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래의 길 블록체인을 말하다. 



지난 6월 21일 강남 스튜디오 블랙에서 더비체인 창간 기념 세미나에 참석하여 여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현재 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256에서 개발에 착수한 BaaS2.0 이야기를 포함하여 함께 나눈 이야기를 정리해 봅니다.




1.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문제점들


질문)이더리움이 아직은 주류인 같지만 최근 이오스 다른 플랫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요? 


초기 Early Adapter 리드하는 시장에서 초기 Majority 시장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본다.

그런데 현재 캐즘이론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캐즘이 존재한다. 가장 캐즘이 바로 성능 , 사용성 , 가스비 , 합의 알고리즘 개선 , 그리고 법률 규제 등이  대중화로 가는 걸림돌들이라 있다.  이중 기술적 걸림돌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 이더리움/EOS/Cardano/Neo 여러 컨트랙 블록체인 플랫폼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경우 캐스퍼 , 라이덴 네트웍 , 샤딩, 플라즈마 그리고 ICO 문제 해결을 위한 DAICO 다각도로  기존 메인체인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으며 개발을 진행중이고 , EOS 0.5 블록생성을 목표로 21 Block Producer 뽑아서 DPOS 합의 방식을 구현하고 , 지분에 따른 트랜잭션 처리 용량을 할당해주는

오너쉽 모델을 채택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외에도 여러 새로운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이드체인 POA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들도 중요해 보이고 ( , POA 네트웍스, 람다256 ) , 해시 그라프 처럼 새로운 분산 원장 기반에 ABFT 구현하여 현재 보다 수천배 이상 빠른 TPS 지원한다는 주장도 존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노력으로 캐즘이 극복되는 1~2 정도의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질문)확장성 이슈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해결 방법을 놓고 다양한 접근이 이뤄지고 있는 같은데요 크게 이오스식 DPOS, 라이트닝 네트워크, 샤딩, 플라즈마 등의 기술들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확장성 강화를 위한 흐름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요?


이더리움은 기존 블록체인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확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주로 레이어2 강화하는 중점을 두면서 캐스퍼, 샤딩, 플라즈마 , 라이덴 , 라이트 프로토콜 등의 작업을 하고 있고 , 상대적으로 EOS 등은 새롭게 런칭을 하다보니 기존 이더리움 등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채택하고 있으나 실제 메인넷이 운영되고 Dapp들이 작동이 되어야 제대로 있을 같습니다. 현재 21 BP들의 DPOS 민주적으로 운영될지 , 오너쉽 모델이  DApp개발에 맞는 방법인지 아직은 확인들이 필요하다.  여하간 모든 블록체인들이 실제 적용가능한 수준으로 성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될 것으로 생각한다.



질문)플랫폼과 함께 디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의 디앱 수준을 어떻게 보는지요?


초기 수준으로 과거 웹으로 비교해 볼때 CGI DBMS 연결해서 게시판을 구현하는 정도 수준임.

CGI 이후에 다양한 JSP, EJB 다양한 플랫폼 기술 발전에 따라 기반 응용 시스템이 심화 발전했듯이 블록체인 플랫폼 발전에 따라  함께 발전할 예정이다.


질문)디앱 대중화를 위해 풀어야할 숙제들은 무엇이라고 보는지.


디앱 성공을 위해 거시적으로 보면 수많은 사용자 지원 , 무료 수수료 , 손쉬운 업그레이드 , Low Latency에서도 작동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UI,UX 사용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사용자 계정과 event 등을 이용한 폴링 등은 문제라 있다.  



질문)이외에 다른 문제점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기술적인 측면에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HA , DR 기존 분산화된 시스템의 경험들을 Decentralized 적용하기 위한 노력들과 Zero-Knowledge Proof ,  동형암호 기법 등 개인 프라이버시를 강화 노력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스마트 컨트랙의 보안 안전성이 아주 중요합니다.  



2. 향후 전망


질문) 앞서 언급한 사이드체인 확장성 강화를 위한 시도들이 상용화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란 얘기도 있습니다. 상용화 측면에서 어떻게 봐야할까요?


당연히 시간이 걸릴 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아주 시간을 요하지는 않을 입니다. 개인적으로 향후 1~2 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금입니다.  현재 블록체인 개발 관련하여 ICO 통해 투자된 자금이 6.3B$( 63억불 )이고 그외 기업과 정부 기관의 투자를 

고려할 엄청한 자금이 투자되고 있습니다. 투자가 있는 곳에 결과는 어떤 형태든 나올 입니다.  


(2)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현재 DAO형태 개발의 문제점은 사실 비효율성이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율적이나 비생산적일 있는 거죠.

그러나 현재 철저하게 벤처 개발 프로세스로 한곳에 모여 집중 개발하는 팀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와 달리 높은 개발 생산성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질문) 디앱의 경우는 어떤가요? 디앱의 본격적인 확산은 언제쯤 가능하다고 보는지요?

 성능 확장성 , UX 사용성 문제가 해결되는 시점을 향후 1~2 정도로 본다면 시점이 디앱이 확장되는 시점으로 예상합니다. 


질문) 상용화 측면에서 디앱 개발사에게  유망한 분야는 어디가 있을까요?

미들맨들이 활용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겠지만 ,  게임과 포인트 시장으로 봅니다. 


질문) 디앱이 메인넷을 직접 개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직접 개발하는 것을 말릴 수는 없으나 잘하는 것에 선택.집중하는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스테이블 코인은 그대로 가치가 변하지 않는 코인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려면 고정 비율 , 금이나 달러 등에  페깅을 해서 고정 비율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달러 Fiat-Currency 페깅을 과연 현재 달러가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정된 비율의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스테이블 코인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 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질문) BaaS 플랫폼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BaaS 플랫폼이 확산되는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먼저 블록체인의 서비스 인프라로 아마존이나 MS 애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IaaS만큼 싸고 편리한 인프라는 없으니까요. 실제 제가 알기로는 현재 블록체인 서비스의 80% 이상이 아마존 클라우드를 쓰고 있습니다.  이를 더욱 가속화 하기 위해 여러 BaaS업체들이 이더리움이나 쿼럼, 하이퍼레저같은 완성도 높은 패키지를 손쉽게 사용할 있는 템플릿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BaaS 서비스가 블록체인과 전혀 무관하다는 입니다. 그냥 인프라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템플릿 서비스이지 실제 블록체인 기술과 철학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의 BaaS 2.0 향후 중요하게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Posted by BigJay
,

반응형

이더리움 연구회 3기 분들을 모집합니다.



이더리움 연구회는  go-ethereum 소스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된 1기와, 코어/합의모델/P2P스토리지/솔리디티 등 분과별 자유 리서치 중심의 2기를 통해 블록체인 전반에 대한 이해와 이더리움 플랫폼에 대한 기술 깊이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현재 이더리움의 대용량, 고성능 처리 이슈 등이 잠재적 이슈로 남아있고, 기술 완성도를 높이기위한 새로운 개념의 제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더리움을 비롯한 블록체인 기술 변화에 대응하면서도 단순 기술 리서치가 아니라 이러한 문제에 해결할수 있는 솔루션을 찾아내고, 보다 적극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어느때 보다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연 3기는

첫째, 블록체인 프로젝트 인큐베이팅을 통해 신규 과제를 통한 기술의 깊이와 완성도를 높이며,

둘째, 이연 정기 밋업을 통해 파트너들과 교류하고 네트워킹 채널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3기 (모집중)

이더리움 연구회 3기 참여를 희망하시는 분(개발자/기획자/디자이너분 등)은

minbba.lee@gmail.com 으로 관련 정보(이름/이메일/전화번호/소속 및 하시는 일 등)를

보내주세요.




활동 내용

활동 기간

2018/03/23 ~ 2018/07/20 (총 17주)

활동 목표

Phase1.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 강화 및 신규 과제 선정 및 팀구성 (4주)

 -이더리움 플랫폼 심화  

   : 동의 엔진 심화 : PoS &  캐스퍼 , Zk-proofs 등

   : P2P 네트워크 : Node Discovery, DHT 등

   : P2P 파일 시스템 : Swarm & IPFS

   : 3세대 플랫폼 기술

   : 블록체인 비지니스 이해 (토큰 플랫폼, 스테이블토큰, 클립토이코노미 등)

 -신규 과제 인큐베이팅 : 최종 진행할 과제 선정 및 팀원 구성

  : 신규 과제 아이디어 발표 ( 1인 1 아이디어 )

  : 팀원 모집 및 팀 구성

Phase2. 신규 과제 구현 (10주)

  - 백서 작성 및 MVP 선정( 2주 )

  - MVP에 따른 과제 구현 및 진행 상황 발표 (플랫폼, 컨트랙트 등)


Phase3. 신규 과제 오픈 (3주)

  - 과제 발표 준비

  - 이연 발표회를 통한 과제 발표 (필요시, 이후 ICO 진행 지원)

운영 방안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운영진) 신설

- 오프라인 미팅 셋업 (2주 단위)

- 정기 밋업 셋업 (2달 단위)

- 신규 과제 진행에 필요한 기술 및 운영 지원 (디자인, 서버, 개발 비용 등)

과제 선정

- 비중앙화 커뮤니티 플랫폼 (예)

- 비중앙화 암호 화폐 거래소 (예)

- 스테이트 채널을 이용한 마이크로페이먼트 구현 (예)

주요 활동

(미정)

이연 정기 발표회  : 2018년 8월 03일(금)

   (신규 과제 결과 및 관련 신규 기술 리서치 중심)

이연 정기 밋업 : 2018년 6월 22일(금), 2018년 8월 03일(금)

   (블록체인 기술 및 비즈니스 행사, 파트너 발표 )

세부 계획

  • 1주차: 코어 이더리움의 작동원리 및 실습 (1, 2기 중심)

  • 2주차: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및 스마트컨트랙 실습 (1, 2기 중심)

  • 3주차: 원페이지 프로젝트 제안

  • 4주차: 프로젝트 선정 및 팀 구성, 과제 설계

  • 5주차: 과제별 진행사항 업데이트 (추후 업데이트)





Posted by BigJay
,

반응형


2018년 3월 이더리움 연구회 정기 발표회 자료



발표1. 이더리움 플랫폼 현재와 미래  PDF

발표2. P2P 스토리지 비교 분석  PDF

발표3.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 Casper 소개  PDF

발표4. (사례1)이더소셜의 미래 - 글로벌 콘텐츠 보상 시스템  PDF 

발표5. (사례2)블록체인 기반 공유경제 플랫폼 - Blue Whale  PDF 

발표6. 이더리움 확장성 이슈 및 해결 방향  PDF

발표7. 크립토키티 스마트 컨트렉트 분석 PDF

발표8. 블록체인 비즈니스 PDF

2기회고. 이더리움 코어, 시작하기전 알아야할 것들 PDF


상업 목적이나 외부 발표시에는 해당 작성자에게 사전 허락을 받기를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BigJay
,

반응형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위한 모집의 글



1980년대 e-cash 프로토콜을 필두로 1998년 Web-Dai의 B-Money , Hall Finney 의 PoW 알고리즘 , 이를 집대성한 Satoshi 의 비트코인에 이르기까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은 아주 오래전 부터 연구되어 왔습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미래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기술 수준은 낙후된 상태입니다.  선두주자인 이더리움외에도  퀀템, EOS, ICON 등 많은 프로젝트들이 블록체인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들을 하고 있으나 아직 갈 길은 멀어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의 이슈인 대용량, 고성능 처리 능력과 Zero Fee 컨트랙트 그리고 다양한  블록체인과의 인터체인 등이 가능한 새로운 슈퍼 라이트 블록체인을 신규 개발해 보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다음은 해당 프로젝트에서 필요로 하는 분입니다. 다소 모자란 부분은 함께 채워나가면 되니 관심있는 분들의 지원을 기다립니다.  연락처 - jaehyunpark.kr@gmail.com


- 플랫폼 오프너(기획) 
암호 화폐 분석 및 모델링 (DAO, 보상 , 합의 알고리즘 등)
백서 작성 및 ICO 추진 
금융관련 전공 , 영어 및 외국어 능통(해외출장 및 근무 가능), IT  및 암호화 생태계 이해 가능

- 플랫폼 개발
- C/S전공자로서 C/Go 등의 개발언어로 DBMS 및 파일시스템, VM 및 컴파일러 개발 유경험자 및 전공자 , 개발 희망자 
- 풀스택 개발자 중 블록체인 컨트랙트 분야 개발 희망자 
- DevOps 경험 보유자로 블록체인 환경의 DevOps 환경 개발 희망자

- 보상:  대기업 수준의 현실 보상과 블록체인 개발 성공에 따른 미래 보상
- 근무지 : 서울(강남역 근처) , 필요에 따라 해외 근무
- 업무 형태  : Full Time  , Part Time( 주1회 오프라인 미팅)
- 채용시 본인 과제 및 코드에 대한 발표가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Posted by BigJay
,

반응형

초대의 글


이더리움 플랫폼 기술에 관심있는 개발자 및 비지니스 분석가를 초대합니다.

암호 화폐로 출발한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분야의 개발 플랫폼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은 플랫폼으로서 프로그램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2017년 8월, 11명의 개발자가 함께 모여 이더리움에 대한 스터디와 향후 이더리움 개선 및 신규 오픈소스 과제 등을 추진해 보기로 하고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2기 회원 중심으로 플랫폼 코어/P2P분산파일 시스템/ 합의알고리즘/ 솔리디티를 기반으로 작년 11월 10일 이더리움 플랫폼을 소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1차 발표회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21명의 이더리움 분과 운영을 통해 이더리움 기술 분석 및 신규 오픈소스 과제를 준비해 왔습니다.


이연은 개발자들이 소수의 기수별로 모여 이더리움 플랫폼 기술을 분석하고 공유하며 이 기술로 새롭게 해 볼 아이디어를 시도해보는 공간입니다. 지난 8월 18일 부터 현재까지 온/오프라인에서 얻은 지식을 함께 공유하는 2차 무료 공개 세미나를 갖고자 합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에 관심있는 개발자분들, ICO 등 비지니스 분석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자유롭게 참석 부탁드립니다.  


  1. 시간  : 2018년 03월 09일(금)  오후 1시30분 ~  6시20분

  2. 참가비용 : 무료 (선착순 150명)

  3. 장소  :  강남 구글캠퍼스 메인이벤트홀  (2호선 삼성역 3번 출구, 오토웨이타워 지하 2층)

  4. 신청 방법 : https://goo.gl/forms/q1MGJx8KS9Xx2dLF3

                             *  신청서를 작성하시면 확인 메일을 보내드립니다.

                             *  참석 확인 메일은 3/06일(화) 이전에 발송될 예정입니다.


인사말

2기회고

이더리움 코어, 시작하기전 알아야할 것들

10분

문영훈

13:30~13:40

발표1

이더리움 플랫폼 현재와 미래

40분

박재현

13:40~14:20

발표2

크립토키티 스마트 컨트렉트 분석 (시연)

40분

김재윤

14:20~15:00

발표3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 Casper 소개

40분

전정호/박지훈/이동준

15:00~15:40

발표4

(사례1) “이더소셜의 미래” - 글로벌 콘텐츠 보상 시스템의 구현

20분

제너크립토(주)

with 땡글

15:40~16:20

휴식 (15분)

발표5

(사례2) 블록체인 기반 공유경제 플랫폼 - Blue Whale

20분

Blue Whale

16:35~16:55

발표6

이더리움 확장성 이슈 및 해결 방향 (샤딩, 플라즈마)

40분

한겨레/이종복

16:55~17:35

발표7

P2P 스토리지 비교 분석 - IPFS / Swarm 등 (시연)

40분

박혜영/강정삼

17:35~18:15

발표8

블록체인 비즈니스(ICO 사례 분석)

30분

이민현

18:15~18:45

참석자 네트워킹



이연에서 함께 연구할 3기 분들을 모집합니다.

블록체인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 중, 함께 블록체인 기술 및 비즈니스 분석을 하고 함께 작은 과제를 함께 수행해 나가기를 희망하는 분들께서는 minbba.lee@gmail.com로 본인소개(이메일주소, 페이스북 및 링크드인 주소 등)  및 관심 분야 등을 보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이더리움 연구회




Posted by BigJ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