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몇 주 동안, 씽크프리에서는 사업 중심의 조직 개편과 분기 계획서 작성 등 내부의 바쁜 일들이 많은 시기였습니다. 지난 주까지 바쁜 일들을 좀 정리하고 밀린 자료들을 정리하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10월에 발간된   두뇌강국으로 가는 길이란 글을 보고 여러모로 느끼는 점이 있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흔히들 공대생들을 공돌이라고 합니다. 간혹 저도 술자리에서 공돌이 라는 말을 쓴 곤 했던 것 같습니다. 아마 여러 모로 답답한 이공계의 현실과 이러한 현실의 한 가운데 있는 사람으로서 자조섞인 표현이 나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 물론 ,  상대적으로 이학 분야보다 공학 분야가 좀 더 낳을 수는 있겠죠^^) 그러나 부존자원이 열악한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우수한 이공계 자원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핵심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보고서에 의하면 2000년 이후 미국,독일,영국,일본에서도 이공게 박사의 배출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를 해결하고자 국가 차원에서 해외인재를 적극 유치하고 대학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고급 두뇌를 육성중이라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나라의 인구도 작은 상황에서 기초 과학 분야의 이학박사의 비율도 낮으며 그나마 이학분야 중 의학 계열 등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더구나 우수한 인재들이 초.중.고 때 유학을 가서 현지에 정착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자료에 의하면 이공계 미국 박사 학위 취득자 둥 2000~2003년 사이 정착률이 46.3%라고 합니다. 100명중 50명 정도가 국내로 돌아오는 실정입니다.



지난 번 국내 최고 대학이라는 서울공대의 교수채용 공모에서 해외 우수 교수들이 공모에 불참하여 채용이 이뤄지지 않은 것을 보면 국내의 암울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교육 , 특히 대학은 대외적으로도 경쟁력을 점차 상실하고 있는 상태이며 내부적으로도 평가와 경쟁없는 교원 시스템 등은 간판만 따는 대학으로 전락한 상태입니다.  더구나 등록금은 왜 이미  매년 바싸지는  지  이해가 안됩니다. 재단 전입금과 정부 지원금으로 땅 장사만 하는 건 아닌지! 쯔쯔...^-^

보고서에 의하면 , 공급자 중심의 교육 정책에서 시장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이를 위해  대학원의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적 수준의 교수진 확보 및 우수한 학생 선발하는 등 글로벌 수준의 대학원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령, 의학계-공대 등 다양한 인력을 연계하여 헬스케어 산업의 연구개발 인력으로 의학계 인력을 활용한다면 향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헬스케어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실제 ,미국의 홈&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은 2006냔 9.7억$에서 2010년 57억$ , 2015년 336억$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닷컴 버블로 기억하지만 전산 분야가 가장 인기가 많던 적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재에도 국민소득 2만$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정부 정책도 유효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먼 것 같습니다. 개그는 개그일 뿐 따라하지 말자..정책은 정책일 뿐 기대하지 말자... 이과 수험생이 한명 있는 데 참으로 걱정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아래 Snippet은 저의 웹 오피스중에서 ThinkFree Docs를 통해 외부에 공개된 파일들의 목록입니다. 웹 페이지나 블러그에 삽입하면 유용할 것 같아 만들었습니다. 여러분의 블러그에 오피스 문서들을 추가해 보세요! ThinkFree Docs->My Docs에서 아래의 코드를 삽입하면 다음의 스니핏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embed src="http://www.thinkfreedocs.com/profiles/viewMyDocs.swf?usn=76813&amp;v=1&amp;server=" quality="high" bgcolor="#ffffff" name="viewMyDocs" allowscriptaccess="sameDomain"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wmode="transparent" align="middle" height="280" width="300">




Posted by 박재현
,

웹 오피스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항상 스스로에게 하는 질문이 "왜 웹 오피스일까?"라는 고민을 합니다. 정답은 없는 질문이지만, 이 질문에 대해 스스로 대답을 하고 정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바로 웹 오피스를 현실화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주에 웹 오피스에 몇가지 기사가 실렸습니다. 하나는 어도비에서 버즈워드 라는 플래쉬 기반의 문서 작성기를 개발한 버추얼유비쿼티 사를 인수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터닷넷의 황치규 기자님의 글에서 소개되었있네요.

버즈워드는 과거 어도비의 에어 플랫폼을 소개할 때 간간히 개발 예로 소개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기초적인 편집기 수준이었는데 현재 스크린샷을 통해 보니 페이지 개념과 레이아웃 기능 등 손쉽게 문서 작성을 해주고 파일 관리, 공유 등 웹 워드 프로세스의 기능을 갖춘 것 같습니다.

과연 어도비가 웹 오피스 시장으로 본격화 하는 것 일까요? 현재 어도비는 플래쉬라는 채널을 통해 RIA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의 연장에서 어도비는 버즈워드를 다양하게 이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플래쉬로 개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과 기능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라이브 데모이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 재미난 소식하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웹 오피스 관련 소식입니다. 웹 오피스라고 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에는 좀 그렇치만 , 이번에 MS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라이브 웍스페이스 라는 베타 서비스를 소개했습니다. 가입 신청은 했는데 아직 이용해보진 못했지만 말그대로 MS Office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웍스페이스라는 공유 공간을 통해 문서를 공유하여 다양한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 입니다. 아마 오피스라이브에서 처럼 sharepoint 서버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데스크탑  MS office를 여전히 구매하면 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라는 전략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MS에서는 이를 소프트웨어+서비스 전략이라고 합니다.

어도비, MS,구글, 조호 그리고 씽크프리 외에도 오라클, SAP,Saleforce 등 SaaS서비스를  전략 사업을 여기는  곳들에서 공통적으로 모두 웹 오피스를 서비스 라인업으로  여기능 이유가  무엇일까요?  웹 오피스야 말로  사용자의 경험을 가장 첨예하게 바꿀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그 간 플랫폼이라 하면 MS의 윈도우가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플랫폼에서 가장 뛰어난 애플리케이션이 오피스이고 수 년간 사용자는 윈도우+오프라는 경험을 통해 윈도우 운영체제하에서 지식을 만드는 개인적인 경험(주로 공동작업이 아닌 개인 작업을 통해)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웹 오피스는 이러한 경험을 바꾸고 있습니다. 공동으로 문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문서는 바로 블러그에 포스팅되며 지도, 동영상, 이미지 등 인터넷상의 다양한 정보를 검색,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지식 창출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의 전환, 데스크탑에서 웹으로의 전환에 있어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하는 웹 오피스에 대한 고민과 투자가 진지하게 국내 웹 서비스 업체들에게도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고민에서 수많은 업체들이 기꺼이 투자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 근 2주 동안 하두 휴일이 많아 뭘 했는지 잘 모르겠네요...쉬지도 못하고 일도 맘에 안들고..


Posted by 박재현
,

몇 일전 CNET  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대안 오피스들에 대한 리뷰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글을 작성한 Elsa Wenzel이 검토한 대안 오피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제품들에 대한 분석 요약에는 CNET에서 평가한 순위와 가격,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교표

위의 평가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외에 최고의 평가를 받은 제품은  Google Docs & Spreadsheets 와  ThinkFree Office 3 입니다 ^-^. 온-오프라인 연동 기능 등 많은 주요한 기능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아쉬운 점도 있지만 비교 자체가 오피스 기능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 같습니다. 조만간 현재 진행중인 신기능들이 포함되면 구글보다 앞설 것이라 확신합니다..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