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주는 무척 바쁘고 힘든 하루였습니다. 방금 <엔터프라이즈2.0 시대의 SaaS 활용 A to Z>라는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서 21일 보스톤에서 열린 Enterprise2.0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씽크프리 프리미엄 버전과 기타 서버 에디션 등 웹 오피스의 소개를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어제는 코엑스 열린 WebAppsCon 컨퍼런스를 참석했고  저녁에는 "OpenXML을 통한 상호운요용성 워크샵"에 참석했습니다.  이틀동안 너무 많은 분들을 만나서 인지 좀 머리가 울렁 거리네요^-^

Web2.0 , RIA, SaaS 등 최근 들어 웹의 표준화와 더불어 많은 새로운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다룬데다 비영리를 목적으로 하여 연령, 직급, 나이를 떠나 자유롭고 즐겁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준비했고 기대했던 것보다 많은 분들이 오셔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종일관 즐거운 분위기에서 멋졌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것도 결국 우리들만의 잔치가 아닐까 라는 것입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 발표자와 스폰서, 그리고 참석했던 분들이 주로 포탈 업체와 웹 2.0, 대기업 등 다소 안정적인 회사들에 소속된 다수 였던 것 같았습니다. 물론 프리렌서 분들과 새로운 기술에 열정인 분들도 참석하셨구요.

그러나 현재 국내 소프트업체들의 현실을 보면 새로운 기술에 목말라도 현실에서 이를 채울 수 없는 열악한 현실에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현재 8천 여 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가 있다고 합니다. 이들 회사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현장에서 야근을 밥먹듯이 하고 심야에 지친 몸을 이끌고 퇴근을 하며 , 받은 스트레스를 소주 한잔에 넘겨 버리고 다시 아침에 쓰린 속에 출근을 하는 생활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저도 이전에 회사에서 유사한 생활을 했기에 누구보다 이러한 현실을 더 잘 알고 있습니다.  아마 이런 연유에서 요즘 능력이 있는 개발자들이 프리렌서의 길을 많이 걷는 것 아닐까요? 프로젝트후에 찾을 수 있는 여유...

이러한 현실에서 과연 새로운 기술이 현재 대부분의 개발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물론 이런 열악한 환경에 있더라도 끊임없이 준비를 해서 서비스 업체 등 다른 업체로 이직이나 전직을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일은 정말 어려운 일 입니다. 개인적으로도 몸과 마음에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그 어떤 창의적인 움직임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또한 내일을 예측할 수 없는 현실에서 직원들의 재교육을 위해 투자할 만한 회사 차원의 여유 또한 없습니다.

저는 이러한 현실이 극복되지 않는 한 우리가 말하고 있는 웹 표준 기술, RIA , Web2.0은 우리들 내부에 또 다른 기술 차별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술의 발전 만큼이나 개발자들이 개발자로서의 대우와 처우를 받으며 이 속에서 새로운 기술을 진지하게 받아 들이는 개발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 국내SI 현실에서 웹 표준화를 준수하고 새로운 RIA를 채택하고 이를 위해 개발자를 교육시키는 프로젝트의 수행이 쉽지 않은 현실에서 WebAppsCon에 말한 여러 이슈와 기술들은 국내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어쩌면 정말 몇 년후에는 대부분의 개발자가 베트남이나 중국, 인도 엔지니어가 될지도 모르죠....

이번 WebAppsCon에서는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등록비도 저렴하고 , 지방에 있는 개발자는 무료로 하는 등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내년에는 별도록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논의가 꼭 이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WebAppsCon이 단지 웹 기술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웹 개발자, 프로그래머를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대표 con이 되길 바랍니다.




 

Posted by 박재현
,


2007년 온라인SW 서비스 시범사업시스템 구축 및 위탁운영용역 이라는 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의 사업에 대하여 몇가지 지적을 하고 싶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 진흥원에서 온라인 SW 서비스 시범 사업 프로젝트가 발주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국가 기관에서 기존의 패키지 로서의 소프트웨어에서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로의 전환을 알리는 중요한 사업이라는 판단이 들어 관심있게 보게 되었습니다. 보자 마자, 좀 의아하게 생각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먼저 , 입찰 참가 자격을 보겠습니다.

    가.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령 제12조 규정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규정에  의한 유자격자이어야 합니다.

    나. 입찰참가신청시 우리 원의 선정방식에 이의가 없음을 확약한 자이어야 합니다.

    다. 리눅스와 윈도우용 SW 스트리밍 솔루션 제공 가능 기업과 기간통사업자(인터넷접속역무-전국)이여야 합니다

나.항이야 원래 갑들의 공통적인 주장이지만 다.항의 경우 리눅스와 윈도우용 S/W 스트리밍 솔루션 업체와 기간 통신 사업자가 컨소시엄으로 참가하고 기간통신 사업자는 전국이어야 한다라는 것 입니다. 전국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기간통신 사업자가 ??? 누구 일까요?? 그리고 리눅스와 윈도우용 SW 스트리밍 솔루션 업체가 이들과 함께 입찰에 참가해야 합니다. 과연 국내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업체가 얼마나 될까요?  온디맨스 SW 기술 현황 이라는 글을 보면 솔루션은 ETRI에서 개발한 것 밖에는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간 통신 사업자가 어떤 의미에서 필요한 것 일까요? 

둘째, 온라인 SW 서비스가 무엇일까요? 본 과제에서는 리눅스와 윈도우용 SW 스트리밍 서비스가 온라인 SW다 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과연 맞을 까요? SaaS와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전국민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SW를 제공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H/W와 S/W가 필요한지 계산은 해 보있는지요?  Office 프로그램을 이 방식으로 제공할 때...?   전국민수 X Office 라이센스 X 스트리밍 SW 라이센스비 + HW 비용.........

현재 온라인 SW는 SaaS 라는 모델로 다양한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미 수많은 분야에서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제 표준과 이에 준하는 기술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최소한 온라인SW 서비스라는 시범 사업을 한다며 좀 더 다양한 모델과 표준 그리고 경제성 등을 고려해서 사업을 해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특정 업체들을 위한 SI사업에 지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일을 볼 때 마다 납세자로서 무척 세금이 아깝습니다. 항상 정부 기관분들 만날 때마다 새로운 거 말로 있는 것만이라도 제대로, 알차게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합니다만.... 제가 너무 격했나요... !


Posted by 박재현
,


인터넷 코리아 너 떨고 있니
? 라는 뉴스메이커의 글을 접하고...

어떤 현상에 대해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분석을 위한 도구와 프레임웍이 있어야 객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의 인터넷 산업의 문제점을 크게 1. 기반기술과 철학 다지지 못해 , 2.인터넷산업 포털중심 다양성 상실 , 3.포털, 폐쇄적인 자신의 성만 구축, 4.사용자는 정보의 소비자로 전락, 5. 웹혁명, 소수 전문가만 열광 이라는 주관적인 기준을 통해 위기라고 진단했습니다.

물론 이러한 의견에 전혀 동의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객관적인 사실을 너무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것에는 동의를 할 수 없습니다. 먼저 2000 년초  인터넷 인프라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앞서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당시 이러한 인프라로 인해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출현했고 너나할 것 없이 벤처 창업이 줄을 섰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이후, 국내.외에 거품이 빠지고  인터넷 사업이 허울만 좋은 것이라는 것이 팽배해졌고 어려운 암흑기를 걸었습니다. 거품이 빠진 이후에는 인터넷 서비스로 창업을 하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었고 enabling technology라 해서 기반 기술 및 솔루션을 만드는 회사가 그 나마 창업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그 시기 wisfree라는 회사를 창업했습니다. 그러나 그 시기에 분명히 살아남은 회사들은 현재 웹2.0이란 용어로 지칭되면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반도체 산업의 수익률을 능가하는 수익을 창출해 냈습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다음이 대표적이죠. 이 들 업체는 분명 시행착오도 있고 관료화되었다는 비판을 받지만 나름대로의 철학과 기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내부 컨텐트를 로봇에 공개하지 않고 내부 서비스를 Open API로 제공하지 않는 다고 해서 철학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현재의 네이버와 다음이 기존 구글이나 다른 외국 기업보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더욱 강한 체제와 철학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웹2.0이라는 것이 절대적인 가치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참여와 개발은 웹2.0의 철학이 아니라 TCP/IP, 그리고 인터넷 그리고 웹의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본질의 발로가 바로  UCC로 대표되는 사용자의 참여이고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면 더욱 그러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웹 서비스 사업이 소수만의 잔치라고 표현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좀 다른 각도에서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경제적 관점 : 좁은 시장, 시장을 넓혀라.

시.공간을 뛰어넘는 인터넷 공간과 사용자 중 한글로 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외국 사용자가 몇명이나 될까요? 반대로 국내에서 외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척 많습니다. 이는 바로 인터넷 서비스의 가장 확실한 수입원으로 자리잡은 고객의 클릭에 의한 광고 수익을 낼 수 있을 만한 고객이 없다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국내에서 개발되는 서비스는 영문이나 일문 등 다른 나라의 고객들이 이용하도록 개발할 수 없는 것 일까요?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씽크프리가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고 글로벌 서비스로 자리잡아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30개국 이상, 30만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한글-영어-일어 등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씽크프리가 특별해서 이렇게 하는 것 일까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글로벌 서비스화를 위한 인프라를 국가와 정부에서 해줘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사회.문화적 관점 : 왜곡된 소프트웨어 산업의 구조를 바꿔라.

아바타의 신발은 구매하면서 문서 작성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당연히 불법으로 사용하는 고객 문화 , 하청에 재하청, 청탁, 뇌물 등으로 얼룩진 소프트웨어 사업 구조와 이로 인해 3D 업종으로 전락해 버린 소프트웨어 개발직. 대기업과 큰 회사에서 좋은 조건으로 좋은 인재를 채용하는 것은 어쩔수 없는 현실이고 개발자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저와 일하던 직원이 하루아침만에 파트너사인 N사에서 일하고 있는 것을 듣고 보면 무척 우울합니다. 사람에 대한 배신감도 느끼죠. 자본주의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 입니다.

이러한 왜곡된 구조가 개선이 돼야 창의적인 개발자가 모이고 이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창의적인 서비스를 만들고 이들 서비스가 글로벌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요?

저는 인터넷 코리아 너 떨고 있니? 에서 지적하고 있는 인터넷 사업의 위기라는 현실에 대해 공감을 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의 본질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사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애플, MS등에서 보듯이 미래의 성장 동력은 하드웨어 제조 기술,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 그리고 이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제품과 시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의력이 있어야 블루오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창조자인 개발자가 있어야 합니다. 창조적인 개발자가 비전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사회 구조를 만들지 못한다면 인터넷 사업의 미래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미래가 없다고 단언합니다.

요즘 이런 생각에 여러 정부 기관에서 SW발전에 관한 연구 모임에 자주 나가고 있습니다. 그냥 포기할 때가 아니라 누구라도 주장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Posted by 박재현
,


출장에서 오자 마자 회신 못한 메일을 보고 주간보고를 정리하고 밀렸던 블러그를 읽다 보니 석찬님의 몰아치기로 여러 글들을 올렸네요.. 그런데 관련되서 Xtech의 발표중 하나가 Mozilla의 XULRunner로 개발한 Joost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Putting SVG and CDF to Use in an Internet Desktop Application,Antoine Quint (Joost.com)


물론 주제는 클라이언트측에서 SVG 등 웹 표준 기술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사하느냐가 주제 였습니다.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아래 친구가 발표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Joost는 venice 프로젝트로 알여진 인터넷 TV 업체입니다. 업체에서 SVG 클라이언트측에 사용하면 TV 구현했죠. 아마 처음보면 일반 데스탑 애플리케이션으로 착각하겠지만 실제 표준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사실 XULrunner를 RIA라기 보다는 독립패키지 개발의 프레임웍으로 사용했고 실제 기타 주요 개발 기술은 모두 웹 표준이라는 게 더 중요한 것 입니다. 실제 XHTML , CSS , SVG, XBL(creating re-usable widgets), DOM & Javavascript 표준을 사용해서 개발했고 멀티미디어 기능은 ZAP 오픈 소스로 개발했습니다. 성능 , 위젯간의 통신, 키보드 처리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들이고 지금도 성능 개선을 위해 자체 노력중이라 합니다.


단순한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것은 DHTML과 CSS, Ruby/PHP 그리고 Ajax 패턴등으로 가능하겠지만 RIA에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현재의 표준 XML 기술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아키텍쳐를 설계할 것인가가 중요합니다. 그냥 단순히 RIA가 웹상에서 동적인 UI를 만드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절대 안됩니다. 화려함 뒤에는 반드시 독이 따르는 법이죠.


RIA라는 기술이 웹 서버상의 서비스 없이 모든 처리를 독자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결국 과거의 데스탑 시절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죠. 그러나 주요한 것은 이 둘 사이에 주고 받는 것들이 바로 의미있는 표준 정보라는 것 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실버라이트나 아폴러, 자바FX 등 의 경우 클라이언트를 얼마나 멋지게 만드느냐는 부가적인 것이고 실지 중요한 것은 이들 사이에 역할과 처리 방법이 표준이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RIA 기술들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바로 이러한 표준 연계 및 지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웹의 플랫폼화라는 것이 바로 RIA와 웹 서비스 그리고 이를 통한 신속한 개발, 고객과의 Feed back 그리고 다른 서비스들과의 연계이기 때문에 더더욱 표준 XML 표준이 중요합니다. 바로 XML로 가는 것이 바로 서비스의 글로벌화의 첫걸음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XML은 글로벌화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웹 2.0 업체들이 바로 이렇게 XML 표준을 따르고 자신의 스펙을 공개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것들이 바로 플랫폼으로 가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박재현
,

이번 주에는 아무래도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의 MIX07 행사와 여기서 발표한 silverlight가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한 한주 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 어도비의 Apollo가 오픈소스로 전략을 전환한 것의 이유를 어느 정도 짐작하게 해주었습니다. 실제 이 두 솔루션은 같은 RIA 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경쟁은 피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사실, 어도비의 성장에는 MS의 공이 큽니다. 실제 플레쉬의 성장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이 컸습니다. IE 브라우져에 플러그-인으로 플레시 리더를 손쉽게 배포하게 해 주었기 때문이죠. 과거 RIA 프레임웍을 가장 먼저 발표한 선의 자바 런타임은 IE에 기본으로 탑재됐을 때만 해도 널리 사용되었으나 MS가 IE에서 자바 런타임을 제거하는 순간 그 성장세가 멈추었습니다. 선이 바보짓을 한거죠.. 어떻게든 그것을 막았어야 했는데 말이죠.. ^-^

현재에는 과거처럼 마이크로소프트가 무지막지하게 플래쉬 리더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막는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웹 시장에서 사용자의 위력을 실감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문제는 확실히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툴과 개발 환경을 완벽하게 제공하는 최고의 업체이자 실버라이트의 배포 역시 손십게 할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더불어 이미 수많은 개발자와 커뮤니티를 확보하고 있구요.. 이에 반해 어도비는 개발자보다는 디자이너 커뮤니티가 더 강력한 상태죠...

이 두 플랫폼의 경쟁은 두고두고 볼만 할 것 같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판단해 보면 현재 레이오지가 MS로 옮긴 후 표준기반의 IE8을 준비하고 있고 silverstream을 멀티 플랫폼과 멀티 브라우져 다시 말해 IE,FF,Safari를 모두 지원한고 windows와 맥, 리눅스를 모두 지원하는 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은 최후에 모든 것을 다버릴 생각으로 웹으로 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렉스가 어도비가 원하는 것처럼 성장하기가 쉽지 않을 것같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오픈소스를 통해 원하는 대로 개발자 커뮤니티를 얻게 된다면 대등한 경쟁이 되겠지만요..

그런데 실제 이 두 플랫폼외에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RIA  플랫폼으로 자바 런타임 플랫폼이 있습니다. 앞서도 말했던 것처럼 선마이크로시스템사가 바보짓을 하지만 않았더다도 아마 시장이 많이 달라져 있었겟죠..다음주에는 자바 기술의 가장 큰 축제인
자바원이 열립니다. 작년에는 직접 갔었는데 금년에는 직원 몇명을 보냈고 저는 Xtech 에 갈 예정입니다. 자바 원을 보면 자바 역시 많은 기술 발전을 이뤄내고 있는 데 선사의 마케팅을 보면 역시 한수 아래구나 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미 자바 런타임은 수년간 RIA 프레임웍으로 배포되었고 브라우져 임베팅 기술인 애플릿과 데스크탑 애플릿케이션 배포 기술은 자바 스타트 등 많이 성숙된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 기술을 채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무엇을까요?

가장 큰 어려움은 배포와 설치가 쉽지 않습니다. 간혹 , 자바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중에 아예 런타임을 설치하지 못해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실제 씽크프리 고객중에 자바 런타임의 설치가 어려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레포팅됩니다. 이처럼 자바 런타임에 대한 원스톱 배포와 설치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기술적으로 현재의 AWT/Swing 기반의 GUI 개발 방법에 대한 개선 등 여러 사안들이 있지만 공들여 개발된 자바 응용 프로그램이 고객에게 손쉬게 전달되는 방법에 대한 개선이 가장 절실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바는 다른 RIA들이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의 섬세한 기능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교한 RIA개발에는 반드시 필요한 프레임웍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플래폼과 브라우져를 대상으로 한 자바의 런타임 배포 환경과 전략은 정말 중요한 사안이이며 선마이크로시스템에서 주력해야 할 사안입니다.

브라우져 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배포처를 늘리고 MS를 포함한 다양한 운영체제 회사들에게도 보다 적극적인 제휴 마케팅을 하는 것이 선사의 주요한 역할이 라고 강조하고 싶습니다.


 


Posted by 박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