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부터 많은 컴퓨터 과학자들이 상상했던 것중에 하나가 인공지능이다.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갖춘 로봇들이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것은 이제 공상과학 영화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 되었다. 물론, 실제 현실에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 보면 별도의 인공지능이 없다하더라도 우리의 경험과 지능을 디바이스에 넣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과거 통신업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핸드폰 디바이스와 시장이 공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아이폰 SDK와 안드로이드 SDK 등을 이용하며 자신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프로그램화하여 무료로 공유되며 판매하고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디바이스의 기능들이 계속해서 진화하겠지만 이보다 더 많은 다수 개발자들이 집단 지성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발전할 것은 분명하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핸드폰을 넘어 모든 디바이스 분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브로드 밴드의 확산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수준 높은 응용 서비스 그리고 트윗이나 페이스북, 포스퀘어(Foursquare) 처럼 실시간으로 원하는 정보를 교환하고 관련 정보를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상황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 필자는 특정 장소에서 음식점을 찾을 때 맛집을 소개하는 포탈 컨텐트 보다 포스퀘어(Foursquare)등의 GPS 기반 쇼셜 서비스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지인들이 추천해준 맛집을 선택한다. 아직까지 메뉴 선택 후 실패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기존 디바이스들에 유.무선 네트웍 기능의 포함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 대부분의 프리미엄급 TV들과 셋탑 박스, 카메라, 세탁기 , 네비게이션, 프린터 등이 네트웍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바이스간의 네트웍 기능을 통해 연결된 장치들간의 컨버전스 서비스의 상품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달 초 두바이에서 열렸던 테크에드 중동(TechEd Middle East) 컨퍼런스에서 MS는 윈도우 7과 윈도우 폰, 그리고 Xbox 간에  컨버전스 데모를 보여 주었다. 윈도우 7 PC상에서 하던 게임을 윈도우 폰에서 그리고 다시 그대로 Xbox에서 이어서 수행하는 3스크린간의 이동을 보여주었다. 데모이긴 하지만 그간 디바이스간 컨버전스 서비스의 대명사 였던 3 Screen 서비스를 실체화 함으로써 MS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전략이 윈도우 OS 기반 디바이스들간의 서비스 컨버전스임이 분명해 졌다.

MS뿐 만 아니라 올해 안으로 애플 역시 스크린과 네트웍이 내장된 애플 TV를 선보이고 애플 제품들 간의 컨버전시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할 것이라는 것이 유력하다. 이미 애플은 네트웍 가능한 장치들간의 연결을 위한 자사의 Air Port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네트웍 백업 및 스토리지 장비인 타입캡슐을 판매하고 있으며 , 이들 장치상에 아이튠을 통해 다양한 컨텐트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컨버전스 시장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바로 안드로이드이다. 기능적인 면에서 안드로이드는 안정적인 커널과 멀티태스킹 , 그리고 오픈소스라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핸드폰을 필두로 셋탑 박스 , 카메라 , 세탁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바이스에 포팅이 되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구글은 소니, 인텔 등과 구글 TV 개발을 본격화 하면서 이러한 움직임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 안드로이드 기반 디바이스들은 구글이 보유한 다양한 서비스 클라우드와 연결될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구글 광고를 보는 대신 보다 저렴하거나 심지어 무료로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안드로이드 SDK로 개발된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전제품 생산업체들의 독점적인 위치 또한 향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상황을 미리 준비하지 못한다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LG 전자 , 소니 등 대다수의 CE ( Consumer Electronics ) 회사들은 다시 한번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듯 현 시점은 시장적인 측면에서 디바이스 기능의 그 자체의 차별화에서 디바이스 서비스 차별화로 이전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 기존에는 제품의 디자인과 색상, 카메라 화소 등 디바이스의 기능으로 제품을 차별화를 했다면 현재에는 트위터 , 페이스북 연동 등 주요 쇼셜 네트웍 지원 , 다양한 포탈 지원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차별화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해 모든 디바이스들이 네트웍에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디바이스들이 네트웍에 연결된다고 해서 웹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이 둘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네트웍에 연결되는 것은 물리적인 연결상의 노드가 증가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웹에 연결된다는 것은 하나의 독립된 웹 서비스 주체로서 외부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서비스와 정보를 웹을 통해 제공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진정한 웹의 일부가 되고 웹의 규모를 증대시켜 주는 것이다.

디바이스들이 웹의 일부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필자의 견해로는 디바이스와 사용자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디바이스를 스마트하게 할 수 있다.  제조회사들이 초기 디바이스들에 부여한 기본 기능외에 사용자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지능을 부여하여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노력이 바로 W3C 의 Device API 표준화이다. 카메라 , 캘런다 등 주요한 디바이스의 기능을 표준 API로 정의하고 표준 웹 개발 언어(Javascript, CSS, HTML) 를 사용하여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표준화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갈 길이 멀긴하지만 의미있는 작업임은 분명하다.

실제  W3C Device API의 스펙과 진행 방안을 보면 실제 안드로이드 플랫폼보다는 크롬 OS가 보다 디바이스 플랫폼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안드로이드의 경우 내부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런타임 엔진으로 달빅 VM 과 자바 개발 언어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데 반해 , 크롬 OS는 HTML5기반의 웹 브라우져를 내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Device API를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현재 자바스크립트로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을 멀티디바이스상에서 구동가능하게 해주는 크로스 플랫폼 솔루션으로 PhoneGap, Titanium, Rhodes 등이 꾸준히 그 세를 넓혀가고 있으며 , 다른 한편으로 자바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안드로이드를 탑재하는 노력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디바이스들을 웹화 시키려는 노력들은 크게 안드로이드나 크롬OS 처럼 각각의 디바이스에 웹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 또는 각 디바이스들에게 웹의 기능을 부여하는 미들웨어(허브)를 통한 방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제약(메모리,CPU 성능, 비디오 카드 등)으로 인해 실제 구현이 불가능하거나 많은 제약을 받는다. 실제 냉장고나 청소기 등에 웹 서버와 브라우져를 넣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 될 것이다. 이에 반해 허브를 통한 방법은 무척 현실적이다. 허브에서 웹의 서비스를 처리하고 디바이스는 허브에서 지시한 기존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 되기 때문이다.

웹에서 허브는 개별 웹 서버(노드)들의 링크가 모이는 곳이며 허브를 통해 노드들은 의사 결정과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실제 , 쇼셜 네트웍에서 허브는 유력한 빅마우스(Big mouth)들이라 할 수 있다. 빅마우스들은 다른 쇼셜 네트웍들의 판단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처럼 웹의 기본 원리를 생각하면 디바이스의 웹화를 위한 허브는 아주 현명한 방법이다.

이렇듯 웹을 통해 소통하는 능력을 갖게 된 디바이스는 비로서 자신의 소유주와의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다. 디바이스가 어떻게 사용자와 대화를 하고 새로운 서비스와 행동을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지 생각해 보자.

사용자와 개발자는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자바 스크립트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은 스토아를 통해 무료로 공유되거나 판매될 수도 있다.  가령, 자동 청소기를 생각해 보자. 일반적으로 스마트 청소기로 알려진 이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모드와 대처 규칙에 의해 자동으로 환경을 감지하고 청소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 청소기의 제조 업체는 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Device API를 제공하고 있다.  자바 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웹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A씨는 스마트 청소기를 한대 구매하였다. 이를 구매하여 이용하던 중 A씨는 항상 퇴근 전에 자동으로 청소기기를 구동시켜 청결한 상태에서 퇴근 후 귀가를 하고 싶었다. 따라서 A씨는 청소기의 Device API를 사용하여 트윗 서비스를 통해 청소기에게 구동 명령을 내리고 이를 받은 청소기는 집안 청소를 시작하고 완료 후 이를 다시 트위터를 통해 보고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A씨는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을 청소기에 설치하고 이를 다시 스토아에 무료로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유하였다. 또한 해당 소스코드는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웹 서비스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디바이스에게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기존 수동적인 디바이스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 용도, Life style 등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가령, 트윗의 실시간 검색을 통해 현재 중계 방송중인 야구경기에 대한 시청 소감과 관련 정보 등을 정체하여 실제 TV에서 이를 함께 보여줄 수도 있을 것이며 , 평상시에는 쓸모없이 구석에 넣어둔 디지탈 카메라를 문앞에 설치한 후 실시간에 핸드폰을 통해 카메라에 찍힌 모습을 모니터링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비록 아이로봇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사람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은 아니지만 이제 머지않아 우리는 웹을 통해 디바이스와 대화를 하고 , 디바이스에 새로운 기능(지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핸드폰에  수십 만 개의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듯이 우리는 기존 다비이스에 수 십만 아니 수 백만 개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때 , 기존의 CE 시장은 또 한번의 위기와 기회를 맞게 될 것이다. 이는 먼 미래가 아니라 바로 내일의 모습이다.

본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무엇인가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현재처럼 급변하는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둘러싼 여러가지 시장과 기술을 예측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인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을 예상하면서 스마트폰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없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이야 말로 무선인터넷의 현재와 미래를 예상할 수 있는 가장 첨예한 척도이기 때문이다.

먼저, 스마트폰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해 보인다. 초기 스마트폰은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장비에 CDMA 핸드폰 기능을 추가한 폰으로서 일반 무선 전화 기능과 일정관리, 주소록, 메일 등 개인 정보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는 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노키아 심비안이나 애플 아이폰, 구글의 안드로이드 등으로 대표되는 현재 스마트폰은 완벽한 운영체제 기반하에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개발 플랫폼을 제공한다. 개발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다.

현재의 스마트폰은 분명 과거에 비해 사용자와 개발자의 자유의지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개발,추가할 수 있도록 진화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자유의지에 대한 진화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 오픈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마켓이 형성되었다.
 
초 기 스마트폰 상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것이 전부였다. 사용자는 이들 어플리케이션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데 제약을 받았고 개발자 역시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것에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러한 제약없이 개발자(공급자)와 사용자가 오픈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고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출현하였다.

스마트폰에 GPS 등 다양한 센서들이 장착되고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컨텐트에 상시 연결이 가능해 지면서 다양하고 놀라운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다. 이미 애플 앱 스토아에 5만개 ,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에 2만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등록되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는 구글 맵에서 제공받은 지도 컨텐트와 스마트폰의 GPS를 응용한 실시간 네비게이션을 비롯하여 트위터, 페이스 북 등 다양한 쇼셜 웹 어플리케이션 , 심지어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현실(사진)에 다양한 정보를 입힌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등 인터넷상의 클라우드와 결합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창조되고 있다.

이렇듯 항상 스마트폰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취사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사용자는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서비스는 분명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척 유용하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보다 유용해 지기 위해서는 더욱 스마트해져야 한다.

이 러한 스마트 폰의 스마트화는 바로 실시간 서비스를 의미한다. 초기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던 RIM의 블랙베리는 실시간 푸쉬 메일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메일을 실시간에 전달해 주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새로 배달된 전자우편을 실시간에 받아 볼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새로운 메일이 전달되었는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실시간 서비스 지원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필자가 지난 해 "실시간 쇼셜 검색을 주목해야 할 이유" 라는 컬럼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미 성공한 많은 웹 서비스들이 바로 이러한 실시간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쇼셜 웹의 강자인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이 이러한 실시간 웹을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들어 "pushme.to" 처럼 실시간 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들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러한 실시간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접근 방법이 있다. 가장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Push 기반 Sync 솔루션을 들 수 있다.  푸쉬 메일로 성공한 RIM은 자체적으로 구현한 Push Sync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며  , Funambol은 표준 Sync M/L을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 Sync 엔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Visto/Good , Seven 역시 자체 개발한 Sync 엔진을 공급하고 있다. 많은 스마트폰 공급업체과 서비스 업체들이 이들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 푸쉬 메일, 실시간 메세징 , 실시간 쇼셜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Sync 기반외에도 웹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도 가능하다. 페이스북이 공개한 실시간 웹 프레임웍인 Tornado는 대용량의 웹 기반 서비스를 실시간에 서비스할 수 있게 해준다. Tornado는 트위터의 실시간 서비스에 자극받은 페이스북이 트위터처럼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FrindFeed를 인수한 후 공개한 오픈소스이다. ( Tornado의 성능에 대해 궁금한 독자를 이곳을 방문해 보기 바란다. )

Push 기반의 Sync 솔루션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관련 서비스와 컨텐트를 실시간에 전달하는 Push 기반의 서비스라면 Tornado의 방법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관련 서비스와 컨텐트를 요청하는 Pull 방법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Push 방법이 서버에서 발생한 관련 서비스와 컨텐트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보다 유리한 아키텍쳐라 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특정한 Push 이벤트를 전달받어야 하는 컴포넌트를 탑재해야 한다. 그러나 Pull 방식은 별도의 추가 모듈없이 직접 스마트폰상의 어플리케이션이 RESTful 기반의 OpenAPI 호출처럼 표준 웹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러한 실시간 서비스 플랫폼은 스마트폰을 똑똑하게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다. 스마트폰용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실시간에 메세지를 전달받듯이 전자 메일 , 인스턴스 메세징, 각종 쇼셜 네트웍, SMS ,뉴스 및 주요 관심사 등을 실시간에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실시간 서비스를 통해 비로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전달해주는 똑똑한 비서가 되는 것이다.

트 랜스포터 시리즈로 유명한 제이슨 스테이섬 주연의 아드레날린 이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었다. 주인공은 살기 위해 질주를 해야 만 한다. 질주를 통해 끊임없이 아드레날린을 분비해야 만 심장이 멎지 않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아마 올해도 스마트폰은 실시간 웹을 통해 멈추지않고 계속뛸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아드레날린의 영화 주인공 처럼 뛸 것이다. 그러나 뛰기에 앞서 냉정하게 무엇을 준비해야 할 지  고민이 먼저 필요하지 않을 까 싶다. 영화와 현실은 다르기 때문이다.

이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2009/06/30 - [Mobile Service] - 실시간 쇼셜 검색을 주목해야 할 이유
2009/12/04 - [ZDnet 컬럼] - 미래는 컨버전스 시대다
2009/06/10 - [Mobile Service] - 모바일 디바이스-클라우드간 데이타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고찰


Posted by 박재현
,

아이폰이 국내 출시되고 삼성전자가 모바일 플랫폼 바다를 발표하면서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감이 국내에서도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러 기사들 중 유독 필자의 이목을 끄는 것은 소니의 움직임이다. 

소니는 최근들어 미디어고(Media Go)란 미디어 컨버전스 서비스 전략을 발표했다.

과 거 소니는 가전업계 선두주자였다. 그러나 '소니의 잃어버린 10년'이라 불리는 실패를 통해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원인으로는 리더십 부재와 기업 문화 및 조직 구조간 불일치, 그리고 NIH(Not invented here) 증후군으로 대표되는 자체 기술에 대한 고집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과거 소니의 이데아 회장은 소니를 네트워크와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성장시키려 했지만 앞선 여러 원인들로 인해 제대로 변신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번에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디바이스 전략은 과거와는 분명이 다른 시도임이 분명하다. 더 이상 시장에서 밀릴 수 없다는 소니의 절박한 상황과 이를 위해 소니의 장점을 총 집결한 시도이기 때문이다. 애플이 디지털 음악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있었던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충분히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를 아이튠스 서비스를 통해 저렴하게 공급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아이팟 신화를 만들어 냈다. 아이팟 성공 신화는 아이폰으로 이어졌다. 향후 TV까지 포함한 컨버전스 서비스 전략을 구사할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 동안 소니는 소니픽쳐스 , 소니 뮤직 , 플레이스테이션 타이틀 등에 직,간접 투자를 통해 영화, 음악, 게임 등 다수 콘텐츠를 확보해 왔다. 이러한 콘텐츠야 말로 경쟁자인 삼성전자, 애플과 경쟁할 수 있는 무기 임에 틀림없다. 소니의 미디어고는 이렇게 확보한 콘텐츠를 브라비아 tv, 사이버샷(디카),워크맨(mp3), 바이오(pc), 소니에릭슨(핸드폰)에서 다운 받고 이용할 수 있는 수 있게 해주는 미디어 컨버전스 플랫폼이자 서비스이다.

아직까지 소니의 모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완성도가 높은 것도 아니지만 이러한 컨버전시 서비스야 말로 소니의 장점인 다양한 디바이스와 콘텐츠를 적극 활용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서비스 컨버전시는 현재 관련된 모든 업체들이 궁극적으로 그리는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어떤 디바이스로도 관련된 서비스와 콘텐츠를 경계없이 이용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애플은 운영체제에서 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소프트웨어 전분야와 하드웨어를 직접 개발,생산하는 회사이자, 최고의 디자인 회사이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아이팟과 맥북 그리고 향후 내놓을 핵심 디바이스들상에서 기존 앱스토어 및 모바일 미(Mobile Me) 등 주요 서비스들간 컨버전스를 제공할 것이다. 아이폰으로 구매한 게임을 애플TV에서 구동하여 즐기고 다시 맥북에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컨버전스 전략은 구글 및 삼성전자 등 다른 업체들에게도 전략적 요충지다. 구글은 기존 클라우드 기반 웹 서비스를 다양한 디바이스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직접 디바이스를 생산하지는 않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안드로이드 오픈소스를 개발,공개하고 있으며 크롬 OS를 통해 PC 분야까지 구글 웹 서비스를 탑재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안드로이드와 크롬OS는 모두 웹킷 기반 강력한 브라우저를 기본 프레임워크로 탑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웹 표준에 기반한 서비스를 모두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OS가 구동되는 디바이스에서는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버전스 환경인 셈이다.

경쟁사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삼성전자도 이러한 컨버전스 서비스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 최근에 발표한 삼성전자 오픈 플랫폼인 바다는 삼성전자 다양한 디바이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발표 내용대로 실현된다면 바다 플랫폼은 다양한 자사 디바이스상에 적용되어 이종 디바이스간에 콘텐츠와 서비스간 컨버전스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애플과 소니와 달리 콘텐츠를 직접 소유하기 보다는 다른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콘텐츠를 보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구글이나 애플 모바일미 등과 같은 고객을 위한 다양한 자체 컨버전스 서비스가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업체들의 경우에서 보듯이 사용자들은 휴대폰, TV , PC , MP3플레이어 등 보다 다양한 멀티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 상에서 자신이 구매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하길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앱 스토어를 통해 구매한 게임과 음악, 동영상 등을 집밖에서는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로 이용하고 집에 와서는 TV나 PC 등에서 연속해서 사용하길 희망한다. 향후 이러한 컨버전스 서비스야 말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될 것이다.

서비스 컨버전시를 위해서는 몇가지 중요한 기반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먼저  웹표준 기술과 웹 브라우저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이종 디바이스상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개발 및 구동 표준 환경으로 웹 표준(HTML/CSS/Javascript) 과 웹 브라우저는 가장 이상적이다. 현재 이러한 기술을 가장 적극적으로 구사하는 업체는 구글로서 안드로이드와 크롬OS에 웹킷 기반 브라우저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웹 표준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과 위젯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 안드로이드와 크롬OS를 탑재한 모든 디바이스상에서 하나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글 뿐만 아니라 애플도 마찬가지다. 애플 아이폰의 최대 강점중의 하나는 웹브라우저다. 웹킷 기반으로 개발한 브라우저는 강력한 렌더링 기능과 높은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애플 브라우저는 이후 애플TV 등 애플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되는 표준 플랫폼이 될 것이다.팜도 주목된다. 팜이 제공하는 웹OS 또한 웹킷 기반 웹 브라우저를 기본 플랫폼으로 제공한다. 

또 하나는 컨버전스 서비스를 위한 표준 클라우드를 확보하는 것이다. 안정적으로 글로벌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무정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잘 구성된 개발 및 운영 프레임워크가 필수적이다. 

특 히, 다양한 서비스들이 매일 새롭게 출시되는 경쟁 상황에서 적시에 시장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개발, 출시하는 클라우드야 말로 아주 중요한 경쟁력이다. 이미 구글은 클라우드 부분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 검색에서부터 웹 오피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웹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수행하면서 글로벌 IDC와 스토리지, 가상 컴퓨팅 등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에 대한 운영 인력과 기술도 확보한 상태이다.

이같은 클라우드 기반아래 구글은 구글웨이브처럼 경쟁사보다 한발 앞선 패러다임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구글외에도 애플 모바일 미와 아이튠스 서비스, 노키아 OVI 등 대부분의 컨버전스 서비스도 잘짜여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기반 기술과 더불어 컨버전스 서비스에 대한 창조적인 기획이 필요하다. 휴대폰과 TV, MP3플레이어 등 사용자들의 멀티 디바이스상에서 컨버전스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구상해야 한다. 아이튠스는 애플 PC와 아이팟 그리고 아이폰을 하나로 컨버전스한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잘 디자인된 디바이스를 기획하고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디바이스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 이야 말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사용자의 멀티 디바이스들에 하나로 컨버전스된 생명력을 불어 넣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경쟁력이 될 것이다.

본 글은 ZDnet 컬럼에 기고한 글 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지금은 모바일 웹을 준비해야 할 시기


모바일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날 만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개발자가 성공적으로 투자를 받아 회사를 창업했다고 하자. 멋지게 해당 서비스를 기획하고 실제 개발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아마도 이러한 문제에 직면할 것이다. 도대체 어떤 플랫폼용으로 만들 것인가? 라는 문제이다. 앱스토아라는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애플용이 좋을 까? 아니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핸드폰을 판매하고 있는 노키아나 삼성의 핸드폰을 대상으로 할 것인가?
아마도 여러 복합적인 의사 결정에 따라 애플 아이폰 SDK나 심비안 SDK 또는 윈도우 모바일 SDK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재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은 개발자와 개발회사에 너무도 많은 부담을 지우고 있다.  
 
먼저 가장 근본적인 고민은 모바일 플랫폼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현재 공개된 대표적인 모바일 플랫폼만 하더라도 애플 아이폰 SDK, MS의 윈도 모바일 SDK , 구글 안드로이드SDK , 심비안 SDK , 팜의 Mojo SDK 등 다수이다. 이들 SDK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설령 ,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플랫폼을 선택했다고 하더라고 해당 플랫폼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플랫폼에 정통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웹이나 PC 플랫폼상에서 어플케이션을 개발하는 것보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개발할 때  디바이스 자체의 특성을 잘 이해해야 좋은 성능과 품질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일단 여러 우여곡절 끝에 하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치자.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다른 플랫폼용으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팅해야 한다. 말이 포팅이지 거의 새롭게 개발하는 수준이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개발자를 확보해야 하는 등 많은 비용이 든다. 개발 후에는 유지보수를 위해 또 비용이 발생한다. 참으로 비극적인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실제 더 우울한 것은 동일한 모바일 플랫폼이라고 하더라도 버전에 따라 호환이 안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버전을 개발하고 관리해야 만 한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고 보다 손쉽게 모든 모바일 플랫폼상에서 구동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없을까?

물론 몇가지 방법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모바일 플랫폼을 하나로 통합하고 이 기반하에 개발하는 것이다. 마치 PC 플랫폼이 윈도우로 통일되었듯이 모바일 플랫폼들을 하나의 특정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불가능하다. 사용자도 플랫폼 통합에 관심이 없겠지만 업체들 입장에서도 이해관계가 다양하기 때문에 통합은 불가능하다. 

또 하나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는 모든 모바일 플랫폼상에서 구동되는 통합된 API를 이용하는 것이다. 마치 노키아가 심비안 상에 S60 플랫폼을 통해 개발하듯이 모든 모바일 플랫폼상에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SDK를 개발한 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도 하부에 있는 모바일 플랫폼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완벽한 이식성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통 API를 설계 개발하는 것은 무척 어렵다. 왜냐하면 모바일 플랫폼은 디바이스 의존적인 부분이 강하기 때문이다. 현재 차이나모바일, 소프트뱅크, 보다폰 세개의 이동통신사업자가 만든  컨소시엄인 JIL(Joint Innovation Lab)은 이러한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JIL(www.jil.org)JIL JavaScript Extension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위젯을 개발하고 이를 구동하는 런타임 환경을 제공한다.  이 위젯은 모바일 플랫폼과는 무관하게 구동된다. 그러나 JIL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위젯 개발을 위한 개발 환경이다.


또 하나의 방법은 개발과 포팅 환경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개발 환경에서 개발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하는 플랫폼으로 보다 손쉽게 포팅을 하게 해주는 것이다. 무척 현실적인 방법이나 모바일 플랫폼간의 포팅은 쉽지 않아보인다. 실제 이클립스 펄서(Pulsar)는 이러한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이클립스 펄서는 이클립스 툴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으로 모바일 업체들이 자체 SDK를 펄서 명세에 맞춰 공급하면 플러그인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모토로라에서 제공하는 자바 ME SDK과 노키아 포럼의 S60 SDK, 그리고 모바일용 eRCP(embeded Rich Client Platform)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수준은 모바일 플랫폼 업체들의 SDK를 이클립스 기반으로 통합하여 단일 환경에서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수준이다.
 
지금까지 고민해 본 방법은 마치 데스크탑상의 윈도우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을 좀 바꿔 보면 특정 모바일 플랫폼 종속에서 벗어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바로 웹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다바이스상 설치되어 운영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네트웍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받은 후 웹 브라우져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모바일 클라우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킬러 분야인 게임 분야에서 우수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한가? ,  네트웍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구동할 것인가?, 그리고 웹 프로그래밍을 통해 디바이스의 제어가 가능한가? 등이 있다.

먼저 결론을 말하자면 이러한 문제들은 일부는 해결되었고 일부는 해결되어 가고 있으며 모바일 웹이 모바일 플랫폼의 주류중 하나가 될 것이다. 먼저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는 W3C의 HTML5 표준이 있다. 기술적인 내용을 살펴보는 것에 앞서 표준은 산업체간의 이해관계가 걸린 전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순히 업체간의 협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이해관계에 의해 움직인다. 현재 HTML5 표준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업체는 구글과 애플, 그리고 팜 , 오페라 등을 들 수 있다. MS의 반대 진형이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실세는 구글이며 W3C 표준에 자신들의 기술을 반영하여 웹 표준을 리드하고 있다.

Gears이러한 HTML5에는 앞서 언급한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게임 처럼 복잡한 그래픽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Canvas 태그와 네트웍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디바이스상의 스토리지를 이용할 수 있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이를 온라인시 동기화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스펙은 구글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구글 Gears를 HTML5에 포함시킨 것이다. 또한 최근에 W3C는 Device API Working Group을 발족하여 웹이나 가젯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바이스를 제어하는 표준API를 제정에 착수하였다.

W3C의 Device API외에 자바스크립트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으로 BONDI(http://bondi.omtp.org)가 있다. BONDI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포럼인 OMTP(Open Mobile Terminal Platform)에서 제정한 런타임 플랫폼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 등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안전하게 제어하게 해주는 모바일 웹 플랫폼이다.

BONDI는 HTML, JavaScript, CSS 등 표준 웹 개발 기술로 작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 카메라, 커뮤니케이션 로그, 이미지 갤러리, 위치 정보, 메시징, 스토리지, 개인정보 관리(PIMS) , 디바이스 정보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모 바일 웹 플랫폼이다. 이를 위해 BONDI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EXtension를 제공한다. 현재 1.0 스펙까지 출시되었고 참조 구현체와 SDK를 배포하고 있다. 현재 BONDI API와 노키아 API가 W3C Device API에 제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W3C Device API에 유사 표준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HTML5, Device API,  BONDI 등의 이면에는 여러 업체들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존재한다. 물론 이러한 이해관계의 끝에는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실제 표준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기술과 스펙을 표준화시키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바로 그것이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기술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필수이다.

현재 모바일 웹을 가장 적극 채용하고 있는 업체는 구글과 팜사이다. 구글은 올해 5월 구글 개발자 컨퍼런스인 Google I/O에서 HTML5를 기반 기술로 적극 추진한다고 공표했고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Crome OS를 HTML5 기반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과거 PDA 황금기에 시장을 주도했었던 팜사는 Palm Pre라는 새로운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웹 OS라는 혁신적인 개발 환경을 발표했다. 웹 OS는 Webkit과 dojo를 기반으로 한 Mojo라는 웹 SDK를 제공한다. Mojo는 CSS,HTML,Javascript만을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져의 경우에도 파이어폭스3.5 , 오페라 9.6 , 사파리 4 등에서 동영상, 오디어 등 HTML5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지원 기능은 시간이 흐를 수록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이 웹 중심으로 수렴되는 것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기존 디바이스 의존적인 방법보다 높은 생산성을 주는 것과 더불어 긍정적인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변화들이 올 지 예상해보자.

- 중.저가형 스마트폰 시장이 보다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기존 스마트폰 시장은 주로 고가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사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져가 구동되는 환경에서면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이 보다 빠르게 형성되고 주류가 될 수 있다.

-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일반화가 되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생태계도 변하게 된다.
애플 앱스토아를 비롯해 현재 모바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대부분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순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다. 마치 윈도우용 프로그램의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모바일 마켓플레이스에서 라이센스를 구매하고 이를 디바이스에 설치한 후 사용을 한다. 그러나 모바일 웹은 이러한 방식의 변경을 요구한다.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해 언제,어디서나 접속을 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과금도 라이센스를 구매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인 SaaS(Software As As Service) 모델로 전환될 것이다.
  
이에 따라 앱 스토아 같은 기존의 모바일 마켓플레이스도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며 후발 업체들의 경우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개방되고 우수한 클라우드를 보유하고 있는 구글과 팜사의 웹OS가 가장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HTML5, CSS, 자바 스크립트로 개발된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W3C의 Device API 등을 통해 직접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면 아주 재미나고 놀라운 것들이 가능하다. 가령, 웹 서버와 Device API를 지원하는 냉장고용 제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사용자는 핸드폰의 브라우져를 통해 냉장고에 접속한 후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도 있으며 특정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면 자동으로 특정 웹 쇼핑몰에 주문을 내게 할 수도 있다.

HTML5 표준은 2012년 정도에 완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표준에 앞서 관련 업체들의 모바일 웹 관련 기술은 더욱 빠르게 발전할 것이다. 과거 우리는 IBM의 호스트 환경에서 데스크탑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 그리고 다시 웹으로 변화를 할 때 마다 이를 미리 준비하지 못할 경우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만 했다. 이처럼  모바일 개발자들과 디바이스 개발자들은 다가올 모바일 웹 환경을 위해 미리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ZDNET에 기고한 글 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카오스의 모바일생태계에서 살아남는 방법


최근 핸드폰 업계의 가장 큰 이슈는 최근 크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폰 시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다. 워낙 모바일 시장이 여러 이해 당사자들이 아주 복잡하여 얽혀있는 멀티 사이드 시장인지라 시장을 이해하면 돌아가는 판세가 아주 재미있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 새롭게 등장한 애플의 아이폰 SDK와 앱스토아 모두 기존의 SKT나 LGT같은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삼성,노키아같은 디바이스 업체 들에게 모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에게 준 영향은 기존에 차지하고 있던 위치에 대한 불안감을 제공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고객과 모바일 관련 어플 또는 컨텐트 개발자(또는 개발사)입장에서는 행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누가 행복했었나?

기존의 모바일 시장은 철저하게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장악하고 있는 시장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철저하게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입김에 따라 모든게 좌지우지되고 관련 업체들의 매출과 수익, 생사가 오락가락한다.  

실제 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고객에게 판매할 디바이스를 삼성이나 LG같은 디바이스 사업자로 부터 납품을 받는다. 이 때, 디바이스에는 윈도 CE나 심비안 또는 삼성의 SHP같은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다.  플랫폼 공급자나 디바이스 사업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컨텐트 공급자가 개발한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를 소싱하여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해당 디바이스를 공급한다.

이러한 사슬의 끝에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있다. 이렇게 생산된 디바이스에는 전화 기능외에 네이트 같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 고유의 컨텐트 서비스가 떡하니 박혀져 있다. 당연히 다른 서비스는 이용할 수도 추가할 수 도 없다.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 개발자, 디바이스 사업자 등 모든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집중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기만을 구매하고 이를 다시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달콤한 가격 체계때문에 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장비를 구매하게 된다.

당연히 모바일 업계의 현재 구조는 모든 구성원의 생사가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결정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국내의 경우는 컨텐트와 어플리케이션의 선택과 공급이 모두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달려있고 폐쇄적이며 수익배분 구조도 열악하기 때문에 모바일 어플과 컨텐트 산업 구조가 취약하다. 쉽게 말해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이 버는 상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같은 구조지만 일본의 NTT 도고모의 아이모드는 컨텐트와 어플을 업체들에게 개방하고 이들 업체들의 품질관리만을 하며 수익배분도 컨텐트와 어플 개발업체들에게 많이 제공한다. 상생의 전략이다.


위기인가 기회인가?

사실 워낙 기존 모바일 시장의 먹이사슬이 완벽하다 보니 사슬의 끝에 위치한 통신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현재의 모델이 끝까지 지속되길 바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구성원들 특히,  어플과 컨텐트 공급자 입장에서는 현재 상황은 모순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어떻게 이 모순을 해결 할 수 있을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를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폐쇄적인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오픈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직거래를 하는 것이다.  실제 이러한 직거래를 통한 전략은 이미 NTT를 통해서도 검증이 된 것이다.  이러한 직거래 채널을 마켓플레이스로 구체화를 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설치,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플랫폼을 제공하며,  이 플랫폼에 최적화된 디바이스를 생산해 낸 업체가 바로 애플이다.

애플은 이미 아이팟을 통해 MP3 시장에서 컨텐트(음원)-컨텐트 플랫폼(아이튠)-컨텐트 디바이스(아이팟) 으로 이어지는 폐쇄적이지만 강력한 구조를 만들어 성공한 경험이 있다. 이 경험을 스마트폰 시장에 그래도 적용한 것이다.  애플의 스마트폰 생태계는  기존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집중되던 구조를 구성원 모두가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한 데 큰 의의가 있다.  물론 , 애플의 경우 플랫폼과 마켓플레이스, 디바이스를 모두 공급하기 때문에 최대의 수혜자 임은 분명하다.


이해당사자들의 복잡한 이해타산

기존의 질서가 붕괴되면서 카오스의 시대가 온 것이다. 카오스를 통해 새로운 질서가 수립되는 과정이 현재이다.  특히,  그 간 가장 홀대받던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 공급자에게는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플랫폼 공급자와 디바이스 사업자 들은 애플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면서 새로운 질서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반면 기존의 통신서비스 사업자는 새로운 돌파구를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더구나 최근에 들리는 이야기에는 차세대 애플 터치에 마이크가 붙어있다는 소식이 들리는 것을 보면 기존 모바일 통신도 인터넷 통신으로 대체되거나 겸용되는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마켓플레이스 , 노키아의 심비안과 OVI Store ,  MS의 윈도우 모바일과 마켓플레이스 ,  그리고 삼성전자, LG 전자 , SKT, LGT, 이어서 KT/KTF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모바일 관련 회사들이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이러한 카오스 상황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혼돈속의 질서, 불규칙속의 규칙


현재의 혼돈과 불규칙한 시장 상황은 새로운 질서의 전주곡이다. 따라서 이러한 혼돈속의 새로운 질서를 예상해 보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 지 고민해 보자.


-애플 아이폰, 노키아 심비안, 구글 안드로이드,  MS 윈도우 모바일 등 주요 스마트폰 개발 플랫폼 업체들은 계속해서 플랫폼의 주도권을 나눠 갖을 것이다.

PC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PC와 데이타를 교환하며 때로는 다른 PC를 사용한다. 이러한 데이타와 사용성의 호환 등을 위해 사용자는 윈도우 같이 하나로 통일된 PC플랫폼을 선호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통일된 플랫폼을 선호하지 않는다. 지극히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애플이나 구글을 선호하거나 용도에 따라 게임용 그래픽이 강력한 플랫폼을 선호할 수 도 있다. 또한 폼나게 다니고 싶은 사용자에게는 UI 기능이 강력한 플랫폼을 선호할 수 있다. 

이처럼 모바일 플랫폼을 보유한 회사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스마트폰 시장을 형성하고 유지해 나 갈 것이다.  더구나 이들이 보유한 개발 플랫폼은 고객과의 직접 채널인 마켓플레이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자와 수요자를 동시에 연결시켜 디바이스 및 서비스 공급자와 경쟁할 수 있는 중요한 무기이다.

구글과 MS처럼 개발 플랫폼만 보유한 회사는 삼성, LG, HTC 등과 같은 디바이스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장을 늘려나갈려고 할 것이며 반대로 디바이스 회사는 최적의 개발 플랫폼을 확보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최근들어 KT의 안드로이드 , 삼성전자의 SHP등의 이러한 것을 말해 준다.   또한 기존의 디바이스와 개발 플랫폼을 모두 보유한 애플이나 노키아 등은 자체 다비이스를 플랫폼에 최적화하면서 보다 발빠르게 움직여 나갈 것이다.


- 개발자들은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전략이 필요하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진입기이다. 본격적인 성장을 위한 준비기라는 것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태동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가령,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오픈 마켓이 거이 전무한 상태에서 국내 시장을 목표로 한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 개발은 의미가 없는 일이다. 그러나 애플과 노키아, 삼성 등의 마켓플레이스는 글로벌 마켓이기 때문에 충분히 시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물론 글로벌을 지향하는 것과 글로벌한 것은 분명히 다르다.

따라서 개발자들의 입장에서는 결국 몇 개로 정리될 개발 플랫폼과 마켓플레이스에 얼마나 신속하게 제품을 개발.배포할 것인가라는 속도전이 주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다. 하나의 어플을 개발하고 이를 다른 플랫폼으로 포팅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처음부터 멀티 플랫폼으로의 포팅을 전제로 하여 개발을 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현재 이클립스의 펄져(Pulsar)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아주 좋은 개발 툴이다. 이클립스 펄져는 모바일 개발자들에게 통합 플랫폼 개발 툴과 환경을 제공한다. 


보다 적극적인 다면 전략이 수립돼야 한다.

성공적인 스마트폰 시장을 위해서는 무조건 개발자를 다수 확보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유용한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를 공급해야 만 선순환 구조가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 SDK를 개발자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마켓에 등록할 때에도 별도 비용을 받는다.  이는 애플이 현재까지 가장 큰 규모의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며 , 마켓플레이스에서 구매가능한 다수의 고정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는 강점때문에 가능하다.

애플 이후의 후발 업체인 구글 , 노키아 등은 개발자를 위해 SDK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며 각종 채널을 통해 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개발자들에게 부담시키는 비용은 단지 마켓플레이스용  등록 비용과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비용 이다. 

그렇다면 그 다음의 후발 주자는 어떻게 해야 할 까?
물론 가장 적극적인 방법을 개발자에게 제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SDK도 무료이고 , 테스트 및 등록 비용도 무료로 제공한다. 더구나 수익도 개발자에게 더 많이 배분하거나 모두 제공한다.  현재 개발자들이 갖고 있는 불만은 비용을 지불하는 데로 등록과 테스트에 드는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만약 비용이 무료이고 등록과 더불어 보다 많은 수익이 보장된다면 이러한 불만을 참고 개발에 적극 힘할 것이다.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수익을 어떻게 낼 것인가”. 결론적으로 우호적인 개발자와 어플리케이션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결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수익이란 단어를 미리 떠올릴 필요가 없다. 든든한 개발자와 어플리케이션을 고객에게 공급하고 고객에 계혹해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는 순간 선순환에 의해 다양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마켓플레이스의 배포 전략 또한 필요하다.
앞서 강조했듯히 지금까지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와 컨텐트 서비스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던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 입장에서 개방된 개발 플랫폼과 마켓플레이스는 아주 위협적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러한 마켓플레이스를 통신 서비스 업체에게 무료로 제공하거나 제휴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공유하게 해준다면 마켓플레이스가 탑재된 많은 디바이스를 공급함으로써 마켓플레이스 사용층을 늘려 선순환이 되게 할 수 있다. 실제 디바이스 공급업체 입장에서 오픈 개발 플랫폼과 마켓플레이스는 아주 매력적인 컨텐트이다.왜냐하면 디바이스 업체들은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더 이상 폰은 디자인과 유명 연예인 마케팅만으로는 판매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실제 중요한 것은 바로 어플리케이션과 컨텐트이다.


혼돈속에 만들어질 새로운 질서속에서 누가 주인공이 될지는 모르지만 기존의 모순된 사슬을 제껴내고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 질 것은 분명한 것 같다. 또한 누구든 욕심을 내는 순간 낙오자가 될 것도 분명해 보인다.

본 글은 ZDnet 컬럼에 쓴 글 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