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os is order yet undeciphered.

블록체인

🇰🇷 한국 VASP 제도의 민낯: 왜 바뀌어야 하고, 어디로 가야 하는가?

wisefree 2025. 6. 20. 17:35
반응형

— 디지털자산법 시대, 스테이블코인과 Web3 혁신을 위한 규제 리빌딩


“가상자산 사업자 라이선스, 수백억 가치 있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함께 디지털자산 기본법(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발의되며,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 모처럼 활기가 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존 VASP(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를 보유한 기업이 수백억 원에 인수된다는 소문도 돌고 있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과연 현재의 VASP 제도가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사실 VASP 제도는 사업범위의 제약, 과도한 비용 부담, 불투명한 행정 등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국내 혁신 기업의 해외 이탈을 유도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VASP, 무엇이 문제인가?

1. 사업범위는 좁고, 사각지대는 넓다

VASP 라이선스로 인정되는 사업은 거래·보관·중개 등으로 한정됩니다.

하지만 NFT, 디파이(DeFi), 자체 트레이딩 등은 애매하거나 제외되어, 법적 공백 속에서 기업마다 라이선스 적용 여부가 달라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받아야 해?”

“저 회사는 안 받았던데?”

같은 사업, 다른 적용. 신뢰와 예측 가능성이 무너진 상태입니다.


2. 유지비용은 수억, 스타트업은 버티기 힘들다

ISMS 인증, AML 시스템 구축, 보험, 준비금까지...

연 수억 원이 필요한 이 구조는 영세 사업자에겐 벽이 됩니다.

  • 일부 기업은 아예 라이선스를 반납하거나
  • 국내를 포기하고 해외로 이전합니다.

혁신보다 생존이 더 어려운 시장. 이대로 괜찮을까요?


3. 벤처지위 박탈 = 역차별

2023년 이후, VASP는 벤처기업 지위에서 일괄 제외됐습니다.

세금 감면, 정부 지원, 정책 자금 모두 차단되었고,

오히려 법과 제도를 성실히 이행해온 기업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4. 행정은 느리고, 기준은 불명확

VASP 갱신이나 신규 신고는 명확한 처리 기한 없이 수개월씩 지연됩니다.

사업계획, 투자 일정은 모래 위에 그린 그림처럼…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누가 시장에 남을까요?


5. 글로벌 경쟁력? 없다

한국은 ‘허용된 것만 할 수 있는’ 포지티브 규제 국가입니다.

반면 싱가포르, 홍콩, UAE 등은

‘하지 말라는 것 빼고는 다 할 수 있는’ 네거티브 규제 방식으로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고 있죠.

이미 한국은 Web3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습니다.


디지털자산법 시대, VASP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 1. 진입장벽 완화, 다양성 확보

사업 규모와 위험도에 따라 차등 규제.

스타트업에겐 규제 샌드박스와 특례제도를 적용해야 합니다.

혁신 기업이 뛰어들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생태계가 살아납니다.


✅ 2.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행정

심사 기준, 갱신 절차, 처리 기한 등을 명문화해야 합니다.

사업자는 행정의 불확실성을 가장 두려워합니다.

이제는 불확실성을 신뢰로 바꿔야 할 때입니다.


✅ 3. 사업 유형별 세분화된 라이선스 체계

거래소, 수탁, 중개, 디파이, NFT, 트레이딩…

모두 하나의 'VASP'로 뭉뚱그려 관리할 수는 없습니다.

홍콩처럼 시장조성자(MM)는 별도 규제 없이 운영되도록 하는 유연한 모델도 참고해야 합니다.


✅ 4. 보호는 강화하되, 비용은 합리적으로

보험, 예치금, 사고 대비 준비금 등은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업자에게 같은 기준을 강요해서는 안 됩니다.

사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 차등 적용이 합리적입니다.


✅ 5. 내부통제와 불공정 거래 방지

시세조종, 내부자 거래, 자전거래…

이를 막기 위한 내부 통제와 거버넌스 강화가 필요합니다.

글로벌 거래소 수준의 감시 체계가 필요합니다.


✅ 6. 글로벌 기준 정합성

FATF, IOSCO, EU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 트래블룰 연동
  • 이해상충 방지
  • 상장/상폐 기준 공개
  • 등을 의무화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동일한 언어로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마무리: 바뀌지 않으면, 또다시 기회는 사라진다

VASP 제도가 지금처럼 운영된다면,

혁신은 외면받고, 사업자는 떠나고, 시장은 다시 침체될 것입니다.


새로운 디지털자산법 하에 VASP 제도는

📌진입장벽 완화, 다양성 확보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행정

📌보호는 강화하되, 비용은 합리적으로

📌사업 유형별 세분화된 라이선스 체계

📌내부통제와 불공정 거래 방지

📌글로벌 기준 정합성

을 바탕으로 한국이 Web3 시대의 경쟁력을 갖추는 토대가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