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통 사람이 쿨(Cool)하다 하면 아주 멋지고 세련된 사람을 말하고 사물의 경우 아이폰, 아이팟처럼 멋진 최상의 것을 말한다. 쿨한 것은 하나의 트렌드를 이루고 사람들은 이 트렌트를 따르게 된다. 이 때 트렌드는 경향과 변화를 말한다. 이러한 트렌드는 선두에서 이끄는 일련의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렇게 트렌드를 리드하는 사람들을 트렌드 세터라 부른다.

하나의 트렌드를 창조해 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트렌드 세터를 찾아내야 한다. 이러한 트렌트 세터를 찾는 과정을 쿨헌팅(Cool Hunting)이라 한다. 쿨헌팅은 트렌드 세터를 찾는 데 주력하는 데 반해  이러한 트렌드 세터들을 모으고 여기에서 자유롭고 창조적인 트렌드를  창조해 내는  것을 쿨파밍(Cool Farming)이라 한다.

이러한 쿨헌팅, 쿨파밍을 통해 트렌드 세터를 찾고 트렌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인하는 가장 중요한 기반 철학이 바로 집단 지성이다. 집단의 지성이 모여 조직화가 되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낸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곳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쇼셜 네트웍(Social Network)이 창조된다.

이처럼 쿨헌팅/쿨파밍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를 창조해 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피터 A 글루어 , 스코프 M.쿠퍼"의 쿨헌팅 , 트렌드를 읽는 기술"이란  책의 내용이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쿨 헌팅 과정은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공동의 목표와 목적 --> 공동의 혁신[관심|학습]네트웍 형성 -->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지식이 창출되고 공유됨 -->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됨 -->  트렌트의 실제 적용

집단지성으로 대표되는 웹2.0 서비스의 대명사인 위키와 블러그 들은 위키스페이스와 블러그스페이스라는 큰 가상의 공간을 창조했다. 이 공간내에서 각자 영역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네트웍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네트웍을 통해 위키피디어란 백과사전과 다양한 팀블러그 등이 창조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네트웍에서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이 바로 트렌드세터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쿨헌팅 과정을 통해 네이버의 지식인 서비스를 이해해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인 서비스는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지식을 제공하는 사람간의 관계로 서비스가 구성된다. 이 때 지식은 사용자 군집의 집단적 지식에 의해서 창조되고 재창조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지식인의 성공 요인이 무엇일까? 다시 말해 트렌드 세터가 누구일까? 바로 각 분야의에서 최상위 등급이자 태양신으로 추앙받는 이들이 아닐까! 이러한 트렌드 세터들의 열렬한 활동에 의해 네이버 지식인은 정제된 지식베이스를 창조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 지식인은 "지식인에서 물어보세요"라는 트렌드를 만들어 냈고 현재의 네이버를 만드는 원동력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식인 서비스의 단점을 하나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로 사용자들의 조직화가 없다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인에는 많은 태양신이 존재한다. 이러한 태양신은 지식인 서비스에서 트렌드 세터의 역할을 하지만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새로운 다양한 트렌드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지식인의 조직화를 보강해 낼 수 있는 것이 카페 서비스가 아닌가 싶다. 관련된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트렌드 세터와 사용자들간의 소셜 네트웍은 카페를 통해 구성하고 이러한 집단 지성의 결과로 만들어진 지식은 지식인 서비스를 통해 재창조된다면 이 과정에서 다양한 쿨헌팅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다음에서도 다음 카페에 쌓여있는 DB의 검색을 제공한다고 한다. 다음 카페상에 존재하는 정도에 대한 검색도 의미있지만 이러한 카페의 집단 지성을 지식화하는 것도 고려해 볼 일이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공동의 네트웍에서 트렌드를 발굴해 내고 이를 사업화한다면 경쟁력이 있지 않을 까 싶다.

Posted by 박재현
,

어제(24일)는 코엑스에서 열린 Search Day 2008에 참석했습니다. 오랜만에 하루종일 구석에 앉아 여러 발표자들의 의견을 듣고 국내 검색 기술과 서비스의 현황에 대해 정리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물론 발표에 있어 특정 기업에 대한 주관적인 비판과 궁금한 것을 질문할 통로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좀 아쉽기는 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참석해서 국내 검색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품 서비스 데모에 있어서는 다음의 트렌드 검색 서비스와 네이버의 크로스미디어 라는 멀티미디어 광고를  소개했었습니다. 외적으로는 미투데이의 마이크로블러깅의 다양한 유용성도 재미있었습니다. 검색은 " __ "다 에 들어갈 말을 참석자들이 미투데이를 통해 응모하는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다음의 트렌드 검색 서비스의 경우 다음 사용자들이 입력한 검색 질의를 DB화하여 이 정보를 통해 실시간에 누리꾼들의 관심과 사용자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트렌드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다음은 "다음 vs 네이버"라는 키워드로 트렌드를 검색한 것의 결과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복수 개로 A,B,C,S 비교하려면 최대 4개까지 "A vs B vs C vs D" 라는 방식으로 vs를 사용하여 질의를 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트렌드 검색의 중요한 의미는 그 간 다음 포탈이 갖고 있던 사용자들의 관심과 트렌드 동향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는 점입니다. 실제 다음 트렌드를 통해 특정 연령층이 관심있는 것들을 파악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탭중 트렌드 발견이란 것이 그러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좀 더 정교하게 원하는 트렌드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특히, 인물에 대해서요.... 개인적으로는 인물 검색과 트렌드 검색은 한끝차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요..^-^.

그리고 네이버의 크로스미디어는 에서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등에 네이버의 녹색 광고창을 넣는 광고 프로그램입니다. 일종의 검색 광고 프로그램이죠. 다음과 네이버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자리였던 것 같읍니다.

데모외에도 여러 검색 기술에 대한 발표들이 있었습니다. 모란소프트의 조용한 대표의 검색기술의 진화방향이라는 발표와 넥스알의 한재선 대표의 검색 플랫폼의 진화 그리고 올라웍스 류중희 대표의 멀티미디어 검색이라는 발표를 통해 검색엔진의 전반적인 기술과 현황 그리고 현재 주요한 관심사 그리고 구글과 검색관련 오픈소스 인프라에 대한 정리를 할 수 있는 좋은 계기였던 것 같습니다.

검색 엔진 자체의 기술은 아주 오래전 부터 연구되고 개발되어왔습니다. 실제 이제는 저렴한 기반 기술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성능 좋은 검색엔진과 파일  시스템 등을  오픈소스로 이용할 수 있고 텍스트 마이닝, DB 마이닝 등 검색에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연구 성과들이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검색 서비스는 어떻까요? 검색 기술과 검색 서비스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검색 기술은 찾는 기술이만, 검색 서비스를 검색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구성하여 적재적소에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영양가 많은 양의 데이타를 확보하고 이를 사용자의 문화와 취향에 맞게 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를 이루는 기획과 운영, 기술이라는 3박자가 검색 서비스의 경쟁력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 행사에서 소셜 검색, 블러그 검색 등 여러 버티컬 검색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모두 수긍이 가는 이야기지만 결국 검색 서비스로의 성공은 고객의 요구와 문화를 읽을 수 있는 기획력과 대용량 서비스의 운영 능력과 기술 그리고 여기서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델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합니다.  마지막으로 발표자 한분의 말의 생각나네요- 검색은 "문화"이다.  개인적으로는 검색은 "트렌드"라고 생각합니다. 트렌드의 결과가 바로 문화와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지난 4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 프레스를 통해 재미난 기사가 올라왔다.

Microsoft Launches Beta of New All-in-One Service for Consum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프트웨어 + 서비스로 대표되는 MS의 SaaS정책의 실제 적용 모델인 알바니(Albany)의 베타 버전을 발표한 것이다. 알바니는 한마디로 개인 사용자와 학생들에게 알바니 서비스에 가입(Subscription)을 하면 MS Office Home과 Student 2007 버전과 Windows Live OneCare, Windows Live Mail, Messenger , PhotoGallery, MS Office Live Workspace connector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한다는 것이다.  가입 기반이지만 3대의 PC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제공한다.

MS의 알바니는 실제 웹 오피스 서비스가 아니라 기존의 MS 오피스와 윈도우 라이브를 묶은 MS방식의  SaaS 사업방식이다. 일반 사용자와 학생은 가입을 한 후 통합된 패키지를 온라인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설치된 MS 오피스로 작성된 문서는 MS Office Live Workspace connector를 통해 온라인상의 윈도우 라이브 공간에 저장을 할 수 있으며 바로 다른 사용자와 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재미난 것은 예상했지만 MS Office Live Workspace connector라는 모듈을 MS 오피스 메뉴바에 탑재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 패키지 버전과 온라인상의 서비스를 연결을 제공한다는 사실과 더욱 더 이러한 온-오프라인 통합 기능이 추가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MS 오피스는 더 이상 단순히 오피스 툴이 아니라 MS의 클라이언트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2008/02/28 - [Office2.0] - MS의 오피스 전략 이해해보기(1/2)
2008/02/29 - [Office2.0] - MS의 오피스 전략 이해해보기(2/2)

참고로 이미 MS는 MS 오피스 플랫폼상에 다양한 기업용 MashUp 컴포넌트를 개발.배포할 수 있는 툴과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한컴의 맛춤형 오피스와 비교해서 생각해 볼만한 일이지만 입장이 입장이니 생각하지 않아야 겠다....^-^

또 하나 재미난 점은 알바니의 가격 모델이 가입(subscription)이라는 것이다. 물론 현재에는 일반 가정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지만 기존의 라이센스 방식과 더불어 SaaS의 배포,가격 모델을 채택했다는 데 있다. 물론 , 기업 시장의 경우 여전히 라이센스 방식으로 사업을 하고 있지만 이후 기업 시장이 오피스 툴이 아니라 오피스 서비스와 오피스 서버 제품군으로 전환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보면 이후 이 두 가격 모델의 혼합 모델의 출현 또한 기대해 본다. 이미 기업 시장의 경우에도 대기업과 중소 기업으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중소 기업의 경우에는 가입 기반으로 , 대기업의 경우에는 라이센스 기반으로의 사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MS가 야후를 인수하고 야후 플랫폼을 통해 알바니 웹 오피스 사업을 공격적으로 펼칠 경우 , 구글의 웹 오피스와 오픈 오피스  그리고 씽크프리 오피스와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 모두 데스크탑 오피스과 웹 오피스 그리고 이들 간의 연계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오픈 오피스도 웹 스토리와의 연계 작업이 진행중인 것을 고려해 보면...

하여간 올해 하반기에 보다 자세한 정보와 가격 등을 제공한다고 하니 눈여겨 봐야 할 것 같다.

Posted by 박재현
,

이번주 24(목),25(금)에는 Search Day 2008- Spring 컨퍼러스가 열립니다. 24일에는 검색 기술, 25일에는 검색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모처럼 검색 기술과 사업의 현황과 국내 업체를 비롯하여 구글의 생각도 들어 볼 수 있는 좋은 자리인 것 같습니다.  참석 후에 검색 기술과 현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처럼 초청해주신 검색엔진마스터 전병국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