와 SaaS 서비스들간 연동을 위한 표준을 초기부터 적극 고려해야 한다. 고객 입장에서는 하나의 클라우드와 SaaS 서비스로 모든 업무를 구축 , 운영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클라우드들과 SaaS 서비스들을 연동하기 위한 표준 방법이 필요하다. 

가령, OAuth같은 인증용 오픈 API 등을 표준으로 지원하여 서비스들간 사용자 및 인증 연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중소형 클라우드와 SaaS 업체들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메터링 기반 과금 체계 및 서비스 표준화 그리고 SLA(Service Level Agreement) 표준화와 계약서 표준화 등를 통해 사용자 기대에 만족할 만한 품질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과거 국내의 몇몇 대형 SI 회사들은 SW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대형 SI 회사는 없다. 현재 대형 SI 회사들은 또 다시 클라우드 컴퓨팅과 SaaS 등에 투자를 할 것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가 현실이 되고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다. 아마존과 세일즈포스닷컴 등의 서비스가 구축 후 운영이 정상화되어 수익을 내기 까지 4년에서 5년까지의 기간이 걸렸다. 이처럼 국내 대형 SI 회사들도 성과가 나기까지는 오랜 기간 동안 꾸준한 투자와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함께 알아야 만 할 것이다.

그리고 중소형 클라우드 및 SaaS 업체들의 성공없이는 절대 나홀로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해주고 싶다.

[ 본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


Posted by 박재현
,

어제(23일) 차세대 컴퓨팅 학회에서 주관한 클라우드 컴퓨팅 웍샵에 다녀왔습니다. 아주 많은 분들은 아니었지만 학계, 업체 , 연구소 등 공통의 관심사항을 갖은 분들이 모여서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즐거웠습니다. 저는 웍샵에서 "Cloud Bus"란 주제로 발표를 했습니다. 전자신문 기자분이  기사를 내셨는데 제가 발표하는 사진이 함께 올라왔습니다. 또 입을 내밀고 이야기를 하는 순간의 모습이.. 흑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제가 발표의 간략한 내용과 발표 자료입니다. Thinkfree Docs가 아니라 Slideshare.net을 통해 자료를 올리게 되어 무첫 슬프네요....

 " Amazon Web Service , Google Apps, MS의 Azure 등 Cloud Computing에 기반한 다양한 SaaS 모델의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소개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Cloud 기술과 서비스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Cloud 기술과 서비스는 실제 사용자(개발자와 파트너사)들에게 Open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들 서비스의 OpenAPI가 바로 상품인 셈이다. 따라서 이러한 OpenAPI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상품화하는 것이 아주 중요해진다. Cloud Bus는 바로 이러한 OpenAPI를 효과적으로 개발,관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유관 기술로는 SDP(Service Delivery Platform)이나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Cloud Bus를 통해 실제 개발된 Cloud의 OpenAPI를 효과적으로 개발,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View SlideShare presentation or Upload your own.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