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창업 3

성공은 실패보다 항상 커 보인다.

성공은 실패보다 항상 커 보인다. 성공은 실패보다 왜 항상 커 보일까? 이에 대한 학문적인 답변은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이다. 사람은 일상에서 실패보다 성공을 더 크게 보는 경향이 있고 이 경향이 생존 편향이다. 우리가 지면을 통해 접하는 대부부의 뉴스는 누군가의 성공 소식이다. "프리미어 리그에서 성공한 축구 선수""메이져 리그에서 성공한 야구 선수""창업으로 수천언 갑부가 된 사업가""...성공...성공..." 이들 성공의 이면에 실패한 사례가 얼마나 될까? 성공 확률은? 과거 창업 후 사업을 할 때 선배 사장이 해준 말 중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지장, 덕장...다 필요 없다. 운장이 최고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그러나 운이 좋아 성공을 해도 성공한 사람은 뭔가 다른 사람과..

혁신은 창조성과 팀웍의 함수

혁신 = f ( 창조성 , 팀웍 ) 혁신은 창조성과 팀웍의 함수이다. 다시 말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은 좋은 인재들이 모여 이들이 만든 창조성을 통해 만들어 진다. 또 다시 말하면 결국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조적인 인재들이 모여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이 말을 한 분은 스탠포드 대학에서 창업 관련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는 Tom Byers 교수. Technology Ventures : From ides to Enterprise 라는 책을 집필하고 창업 관련 분야에서는 아주 유명한 분. 운좋게다 최근 이 분의 주관하는 강의와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었다. 이 강의를 통해 그 동안 잊고 있었던 창업과 창조와 혁신에 대한 고민을 해 볼 기회를 얻었다. ..

2013년 5월 , 요즘 사람들의 관심들이 뭘까?

2013년 5월 , 요즘 사람들의 관심들이 뭘까? 모처럼 들린 서점에서 사람들이 요즘 관심사는 무엇일까? 찾아 보았다. 역시 , 항상 사람들의 관심사는 처세술인가 보다. "내안의 잠든 나를 깨우다!"옷도 잘 입어야 하고 , 인상도 좋아야 하고 , 말도 잘해야 하고 , 상대방을 실시간에 파악하고 여기에 맞춰 맞춤형으로 반응을 해야 하고 , 적을 만들어서는 안되고 ... 참 살기 힘든 세상이다.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너무 많고 눈치봐야 할 게 너무 많은 세상이 되어 버렸다. 커피와 와인 , 동네 중요한 위치에는 여지 없이 커피 전문점 체인이 자리를 잡고 있고, 소주나 소맥보다는 와인 한병이 더 있어 보이는 시절. 자의반 타의반 이원복 교수의 세계의 와인 1,2를 모두 읽은 후 내린 결론 , 와인=소주=맥주=..

Log/BookLog 201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