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ID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하게 해주겠다는 OpenID는 실제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OpenID Provider가 다수 존재하고 이들 간에 계정 통합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실제 초기 의도했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실제 구글에서 만든 OpenID로 Facebook에 접근할 수 없으며 국내에서도 다음의 OpenID와 오픈마루의 OpenID간의 호환이 되지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OpenID 체계가 URL에 기반하기 때문에 기존의 메일 계정이나 단어조합으로 로그인 아이디를 구성해서 사용했던 사용자에게는 무척 어려운 방법이다. 이러한 문제를 좀 더 현실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OAuth라는 인증방식에 대한 프로토콜 차원의 API 표준으로 OAuth가 나타났다. 실제 구글은 AuthSub, AOL은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