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사용자에게 복잡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상에 맞는 이로운 경험을 해야...  

 

최근 IT 분야는 그 경계와 지향점이 모해지며 구글, 애플, 삼성, 아마존, 페이스북 ,MS 등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각 회사가 그 태생은 다르지만 점점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과 IoT분야에서 생존과 성장을 하기 위해 때로는 서로 다르게 , 때로는 서로 함께 , 때로는 서로 모방을 하며 경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 다소 뒤쳐져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 가장 강력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회사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이다. 

MS는 올해 2월 Satya Nadella가 신임 CEO가 취임한 이후 새로운 준비를 했으며 7월 10일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MS 전략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밝혔다. 


Microsoft 의 새사업전략 ,  


'Productivity & Platform' 



새 사업전략 ‘Productivity & Platform’은 전임 CEO Steve Ballmer의 ‘Device & Services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MS社가 지닌 고유 강점인 오피스와 다양한 생산성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거 MS의 Device & Services 전략이 단순히 경쟁자들을 모방하는 것이었다면 현재 Productivity & Platform 전략은 MS의 강점인 윈도우 운영체제와 오피스 및 생산성 S/W를 그 간 투자한 Azure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적극 전개하여 모바일 시대의 패권을 되찾겠다라는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MS의 오피스 솔루션을 쓰기도 하고 씽크프리를 통해 경쟁을 했던 경험을 갖고 있는 필자로서 이제야 MS가 모바일 시대에 제대로된 경쟁 전략을 찾았다고 생각한다.  지난 수 년 간 윈도우 OS와 3천명이 넘는 개발자들의 수십년간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오피스야 말로 다른 어떤 회사에서 쉽게 넘볼 수 없는 MS의 핵심 경쟁력이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타 경쟁사와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 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려온 애저(Azure) 클라우드와 One Drive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야 말로 큰 위력을 발휘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MS가 이야기한 생산성이 단순히 윈도우 기반의 오피스만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MS가 말하는 생산성은 회사나 학교에서의 생산성만이 아니라 모바일화된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자에게 생산성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에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회사일을 하고 , 개인일을 보는 중첩된 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B2C와 B2B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세상에서 MS의 Productivity와 이를 위한 Paltform 전략은 경쟁사들의 행보와는 다른 경쟁력을 보일 것이다. 


MS의 음성 기반 가상 비서 서비스인 Cortana를 통해 음성으로 질문을 던지면 오피스 365에 내장된 Power Q&A나 Delve같은 AI기반의 검색 기능을 통해 회사나 학교내 문서와 인터넷 세상을 검색하여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찾은 결과를 스카이프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심지어 언어 번역 기능을 통해 인도어를 모르더라도 해외 인도 법인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다. 


최근 MS는 Universal Windows Applications 을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그간 PC/스마트폰/태블릿 마다 서로 다른 OS를 채택하고 이에 맞춘 어플을 개발해야 했던 개발자로서는 큰 행복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일련의 MS의 계획이 실현되면 MS가 모바일 세상에서 잊혀져 가고 있는 과거 PC 시대의 맹주가 아니라 다가오는 새로운 IoT 세상에서 다시 한번 새로운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부활하리라 생각한다. 


지금 주식을 사야 한다면 MS의 주식을 사는 게 어떨까 싶다. 금일 44.50$ 이니 15년 회계가 마칠 시점에 다시 한번 확인해 보자.. 


Posted by 박재현
,

성공은 실패보다 항상 커 보인다. 



성공은 실패보다 왜 항상 커 보일까? 이에 대한 학문적인 답변은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이다. 사람은 일상에서 실패보다 성공을 더 크게 보는 경향이 있고 이 경향이 생존 편향이다.  


우리가 지면을 통해 접하는 대부부의 뉴스는 누군가의 성공 소식이다. 


"프리미어 리그에서 성공한 축구 선수"

"메이져 리그에서 성공한 야구 선수"

"창업으로 수천언 갑부가 된 사업가"

"...성공...성공..."



이들 성공의 이면에 실패한 사례가 얼마나 될까? 성공 확률은?


과거 창업 후 사업을 할 때 선배 사장이 해준 말 중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지장, 덕장...다 필요 없다. 운장이 최고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그러나 운이 좋아 성공을 해도 성공한 사람은 뭔가 다른 사람과 다르고 이러한 점이 성공을 만들었다라고 뉴스에 오르며 신화가 된다.  우리는 이러한 성공 신화 만을 믿고 나더 그렇게 될 수 있다고 강하게 믿는다.


다행히도 해외의 경우 성공 이면에 있는 실패에 대해 관대하고 실패 경험을 소중한 가치로 인정해 준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우리 사회는 실패를 인정해 주지 않는다. 실패를 하면 정작 당사자도 사회에서 낙오자가 된다. 은행에 갚을 부채, 그리고 은행 부채보다 무서운 세금.. 


설마 파산 선고로 부채를 탕감해도 국가에 내야 할 세금은 탕감되지 않는다. 세금을 내지 못하면 주민등록도 말소가 된다. 해외 출국도 불가능하고 통장 개설도 불가능하다. 사회적으로 죽는다.


그래서 난 주변의 후배들에게 절대 국내에서는 창업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혹시, 하더라도 큰 욕심내지 말고 혼자 생활하며 즐기는 창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열심히 즐기다 보면 운이 올수 도 있으니까! 



 


Posted by 박재현
,

누군가에게 과제를 설득하고자 할 때...



누군가를 설득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물론 스스로를 설득하는 것도 쉽지는 않지만 지치면 스스로 타협하면 되기에 타인을 설득하는 게 더 어렵다. 


다행히도 살다 보니 요령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다. 


회사에서 과제나 제안 등을 설득할 때 가장 손쉬운 설득 방법은 경쟁사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지금 경쟁사인 누가 이미 이 분야의 개발을 했는데 우리도 이 과제를 빨리 하지 않으면 시장을 잃어 버려 큰 손실을 입을 것이고 후발업체로 낙후될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런 설득 논리에 과제를 추진하지 말라고 이야기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물론, 설득시 경쟁사와 우리가 무엇이 차별화되는 지에 대한 준비는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왜 이런 설득의 논리가 쉽게 통할까?   


심리학적으로 사람들은 얻는 것의 가치보다 잃어버린 것의 가치를 더 크게 평가한다. 이를 손실 회피(Loss Aversion)라고 한다.  따라서 이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해서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 보다는 손실을 보지 않는 다는 방식이 보다 설득력이 있게 들린다고 한다. 


그러나 과연 이러란 설득의 논리가 StartUp에도 통할까?


필자의 경험으로는 StartUp 회사에서 이러한 설득 논리를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다소 위험해도 성공하여 세상을 바꾸고 큰 변혁을 통해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인 분야에서 이러한 손실 중심의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질 것이다.


매일 매일 과제를 만드는 것이 수행 하는 것보다 어렵다. 만들려면 설득해야 하니까..

 




Posted by 박재현
,


샤오미를 보면서 느낀 점들...


최근 중국의 애플사로 불리는 모바일 제조사인 샤오미의 판매가 급증하며 이에 대한 관심과 인기도 함께 늘은 것 같다. 중국의 애플사로 불리는 것처럼 샤오미폰은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기반하에 자체 OS와 UI인 MIUI를 개발하고 상품화를 하였다. 


백문이불여일견 , MIUI ROM버전을 갤4에 설치하고 사용하기 시작.


재미나게도 MIUI는 애플 iOS처럼 단순하고 명료한 GUI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비디오, 뮤직 같은 기본 앱들과 메모리 정리 등 유용한 기본 앱들을 제공하여 크게 별도의 어플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충분히 사용자 입장에서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폰의 구글 클라우드 기반 GMS(Google Mobile Service)가 없어도 사용하는 데 무리가 없다. 




샤오미의 MIUI를 사용하면서 기능측면에서 다음 3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다.


- 하나는 샤오미에서 제공하는 기본 어플들이 클라우드를 연동되어 있어 다른 외부 서비스들이 없어도 충분히 만족스럽다는 것이다. 



Themes 앱을 제공하여 유/무료로 원하는 Theme(Skin)를 다운로드 받은 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 Music/Video 앱도 내부에 각기 음악과 비디오 스토어 기능을 통합 제공하여 로컬과 클라우드상의 컨텐트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 또 하나는 제공되는 기본 유틸리티 어플의 완성도가 높고 반드시 필요한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 외부 어플을 설치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다. 



- 마지막으로  자체 Mi 클라우드를 5G 제공하여 다양한 어플과 셋팅 정보를 back&restore 할 수 있게 해주고 Mi Credit을 통해 손쉬운 빌링을 제공한다. 




비록 구글 Play 가 없어 다양한 앱을 다운로드할 수 없지만 Baidu와 제휴하여 Market을 제공하고 있어 필요한 앱을 설치할 수 있다.(샤오미 마켓에서 구글 installer를 설치하면 구글 플레이와 GMS를 설치할 수 있다.)


저렴한 가격, 단순 명료한 UI와 클라우드 기반의 기본 앱 , 샤오미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요소들이다. 


Don't be evil , 사악하지 않고도 돈을 버는 것을 보여주겠다던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지배자로서 구글은 2가지 결심을 한 것 같다.


하나는 샤오미나 아마존 처럼 더 이상 안드로이드 Fork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둘째는 모두 똑같은 규격의 안드로이드 제품을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오픈소스 리눅스는 다양하다. 다양한 기술이 경쟁하든 발전하면서 완성도를 높인다. 그런데 구글 안드로이드는 이러한 자유도가 없다.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구글 Play스토어 기반하에 안드로이드 생태계만이 존재한다.


이런 현실에 샤오미는 안드로이드 사용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구글 서비스 없이도 불편함이 없다. 오히려 수 많은 구글 폰의 서비스들은 번거롭게 리소스만 차지한다. 마치 애플 iOS를 안드로이드폰에 설치한 것 같다. 


모든 구글 안드로이드폰이 똑같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샤오미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고 또 한편 새로운 방향에 대한 영감을 준다.   


Posted by 박재현
,

IoT 클라우드 레퍼런스 모델



현재 IoT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에는 몇가지 아키텍쳐 유형있다. 이들 아키텍쳐를 구현한 업체들의 실 서비스들은 모두 기술적인 요건이라기 보다는 해당 IoT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철학과 전략이 반경되었다 할 수 있다. 


하기 내용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IoT 클라우드 전쟁http://wisefree.tistory.com/406



현재 다음 3가지 IoT 클라우드 구현을 위해 3가지 레퍼런스 모델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1) Mobile Device Centric


애플의 IoT 모델이다. 애플은 MFi 규격을 준수하는 디바이스들이 자동으로 iOS(iPhone,iPad)와  연동되도록 한다. 이 때,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BT와 Wifi이다. 


이렇게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Healthkit이나 HomeKit , CloudKit 등을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된다. 이 때, 발생하는 모든 관련 데이타는 iCloud를 통해 처리된다. 


이 모델의 장점은 사용자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각종 디바이스를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그 동안 시장에 공급했던 기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애플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업체 입장에서 가장 매력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2) Pure Cloud Centric


구글의 IoT 모델이다. 사용자는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단지 구글 Nest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구매한 후 이를 On시키면 자동으로 Wifi를 통해 Nest 클라우드에 연결된다.


Nest 클라우드는 Nest 규약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의 프로타일을 관리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API 를 제공하여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모델의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Wifi가 지원되는 곳에서 손쉽게 해당  IoT 디바이스를 설치, 사용할 수 있다는 데 있다. 



3) Hybrid


SmartThing 등 신규 IoT전문 업체들이 선호하는 모델이다.  별도의 Hub 디바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들을 연결한다. 이 때,  Hub 디바이스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이 Hub는 외부의 IoT 클라우드와 연결되어 Hub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조작한다. 


실제 , SmartThings 의 경우 SmartThings Hub라는 별도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설치하고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연결한 후 Hub를 통해 SmartThings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관련 디바이스를 조작하게 해준다. 


이 모델의 장점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가능한 Hub 통해 리거시 디바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 별도의 Hub 디바이스를 구매하고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한다.


위의 레퍼런스 모델을 보면 모바일 디바이스 등 직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회사의 경우 기존 모바일 디바이스를 Hub화 함으로써 기존 기득권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제조사가 아닐 경우 비록 모든 디바이스가 Wifi에 연결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야 하지만 직접 IoT 클라우드에 디바이스가 연결하는 모델이 유리하다 할 수 있다.  


반면에 Hub 모델의 경우 연결성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과도기적인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혹자는 리거시 디바이스들을 연결시키위해서는 다양한 리거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Hub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할 지 모르나 사용자는 기존의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고생하는 것 보다 손쉽게 새로운 것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과거 4년 전 쯤 리거시 디바이스들을 연결해서 새로운 개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제안을 한 적이 있었느데 그 때 많은 사람들이 과거 다 해 봤는데 안되더라 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 세상도 기술도 바뀌어 안되던 일도 되는 게 진리인데..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jax Framewirk Review  (0) 2009.05.02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솔루션은?  (0) 2008.10.28
구글 Gear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움말  (2) 2007.06.09
2007 Web 2.0 korea 발표 후기  (3) 2007.03.29
REST Architecture  (0) 2007.03.25
S/W Development on the Web Platform  (0) 2007.03.25

Posted by 박재현
,