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캐스퍼 3

이더리움 2.0 에 대한 짧은 소회

이더리움 2.0에 대한 짧은 소회 최근에 블록체인 분야의 기자분께서 이더리움 2.0에 대한 질문이 담긴 취재 메일을 보내주셨습니다. 비탈릭의 발표를 들으면서 느낀 짧은 소회를 정리해서 보냈습니다. 비슷한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 생각을 공유합니다. 논쟁을 하기 위한 의견이 아아니니 다른 생각을 았는 분들과도 편하게 의견 나누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더리움 데브콘을 시의로 이더리움 개발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일반 독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취재 중입니다.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번 이더리움 데브콘에서 나온 발표 중 어떤 것이 가장 인상깊으셨나요? 비탈릭의 기조 연설입니다. 아무래도 이더리움이 비탈릭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기에 비탈릭의 발표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더리움 2.0이라는 표현이 ..

블록체인 2018.11.09

블록체인 도입시 고려 사항

블록체인 도입시 고려 사항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은 새로운 기술이다. 따라서 일부는 블록체인을 과장되게 설명하여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만능 플랫폼으로 이해하기도 하고 , 일부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혼돈된 상태이다. 이러한 혼돈속에서 가장 많이 할 수 있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 블록체인을 꼭 써야 하는 가?” , “다른 기술로도 가능하지 않은가?” 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언론 기사를 보면 많은 정부 기관 등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시스템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있고 이 경우 대부분이 블록체인을 중앙의 DBMS를 공유 원장으로 대체하려는 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대했던 것과 실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플랫폼이 만능 플랫폼이 ..

이더리움 연구회 정기 발표회 자료

이더리움 연구회 정기 발표회 자료 11월 10일 이더리움 연구회 정기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200 분이 넘는 개발자분들과 함께 이더리움 플랫폼에 대한 이론과 실습이 진행되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다 보니 준비된 내용을 전달하고 실습을 하는 데 다소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2018년 3월 계획되어 있는 봄 정기 발표회에는 좀 더 다양하고 내실있는 내용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래 발표회 자료를 공유합니다. 다시 한번 , 끝까지 자리 함께 해주신 많은 개발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더리움 연구회 드림 세션1. block chain as a platform from Jay JH Park 세션2. 이더리움 합의 알고리즘과 마이닝 from Jay JH Park 세션..

블록체인 2017.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