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XTech 2008 컨퍼런스중 개인적으로 가장 도움이 되는 발표중의 하나였다. 한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정리하는 만으로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웹 브라우져의 경우 FireFox와 IE, 그리고 아이폰의 확산과 더불어 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웹킷 계열, 그리고 마지막으로 숨은 강자 오페라 등이 치열하게 표준과 업그레이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웹 브라우져 분야의 최신 동향을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운좋게도 W3C 모바일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Michael Smith가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웹 브라우져의 현황에 대한 정리를 해 주었다. 관심갖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 좀 자세히 정리해 본다.
1. 모바일 브라우져 현황
[ 오페라 - Presto 렌더링 계열 ]
-오페라 미니4 (2007/11) / 오페라 9.5와 동일한 엔진
: 향상된 자바 스크립트 엔진 지원
: 프록시 모델(풀브라우징 아님)
-오페라 미니 / 안드로이드 포팅 버전
: J2SE로 구현한 J2ME 구현체인 MicroEmulator로 포팅함
: J2ME/MIDP Call을 안드로이드 Call로 변환
: 데모로 확인해 보세요 -> 오페라 미니 데모
[ 모질라 - Getko 렌더링 계열]
-모질라 Fennec
: 2008-04 pre alpha 빌드 릴리이즈
: 2008-08 첫번째 알파 버전 릴리이즈
: 현재 플랫폼으로는 리눅스(ARM,X86)
: 노키아의 Miamo를 위한 모질라 기반의 브라우져인 microB보다 6배 빠름
: 향후 윈도우 모바일도 지원할 계획임
- SkyFire
: 모질라를 기반으로 하여 오페라 미니같은 프록시 아키텍쳐
: 2008년 1월 발표 이후 큰 변화 없는 상태임
[ 웹킷 렌더링 엔진 계열 ]
-아이폰 사파리(웹킷)
:풀브라우징
:데스트탑 사파리와 동일한 웹킷 엔진 사용
-안드로이드 + 웹킷(2007.11)
: 안드로이드의 렌더링 엔진은 웹킷
- Trolltech의 크로스플랫폼 응용 개발 프레임웍인 Qt4.4 + 웹킷
:트롤텍은 노키아가 M&A 했음
- 노키아 S60 웹킷 포팅
: 2007-08 이후 공식적으로 언급된 바는 없음
: 들리는 루머로는 사파리3.1을 포팅하고 있다고 함
-윈도우 모바일 , 웹킷 포팅 관련
: Iris browser , Wake3
풀부라우징, 아이폰의 확산, 안드로이드 등을 고려할 때 웹 부라우징의 렌더링 엔진으로는 웹킷이 가장 유력한 선두주자로 판단된다. 현재 웹킷의 경우 CSS를 강력히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HTML5의 지원과 더불어..
2. CSS/DOM
웹 프로그래밍을 할 때 CSS,DOM 프로그래밍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다중 브라우져 지원을 위해서는 고생을 많이 하는 부분이다. 왜냐하면 브라우져마다 지원하는 CSS 스펙과 DOM 관련 메소드가 다르기 때문이다. 몇가지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네이티브 자바 스크립트 getElementsByClassName 메소드
현재 IE만 네이티브 지원이 안되고 Mozilla, WebKit/Safari 3+, Opera 9.5에서는 네이 티브로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HTML5에 포함되어 있다.
- DOM의 특정 엘리먼트를 추출해 오는 CSS3 Seleccors 지원 현황
Opera 9.5 and Safari 3.1/WebKit은 43개의 css3.info 테스트를 통과됨
Mozilla/Minefield는 43개 중에 36개가 통과됨
IE8은 43개 중에 14개만 통과됨
- DOM의 특정 엘리먼트를 추출해 오는 CSS3 Seleccors API 지원 현황
querySelector/querySelectorAll 메소드는 현재 웹킷과 IE8에서 지원하고 있음
3. 웹 개발 툴 지원 현황
- Firebug for Mozilla : 가장 강력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툴들의 교본이다.
- new tools in IE8 : DOM/CSS inspector , script debugger
- WebKit Web Inspector 와 Drosera(script debugger)
- Opera Dragonfly : DOM/CSS inspector , script debugger , Remote Debugging
4. Cross-doc/site 과 로컬 스토리지
- Cross Document Messaging
HTML5표준에서 postMessage 메소드 정의
현재 IE8,Opera,WebKit,Mozilla에 구현되어 있다.
Cross-site 요청시 iframe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 Cross-Site request
W3C Access control Spec : 모질라에는 구현되어 있으나 FF3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어 빠져 있음
MS IE8의 XDR(XDomainRequest)
JSON request : 현재 브라우져 업체들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음
- 오프라인 웹 어플리케이션
현재 HTML5 Draft recommendation , 2008년 5월 16일자
ApplicationCacheAPI
각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을 위한 캐쉬와 데이타 추출을 위한 manifest를 갖는다.
현재 Mozilla/Firefox 3에 구현되어 있고 웹 킷에서는 개발중에 있다.
- HTML5 Client-Side Persistent storage(name/value pair)
Storageinterface, sessionStorage 와 localStorage 속성
현재 Mozilla와 IE8에서 지원하고 웹 킷에서는 개발중이다.
- Client-Side SQL API
HTML5내에 구글 기어와 유사한 스펙이 정의되어 있음
웹킷에 구현되어 있음 - 데모 : http://webkit.org/misc/DatabaseExample.html
( 사파리로 테스트 해야 함 ^-^ )
앗! 시간이 벌써 많이 지났네요. 벌써 주말 오후입니다. 눈치가 보여서.. 나머지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운좋게도 W3C 모바일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Michael Smith가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웹 브라우져의 현황에 대한 정리를 해 주었다. 관심갖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 좀 자세히 정리해 본다.
1. 모바일 브라우져 현황
[ 오페라 - Presto 렌더링 계열 ]
-오페라 미니4 (2007/11) / 오페라 9.5와 동일한 엔진
: 향상된 자바 스크립트 엔진 지원
: 프록시 모델(풀브라우징 아님)
-오페라 미니 / 안드로이드 포팅 버전
: J2SE로 구현한 J2ME 구현체인 MicroEmulator로 포팅함
: J2ME/MIDP Call을 안드로이드 Call로 변환
: 데모로 확인해 보세요 -> 오페라 미니 데모
[ 모질라 - Getko 렌더링 계열]
-모질라 Fennec
: 2008-04 pre alpha 빌드 릴리이즈
: 2008-08 첫번째 알파 버전 릴리이즈
: 현재 플랫폼으로는 리눅스(ARM,X86)
: 노키아의 Miamo를 위한 모질라 기반의 브라우져인 microB보다 6배 빠름
: 향후 윈도우 모바일도 지원할 계획임
- SkyFire
: 모질라를 기반으로 하여 오페라 미니같은 프록시 아키텍쳐
: 2008년 1월 발표 이후 큰 변화 없는 상태임
[ 웹킷 렌더링 엔진 계열 ]
-아이폰 사파리(웹킷)
:풀브라우징
:데스트탑 사파리와 동일한 웹킷 엔진 사용
-안드로이드 + 웹킷(2007.11)
: 안드로이드의 렌더링 엔진은 웹킷
- Trolltech의 크로스플랫폼 응용 개발 프레임웍인 Qt4.4 + 웹킷
:트롤텍은 노키아가 M&A 했음
- 노키아 S60 웹킷 포팅
: 2007-08 이후 공식적으로 언급된 바는 없음
: 들리는 루머로는 사파리3.1을 포팅하고 있다고 함
-윈도우 모바일 , 웹킷 포팅 관련
: Iris browser , Wake3
풀부라우징, 아이폰의 확산, 안드로이드 등을 고려할 때 웹 부라우징의 렌더링 엔진으로는 웹킷이 가장 유력한 선두주자로 판단된다. 현재 웹킷의 경우 CSS를 강력히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HTML5의 지원과 더불어..
2. CSS/DOM
웹 프로그래밍을 할 때 CSS,DOM 프로그래밍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다중 브라우져 지원을 위해서는 고생을 많이 하는 부분이다. 왜냐하면 브라우져마다 지원하는 CSS 스펙과 DOM 관련 메소드가 다르기 때문이다. 몇가지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네이티브 자바 스크립트 getElementsByClassName 메소드
현재 IE만 네이티브 지원이 안되고 Mozilla, WebKit/Safari 3+, Opera 9.5에서는 네이 티브로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HTML5에 포함되어 있다.
- DOM의 특정 엘리먼트를 추출해 오는 CSS3 Seleccors 지원 현황
Opera 9.5 and Safari 3.1/WebKit은 43개의 css3.info 테스트를 통과됨
Mozilla/Minefield는 43개 중에 36개가 통과됨
IE8은 43개 중에 14개만 통과됨
- DOM의 특정 엘리먼트를 추출해 오는 CSS3 Seleccors API 지원 현황
querySelector/querySelectorAll 메소드는 현재 웹킷과 IE8에서 지원하고 있음
3. 웹 개발 툴 지원 현황
- Firebug for Mozilla : 가장 강력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툴들의 교본이다.
- new tools in IE8 : DOM/CSS inspector , script debugger
- WebKit Web Inspector 와 Drosera(script debugger)
- Opera Dragonfly : DOM/CSS inspector , script debugger , Remote Debugging
4. Cross-doc/site 과 로컬 스토리지
- Cross Document Messaging
HTML5표준에서 postMessage 메소드 정의
현재 IE8,Opera,WebKit,Mozilla에 구현되어 있다.
Cross-site 요청시 iframe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 Cross-Site request
W3C Access control Spec : 모질라에는 구현되어 있으나 FF3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어 빠져 있음
MS IE8의 XDR(XDomainRequest)
JSON request : 현재 브라우져 업체들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음
- 오프라인 웹 어플리케이션
현재 HTML5 Draft recommendation , 2008년 5월 16일자
ApplicationCacheAPI
각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을 위한 캐쉬와 데이타 추출을 위한 manifest를 갖는다.
현재 Mozilla/Firefox 3에 구현되어 있고 웹 킷에서는 개발중에 있다.
- HTML5 Client-Side Persistent storage(name/value pair)
Storageinterface, sessionStorage 와 localStorage 속성
현재 Mozilla와 IE8에서 지원하고 웹 킷에서는 개발중이다.
- Client-Side SQL API
HTML5내에 구글 기어와 유사한 스펙이 정의되어 있음
웹킷에 구현되어 있음 - 데모 : http://webkit.org/misc/DatabaseExample.html
( 사파리로 테스트 해야 함 ^-^ )
앗! 시간이 벌써 많이 지났네요. 벌써 주말 오후입니다. 눈치가 보여서.. 나머지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Conference > 2008 X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XTech 2008 ] 모바일 플랫폼 중심으로 본 웹 브라우져 동향II (0) | 2008.05.19 |
---|---|
[XTech 2008 ] 모바일 플랫폼 중심으로 본 웹 브라우져 동향I (3) | 2008.05.17 |
[XTech 2008] XForms,REST,XQuery..and skimming (0) | 2008.05.16 |
[XTech 2008] 데이타 포터블리티를 논하다. (0) | 2008.05.15 |
[XTech 2008] 실시간 대용량 메세징 처리 방안 (5) | 2008.05.12 |
[XTech 2008] 웹 인증 API 표준 OAuth에 대해 논하다. (0) | 2008.05.12 |
[XTech 2008 ] 야후의 위치 정보 공유 플랫폼 - Fire Eagle (2) | 2008.05.12 |
[XTech2008] Next Generation Data Storage with CouchDB (0) | 2008.05.12 |
[XTech 2008] 크로스 사이트 요청 처리 관련 표준안 동향 (4) | 2008.05.10 |
[XTech 2008] 개인 웹 사이트를 가져야 하는 이유 (0) | 2008.05.09 |
[XTech 2008 ] Building Open Platform (0) | 2008.05.0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정말 좋은 포스팅입니다. 브라우저에 관심있는 분은 꼭 한번씩 참고해야할 Reference를 소개해주셨네요. 본문에도 언급이 되어있지만 렌더링 엔진은 웹킷이 거의 대세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죠. 웹킷을 사용하는 기업체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기업이 하나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한 언급이 빠진게 조금 아쉽네요. 인도기업으로 Azingo라는 기업인데 이미 아실 수도 있겠네요. 기회되면 이쪽으로 저도 포스팅 한번 해보겠습니다.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한 회사군요. 저도 처음알았읍니다. 생각보다 개발 범위와 내공이 대단한 회사네요..
좋은 글 꼼꼼하게 읽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